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심정맥관 관련 혈류 감염(CRBSI, Catheter-Related Bloodstream Infection)은 중환자실(ICU) 및 병원 내 감염에서 중요한 문제로, 신속한 진단과 적절한 치료가 필수적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중심정맥관 감염이 의심될 때 가장 먼저 해야 할 조치와 치료 전략을 살펴보겠습니다.
✅ 중심정맥관 감염(CRBSI)이 의심될 때, 가장 먼저 해야 할 일!
🔹 1. 감염 징후 확인 & 신속한 혈액 배양 검사 시행! 🦠🩸
💡 가장 중요한 첫 단계는 혈액 배양 검사!
✅ 감염 징후 확인
- 발열(≥38°C), 오한, 혈압 저하, 패혈증 증상
- 카테터 삽입 부위 발적, 통증, 삼출물(고름), 종창
✅ 혈액 배양 검사(Blood culture) 시행
- 말초 정맥 혈액 배양(Peripheral blood culture) 2세트 채취
- 카테터 루멘 혈액 배양(Catheter-drawn blood culture) 1세트 채취
- 두 샘플에서 균이 동정되거나, 카테터 혈액 배양이 더 빨리 양성 → CRBSI 가능성 증가
🚨 패혈증이 의심될 경우, 항생제 투여 전 반드시 혈액 배양 검사 시행!
🔹 2. 중심정맥관 제거 여부 판단 🚑
💡 다음 경우 즉시 카테터 제거 필요!
✔ 패혈증 또는 쇼크 동반
✔ 카테터 삽입 부위 심한 감염(발적, 농양, 삼출물, 통증 심함)
✔ 진균 감염(칸디다균) or 녹농균 감염 시
✔ 반복적인 혈류 감염(항생제에도 호전되지 않음)
❗ 단, 카테터 유지가 불가피한 경우, 항생제 주입 치료(Lock therapy) 고려!
🔹 3. 경험적 항생제(Emprical Antibiotics) 즉시 투여 💊
💡 광범위 항생제를 즉시 시작한 후, 배양 결과에 따라 조정!
📌 1차 경험적 항생제 (MRSA 포함 고려)
✅ 반코마이신(Vancomycin) IV
- MRSA 및 메티실린 내성 포도상구균(MRSE) 고려
- 도시바시신(Daptomycin) 대체 가능 (신독성 우려 시)
✅ 녹농균(Pseudomonas) 감염 고려 시 추가
- 세프트리악손(Gram-negative 감염 고려)
- 세프타지딤, 세페핌 (녹농균 커버)
- 카바페넴(ESBL 감염 의심 시)
📌 추가적인 항진균 치료 필요 시 (칸디다 감염 의심)
✅ 에키노칸딘계(Echinocandins) 항진균제
- Micafungin, Caspofungin (고위험군에서 고려)
🚨 항생제 치료는 최소 7~14일 지속 필요, 균종 및 감염 중증도에 따라 조정!
🔹 4. 감염 경로 및 원인 파악 & 추가 감염 평가 🏥
- 카테터 삽입 부위 감염 확인(초음파, 임상 관찰)
- 패혈증 증상 평가 (혈압, 호흡수, 젖산 수치)
- 2차 감염 확인(심내막염 의심 시 심초음파(ECHO) 시행)
🚨 결론: 중심정맥관 감염이 의심될 때 가장 먼저 해야 할 일!
✔ 발열, 패혈증 징후 확인
✔ 혈액 배양 검사(말초 & 카테터 루멘) 즉시 시행
✔ 카테터 제거 여부 판단 (패혈증, 농양, 칸디다 감염 시 즉시 제거)
✔ 경험적 항생제 투여 (반코마이신 + G(-) 커버 항생제)
✔ 감염 확산 및 합병증 평가 (심내막염, 패혈증 등)
👉 초기 대응이 빠를수록 사망률 감소! 신속한 감염 진단과 적절한 치료가 필수입니다! 🏥🚨
'중환자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COPD 환자에서 볼륨 조절 환기(VCV)가 유리한 이유 (0) | 2025.03.19 |
---|---|
기계환기에서 압력모드 vs. 볼륨모드: 적응증 비교 (0) | 2025.03.19 |
요로 감염(UTI)의 가장 흔한 균과 치료 전략 (0) | 2025.03.19 |
메트로니다졸(Metronidazole)은 어떤 감염에서 사용할까? (0) | 2025.03.18 |
반코마이신 vs. 테이코플라닌: 공통점과 차이점 비교 (0) | 2025.03.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