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로 감염(UTI, Urinary Tract Infection)은 방광염(cystitis), 신우신염(pyelonephritis), 요패혈증(urosepsis) 등의 형태로 발생하며, 가장 흔한 세균 감염 중 하나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요로 감염을 일으키는 가장 흔한 균과 효과적인 치료 전략을 알아보겠습니다!
✅ 요로 감염의 가장 흔한 원인균 🦠
💡 대부분의 요로 감염은 장내 세균(Enterobacteriaceae)에 의해 발생하며, 가장 흔한 원인균은 Escherichia coli(E. coli)입니다.
균종 발생 비율 특징
균종 | 발생 비율 | 특징 |
🔹 대장균 (Escherichia coli) | 70~90% | 가장 흔한 원인균, 장내 정상균 |
🔹 포도당 비발효균 (Klebsiella pneumoniae, Proteus mirabilis) | 5~15% | 카테터 관련 감염 위험 증가 |
🔹 장알균 (Enterococcus spp.) | 5~10% | 면역저하자, 병원 감염에서 증가 |
🔹 포도상구균 (Staphylococcus saprophyticus) | 5% 이하 | 성적으로 활발한 젊은 여성에서 증가 |
👉 E. coli가 대부분의 요로 감염을 일으키며, 이외에 Klebsiella, Proteus, Enterococcus 등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 요로 감염(UTI)의 치료 전략 💊
💡 요로 감염은 증상, 감염 위치, 환자의 상태(임신, 당뇨, 면역저하 등)에 따라 치료 전략이 달라집니다.
🔹 1. 단순 방광염(Uncomplicated Cystitis) 치료 🚺
✅ 경미한 요로 감염(일반적인 방광염)에서 1차 선택 항생제
항생제 | 용량 | 치료 기간 |
니트로푸란토인(Nitrofurantoin) | 100mg PO BID | 5일 |
포스포마이신(Fosfomycin) | 3g PO 단회 투여 | 1회 |
트리메토프림/설파메톡사졸(TMP-SMX) | 160/800mg PO BID | 3일 |
플루오로퀴놀론(Levofloxacin, Ciprofloxacin) | 250~500mg PO QD | 3일 (1차 약제 X, 내성 고려) |
💡 니트로푸란토인과 포스포마이신이 1차 선택!
🚨 임산부는 퀴놀론계 항생제 사용 금지!
🔹 2. 복잡성 방광염(Complicated Cystitis) 치료
✅ 고위험군(당뇨, 면역저하, 신장 이식, 카테터 사용 등)에서 고려
항생제 | 용량 | 치료 기간 |
세프트리악손(Ceftriaxone) | 1g IV QD | 7~14일 |
세포탁심(Cefotaxime) | 1g IV q8h | 7~14일 |
세프타지딤(Ceftazidime, 녹농균 의심 시) | 1g IV q8h | 7~14일 |
메로페넴(Meropenem, ESBL 감염 시) | 1g IV q8h | 7~14일 |
💡 고령, 면역저하자, 도뇨관 삽입 환자는 초기부터 정맥 항생제 고려!
🔹 3. 급성 신우신염(Acute Pyelonephritis) 치료 🚑
✅ 발열, 옆구리 통증, 오심/구토 동반 시 신우신염 의심
✅ 경증-중등도: 경구 항생제 가능
✅ 중증(패혈증 동반 시): 정맥 항생제 필요
경증~중등도 (경구 치료 가능) | 중증 (IV 치료 필요) |
시프로플록사신 500mg PO BID (7일) | 세프트리악손 1g IV QD |
레보플록사신 750mg PO QD (5일) | 세프타지딤 1g IV q8h (녹농균 의심 시) |
TMP-SMX 160/800mg PO BID (14일) | 메로페넴 1g IV q8h (ESBL 감염 시) |
💡 중증 신우신염은 입원 치료 고려 + 초반 IV 항생제 사용 후 경구 전환!
🔹 4. 임산부의 요로 감염(UTI in Pregnancy) 치료 🤰
✅ 무증상 세균뇨(Asymptomatic Bacteriuria)도 반드시 치료!
✅ 퀴놀론(Fluoroquinolones) 금기!
항생제 | 용량 | 치료 기간 |
아목시실린-클라불란산(Amoxicillin-Clavulanate) | 500mg PO TID | 7일 |
니트로푸란토인(Nitrofurantoin) | 100mg PO BID | 5일 (3분기 사용 금기) |
세팔렉신(Cephalexin) | 500mg PO BID | 7일 |
💡 임신부에서는 베타락탐계 항생제(페니실린, 세팔로스포린)가 가장 안전!
🔹 5. 도뇨관 관련 감염 (Catheter-Associated UTI, CA-UTI) 치료
✅ 카테터 제거 또는 교체 필수
✅ 도뇨관 유지 중 무증상 세균뇨는 항생제 불필요
항생제 | 치료 기간 |
세프트리악손(Ceftriaxone) 1g IV QD | 7~14일 |
녹농균 의심 시: 세프타지딤 1g IV q8h | 7~14일 |
ESBL 감염 시: 메로페넴 1g IV q8h | 7~14일 |
💡 카테터 감염 예방을 위해 무분별한 항생제 사용을 피해야 함!
🚨 결론: 요로 감염 치료 전략 요약
✔ 대장균(E. coli)이 가장 흔한 원인균!
✔ 단순 방광염 → 니트로푸란토인, 포스포마이신 1차 선택
✔ 신우신염 → 중증이면 IV 세프트리악손, 경증이면 퀴놀론 PO 가능
✔ 임산부 UTI → 페니실린계, 세팔로스포린 사용 (퀴놀론 금기!)
✔ 카테터 감염 → 카테터 제거 후 세프트리악손 IV 치료
👉 항생제 내성률 증가로, 항생제 선택 시 지역 내 감수성 패턴 고려가 필수적입니다! 🏥💊
'중환자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계환기에서 압력모드 vs. 볼륨모드: 적응증 비교 (0) | 2025.03.19 |
---|---|
중심정맥관 감염(CRBSI)이 의심될 때, 가장 먼저 해야 할 조치! (0) | 2025.03.19 |
메트로니다졸(Metronidazole)은 어떤 감염에서 사용할까? (0) | 2025.03.18 |
반코마이신 vs. 테이코플라닌: 공통점과 차이점 비교 (0) | 2025.03.18 |
중환자실에서 Shivering(오한) 조절 방법 (0) | 2025.03.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