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성 신우신염(Acute Pyelonephritis, APN)은 상부 요로감염의 대표 질환으로, 고열과 옆구리 통증, 배뇨통 등 전신적 감염 증상이 동반됩니다. 원인균의 대부분은 장내 세균, 특히 E. coli이며, 빠르고 적절한 항생제 치료가 회복과 합병증 예방의 핵심입니다. 오늘은 최신 가이드라인을 바탕으로 한 APN의 항생제 치료 전략을 상세히 알아보겠습니다. 💊💦
1. APN 치료의 기본 원칙
- 항생제 치료는 즉시 시작해야 합니다 (가능하면 소변배양 전 채취).
- 치료는 환자의 상태, 입원 여부, 내성률 등을 고려해 선택합니다.
- 경증-중등도 vs 중증(APN with sepsis)로 나눠 치료 방침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2. 외래 치료 vs 입원 치료: 어떤 항생제를 써야 할까?
✅ 외래 치료가 가능한 경우 (경증~중등도 APN)
권장 항생제 | 용량 및 기간 |
---|---|
세프트리악손 1회 IV 후 경구 항생제 전환 | 후속 약: 시프로플록사신 또는 레보플록사신 (7~14일) |
경구 플루오로퀴놀론 단독 | 시프로플록사신 500mg bid or 레보플록사신 750mg qd (5~7일) |
경구 TMP/SMX | 160/800mg bid, 14일 (내성률 낮을 때) |
경구 베타락탐 (예: 아목시실린/클라불란산) | 보통 10~14일, 효과는 비교적 낮음 |
💡 지역 내 E. coli의 플루오로퀴놀론 내성률이 10% 이하일 경우 경구 단독 요법이 가능합니다. 내성률이 높다면 1회 정맥 주사로 커버하는 전략이 좋습니다.
✅ 입원이 필요한 경우 (중증, 패혈증 동반, 구토 등)
권장 항생제 | 특징 |
---|---|
세프트리악손 IV | 가장 흔한 경험적 1차 선택지 |
세포탁심 IV | 그람음성 커버에 적합 |
피페라실린/타조박탐 | 중증 감염 또는 광범위 커버 필요 시 |
카바페넴 (메로페넴 등) | ESBL 의심 시 또는 내성균 감염 시 |
아미카신 병용 가능 | 중증 감염 또는 내성 우려 시 단기 병용 고려 |
📍 치료 중 임상 반응이 좋으면 48~72시간 후 경구 약제로 전환하며, 총 치료 기간은 7~14일이 일반적입니다.
3. 항생제 선택 시 고려할 점 🔍
- 지역 내 항생제 내성률: 플루오로퀴놀론이나 TMP/SMX에 대한 내성률 20% 이상이면 사용 자제
- 과거 요로감염 병력과 항생제 사용력
- 임산부 여부: 카바페넴, 아미노글리코사이드 등은 사용 제한
- 남성의 경우: 전립선염 감별 필요 → 치료 기간 길게 (최소 14일)
4. 원인균별 항생제 감수성 예시 🦠
균주 | 일반 감수성 항생제 |
---|---|
E. coli | 세프트리악손, 플루오로퀴놀론, TMP/SMX |
Klebsiella | 카바페넴, 타조박탐 |
ESBL-producing E. coli | 메로페넴 등 카바페넴계 |
Pseudomonas | 시프로플록사신, 타조박탐 ± 아미카신 |
⚠️ ESBL-producing 균주의 증가로 인해, 경험적 카바페넴 사용이 늘고 있는 추세입니다. 그러나 항생제 스튜어드십을 고려한 선택이 중요합니다.
5. 치료 반응 평가 및 전환 전략
- 치료 48~72시간 후 해열 및 통증 호전이 있으면 경구 전환 고려
- 증상 호전 없거나 패혈증 지속 시, 배양 결과 확인 후 항생제 조정
- 요로 기형, 결석, 농양 등 구조적 이상 있으면 비뇨기과적 평가 병행
Q&A: APN 치료 관련 궁금증
Q1. 항생제 치료는 언제 시작해야 하나요?
A. 가능한 한 빨리 시작해야 하며, 소변배양 전 채취가 이상적입니다.
Q2. 플루오로퀴놀론은 아직도 1차 치료제인가요?
A. 내성률이 낮은 지역에서는 여전히 유효하나, 부작용과 내성 증가로 신중한 사용이 권장됩니다.
Q3. 치료 기간은 며칠이 적당한가요?
A. 일반적으로 7~14일, 경증은 짧게, 중증 또는 남성은 길게 치료합니다.
Q4. 임산부는 어떤 항생제를 쓰나요?
A. 세파계(세프트리악손 등) 항생제가 선호됩니다. 플루오로퀴놀론, TMP/SMX는 피해야 합니다.
Q5. ESBL 우려가 있다면 어떻게 하나요?
A. 경험적으로 카바페넴 사용을 고려하며, 배양 결과에 따라 감량합니다.
참고 문헌
- IDSA Guidelines for Acute Pyelonephritis (2022)
- 대한감염학회 요로감염 진료지침 (2023)
- Uptodate: Treatment of acute pyelonephritis in adults
'의학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병원에서 시행하는 혈액검사, 정량과 정성의 차이는? (0) | 2025.04.19 |
---|---|
심정지 이후 저체온 요법, TTM1과 TTM2 연구 요약 정리 (0) | 2025.04.18 |
Viral infection은 혈소판 감소의 흔한 원인일까? Bacterial infection과 비교해보자 (0) | 2025.04.18 |
Septic Emboli로 인한 뇌경색, 항응고치료가 필요할까? (0) | 2025.04.18 |
기관지확장증 환자의 폐렴, 경험적 항생제 선택 가이드 (0) | 2025.04.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