의학 지식

안정형 협심증(Stable Angina) vs. 불안정형 협심증(Unstable Angina)

비비닥 2025. 2. 27. 04:24
반응형

협심증(Angina)은 심장 근육으로 가는 혈류가 부족해 발생하는 가슴 통증을 의미합니다.
그중에서도 안정형 협심증(Stable Angina)과 불안정형 협심증(Unstable Angina)은 원인과 위험도, 치료법이 다릅니다.

안정형 협심증(Stable Angina) vs. 불안정형 협심증(Unstable Angina)


🔹 1. 안정형 협심증 (Stable Angina)

원인:

  • 주로 죽상경화증(Atherosclerosis)으로 인한 관상동맥 협착(부분적인 혈관 막힘)으로 발생
  • 운동이나 스트레스 시 심장 근육의 산소 요구량이 증가하면 증상 발생

특징:

  • 일정한 패턴으로 발생 (예: 운동하거나 계단을 오를 때 통증)
  • 휴식하거나 니트로글리세린(Nitroglycerin) 투여 시 증상 완화
  • 심근경색 위험이 낮음 (하지만 진행하면 불안정형 협심증으로 발전 가능)

치료법:

생활 습관 개선 금연, 운동, 저염·저지방 식단, 체중 조절
약물 치료 - 베타 차단제(Metoprolol): 심장 부담 감소
- 칼슘 채널 차단제(Amlodipine): 혈관 확장
- 질산염제제(Nitroglycerin): 혈관 확장
예방적 항혈소판제 아스피린(Aspirin) 또는 클로피도그렐(Clopidogrel) 사용

🔹 2. 불안정형 협심증 (Unstable Angina)

⚠️ 원인:

  • 죽상경화성 플라크(혈관 내 노폐물 덩어리)의 파열 및 혈전 형성으로 인해 관상동맥이 급격히 좁아짐
  • 혈류가 불안정해지고 심근경색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높음

⚠️ 특징:

  • 갑자기 발생하며, 휴식 중에도 통증 지속
  • 증상이 점점 악화됨 (기존보다 적은 운동량에도 발생)
  • 질산염제제(Nitroglycerin) 투여에도 효과가 적음
  • 심근경색(Heart Attack)으로 진행할 위험이 높음 → 즉시 치료 필요!

⚠️ 치료법:

응급 치료 - 산소 공급(O₂) - 니트로글리세린(Nitroglycerin)
항혈소판제 아스피린 + P2Y12 억제제 (클로피도그렐, 티카그렐러)
항응고제 헤파린(Heparin), 엔록사파린(Enoxaparin)
베타 차단제 심박수 및 심장 부담 감소
재관류 치료 - 관상동맥 중재술(PCI, 스텐트 시술) - 관상동맥 우회술(CABG) (중증일 경우)

🔹 3. 안정형 vs. 불안정형 협심증 비교 정리

구분 안정형 협심증 (Stable Angina) 불안정형 협심증 (Unstable Angina)
원인 죽상경화로 인한 혈관 협착 플라크 파열 및 혈전 형성
통증 발생 운동·스트레스 시 휴식 중에도 발생 가능
증상 지속 시간 5~10분 이내 10분 이상 지속
질산염제제 효과 효과 있음 효과 적거나 없음
심근경색 위험 낮음 높음 (즉각 치료 필요)
치료 방법 생활 습관 개선 + 약물 치료 응급 치료 + 스텐트 삽입

🔹 4. 결론

안정형 협심증예측 가능한 가슴 통증, 생활습관 개선 + 약물 치료로 조절 가능
불안정형 협심증갑작스러운 악화, 심근경색 위험이 높아 응급 치료 필요

💡 즉, 불안정형 협심증은 심근경색 전 단계로, 즉각적인 병원 치료가 필요합니다!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