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의학 지식

요추천자의 금기증에 대해서 알아보자: 반드시 알아야 할 상황과 이유

by 비비닥 2025. 4. 18.

요추천자(Lumbar Puncture, LP)는 뇌척수액(CSF)을 채취하거나 약물을 주입하기 위해 시행하는 중요한 시술입니다. 특히 뇌수막염, 지주막하출혈, 다발성경화증 등의 진단에 핵심적인 검사입니다. 그러나 모든 환자에게 시행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몇 가지 상황에서는 심각한 합병증 위험 때문에 금기됩니다. 오늘은 꼭 알아야 할 요추천자의 금기증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

요추천자의 금기증에 대해서 알아보자: 반드시 알아야 할 상황과 이유


1. 요추천자란 무엇인가요?

요추천자는 보통 L3~L5 사이의 요추 간 공간에 바늘을 삽입해 뇌척수액을 채취하거나 약물을 주입하는 시술입니다. 다음과 같은 경우 시행됩니다:

  • 뇌수막염, 뇌염 등의 감염 진단
  • 지주막하출혈 의심 시 진단
  • 다발성경화증 등의 자가면역질환 평가
  • 항암제 또는 마취제 주입

하지만 이러한 검사도 환자의 상태를 먼저 정확히 평가한 후 시행해야 합니다.


2. 요추천자의 절대적 금기증 ❌

금기증 설명
뇌내압 상승 (뇌압상승 징후) 뇌탈출 위험이 있음. CT/MRI로 먼저 확인 필요
국소 감염 (천자 부위 피부 감염) 감염이 경막을 통해 중추신경계로 확산될 수 있음
출혈경향 (혈소판 감소, 항응고제 복용 등) 천자 시 출혈로 인한 척수혈종 위험 증가
척수압박 또는 종양 의심 천자 시 신경 손상 가능성 있음

특히 뇌압이 상승된 상태에서의 요추천자는 매우 위험합니다. 뇌척수액을 제거함으로써 압력 차로 인해 소뇌나 대뇌가 아래로 탈출(herniation)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는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어 반드시 주의해야 합니다. 😟


3. 요추천자의 상대적 금기증 ⚠️

금기증 설명
협조가 어려운 환자 움직임으로 인해 정확한 삽입이 어려워 신경 손상 가능성
심한 척추기형 바늘 삽입이 기술적으로 어렵고, 실패 위험 증가
패혈증 전신감염 상황에서 감염균이 직접 경막을 통해 CNS로 확산 가능
혈압이 불안정하거나 쇼크 상태 체위 유지가 어렵고, 천자 도중 위험 초래 가능성 있음

이러한 경우에는 상황을 안정화한 뒤 시술을 고려하거나, 대체 진단법(MRI, CT 등)을 우선 활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4. 실제 임상에서의 사례 👨‍⚕️

응급실에 60대 남성이 두통과 발열로 내원하여 뇌수막염이 의심되었으나, 의식저하와 함께 편측 동공확대, 심한 구토 등의 뇌압 상승 증상이 동반되었습니다. 이 경우 즉시 요추천자를 시행하면 뇌탈출로 인한 사망 위험이 크기 때문에, 먼저 뇌 CT를 시행한 뒤 뇌압 상승이 없는 것이 확인된 후에야 요추천자를 시행할 수 있었습니다. 이러한 상황은 의학적으로 매우 빈번하며, 반드시 사전 평가가 중요합니다.


5. 요추천자 전 필수 확인 체크리스트 ✅

  1. 신경학적 증상: 의식저하, 동공 이상, 사지 마비 등 확인
  2. 뇌 영상검사 여부: 필요 시 CT 또는 MRI 선행
  3. 혈액응고 상태: 혈소판 수치, INR 확인
  4. 감염 여부: 국소 감염 및 전신 감염 확인
  5. 환자 협조 가능 여부: 움직임 여부 확인

Q&A: 요추천자 금기증에 대해 궁금한 점 5가지

Q1. 뇌수막염이 의심돼도 CT 먼저 찍어야 하나요?
A. 네, 특히 의식저하나 국소신경학적 증상이 있다면 CT 먼저 시행 후 안전을 확인해야 합니다.

Q2. 혈소판 수치는 어느 정도여야 안전한가요?
A. 보통 혈소판 50,000/µL 이상, INR 1.5 이하일 때 안전하다고 봅니다.

Q3. 항응고제를 복용 중인 경우는요?
A. 와파린이나 DOAC 복용자는 중단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 시행하며, 경우에 따라 대체 검사로 변경합니다.

Q4. 천자 부위 감염이 심각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A. 피부에 있던 세균이 척수강을 통해 뇌까지 감염을 일으킬 수 있어 감염성 수막염으로 진행될 수 있습니다.

Q5. 요추천자가 꼭 필요한 경우 금기증이 있다면 어떻게 하나요?
A. CT/MRI 등의 영상 진단을 통해 대체하거나, 시술 전 상태를 안정화한 뒤 시행해야 합니다.


참고 문헌

  • Greenberg, DA. Clinical Neurology, 10th ed.
  • UpToDate: Contraindications to lumbar puncture.
  • 대한신경과학회 진료지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