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소판 감소증(thrombocytopenia)은 다양한 감염 질환에서 흔히 관찰되는 혈액학적 이상입니다. 특히 바이러스 감염(viral infection)은 소아부터 성인까지 광범위하게 혈소판 감소를 유발할 수 있는 중요한 원인 중 하나인데요, 그렇다면 과연 viral infection은 얼마나 흔한 원인일까요? 그리고 세균 감염(bacterial infection)과 비교했을 때 어떤 차이점이 있을까요? 🤔🦠🩸
1. Viral infection은 혈소판 감소의 흔한 원인입니다 ✅
바이러스 감염은 혈소판 감소를 유발하는 대표적인 비감염성 질환군 중 하나로, 특히 소아에서 매우 흔하게 관찰됩니다. 심지어 감기나 인플루엔자 같은 경증 바이러스 감염에서도 혈소판 수치가 일시적으로 감소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대표적인 혈소판 감소 유발 바이러스:
바이러스 | 특징 |
---|---|
Dengue virus | 전형적인 심한 혈소판 감소, 출혈 동반 가능 |
HIV | 만성 감염에 의한 골수 억제 및 말초 파괴 |
EBV/CMV | 자가면역성 혈소판 감소 유도 가능 |
Hepatitis B/C | 간경변 및 비장비대 동반 시 pooling 영향 |
SARS-CoV-2 | 면역매개 및 DIC 유사 메커니즘 가능 |
💡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혈소판 감소는 보통 일시적이고 경증, 하지만 특정 감염(예: Dengue)은 치명적 출혈 위험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2. 바이러스와 세균 감염 비교: 혈소판 감소 기전은 어떻게 다를까?
구분 | Viral infection | Bacterial infection |
---|---|---|
감소 메커니즘 | 골수 억제, 자가면역, 비장 sequestration | DIC, 혈소판 소비, 사이토카인 유도 파괴 |
발생 시점 | 감염 초중기부터 나타남 | 중증 감염, 패혈증일수록 뚜렷 |
감소 정도 | 보통 경도~중등도 | 중등도~중증 (특히 패혈증 시) |
출혈 위험 | 보통 낮음 (예외: Dengue) | DIC 동반 시 출혈 위험 ↑ |
예후와 연관성 | 대부분 양호한 경과 | 혈소판 수치 감소 → 예후 악화 지표로 사용 가능 |
📌 세균 감염은 주로 급성 전신 염증 반응에 따른 소모성 혈소판 감소가 많으며, DIC와 연관되어 예후가 나쁜 경우가 많습니다.
3. 실제 임상에서의 적용 예시
예시 1) 8세 남아, 고열과 인후통, CBC 상 혈소판 90,000/μL
→ 원인: EBV 감염 (전염성 단핵구증)
→ 경증 감소, 치료 없이 회복됨
예시 2) 70세 남성, 폐렴과 의식저하, 혈소판 45,000/μL, D-dimer 상승
→ 원인: 폐렴에 의한 패혈증 및 DIC
→ 적극적 감염 조절 + 혈소판 모니터링 및 수혈 고려
이처럼 바이러스 감염의 혈소판 감소는 보통 경과가 양호하지만, 세균 감염은 예후를 좌우할 수 있는 중요한 병리소견이 될 수 있습니다.
4. 바이러스 감염 관련 혈소판 감소의 진단 팁 🔍
- 혈소판 감소가 점진적이며 출혈이 없고, 다른 혈액세포도 함께 감소한다면 바이러스 감염 의심
- 간기능 이상, 비장비대, 비정형 림프구 증가 등 EBV/CMV 힌트 찾기
- 유행 지역/여행력 중요 (Dengue, Zika, Chikungunya 등)
- 자가면역 기전 (ITP 유발) 가능성도 항상 염두에 두기
Q&A: Viral vs Bacterial Infection과 혈소판 감소
Q1. 바이러스 감염은 혈소판을 왜 감소시키나요?
A. 골수의 직접 억제, 면역 복합체를 통한 파괴, 비장에서의 pooling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합니다.
Q2. 감염에 따른 혈소판 감소는 모두 위험한가요?
A. 대부분의 바이러스성 감염은 경증이고 일시적인 경우가 많지만, Dengue나 세균성 DIC는 치명적일 수 있습니다.
Q3. 바이러스 감염에서 혈소판 수혈이 필요한가요?
A. 출혈이 없다면 대부분 필요하지 않으며, 수치는 보통 30,000/μL 이하로 떨어지지 않습니다.
Q4. 세균 감염의 혈소판 감소는 예후가 나쁜가요?
A. 네, 특히 패혈증과 DIC 동반 시 사망률이 증가하는 것으로 보고됩니다.
Q5. 혈소판 수치만 보고 감염의 원인을 알 수 있나요?
A. 혈소판 수치는 감염의 심각도와 경향을 간접적으로 보여주지만, 진단은 임상양상과 검사 종합 평가가 필요합니다.
참고 문헌
- Gauer RL. (2012). Thrombocytopenia. Am Fam Physician.
- Levi M et al. (2020). Sepsis-induced DIC. N Engl J Med.
- WHO Guidelines: Dengue diagnosis and management (2023).
- UpToDate: Thrombocytopenia in viral infections.
'의학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심정지 이후 저체온 요법, TTM1과 TTM2 연구 요약 정리 (0) | 2025.04.18 |
---|---|
APN 치료의 항생제 가이드라인: 급성 신우신염, 어떻게 치료할까? (0) | 2025.04.18 |
Septic Emboli로 인한 뇌경색, 항응고치료가 필요할까? (0) | 2025.04.18 |
기관지확장증 환자의 폐렴, 경험적 항생제 선택 가이드 (0) | 2025.04.18 |
요추천자의 금기증에 대해서 알아보자: 반드시 알아야 할 상황과 이유 (0) | 2025.04.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