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환자의학

기계환기에서 압력모드 vs. 볼륨모드: 적응증 비교

by 비비닥 2025. 3. 19.

기계환기(Mechanical ventilation)는 환자의 호흡을 보조하거나 대체하는 중요한 치료법으로, 크게 압력 조절(Pressure-controlled ventilation, PCV)과 볼륨 조절(Volume-controlled ventilation, VCV) 모드로 나뉩니다.

각 모드는 환자의 상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용되며, 이번 글에서는 압력모드와 볼륨모드의 적응증과 차이점을 정리하겠습니다.

기계환기에서 압력모드 vs. 볼륨모드: 적응증 비교


🔹 1. 압력 조절 환기(Pressure-Controlled Ventilation, PCV)

특징

  • 목표 **압력(Peak inspiratory pressure, PIP)**을 설정하여 환기
  • 일정한 압력으로 공기를 공급하지만 유입되는 용적(Tidal volume, Vt)은 변동될 수 있음
  • 폐 순응도(compliance)가 낮은 환자에서도 폐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음

적응증 (PCV가 유리한 경우)

적응증 설명
폐 순응도 저하(Compliance ↓) 환자 ARDS, 폐렴, 폐섬유화증 등
고압 손상(Barotrauma) 위험이 높은 환자 폐포 보호 전략이 필요한 환자
심한 저산소혈증(Hypoxemia) 환자 산소 전달을 최적화하기 위해 사용
이상호흡 증후군(Restrictive lung disease) 흉곽 손상, 척추측만증, 신경근질환

장점 & 단점
장점:

  • 폐포 과팽창(Overdistension) 위험 감소 → 폐 보호 효과
  • 폐 순응도가 낮은 환자에서도 효과적

단점:

  • 환자의 폐 상태 변화에 따라 일회호흡량(Vt)이 변동될 수 있음
  • 과소환기(Hypoventilation) 발생 가능 → PaCO₂ 조절이 어려울 수 있음

🔹 2. 볼륨 조절 환기(Volume-Controlled Ventilation, VCV)

특징

  • 목표 일회호흡량(Tidal volume, Vt)을 설정하여 일정한 용적의 공기를 공급
  • 설정된 Vt를 보장하지만, 폐 상태 변화에 따라 흡기압(PIP)이 변동 가능
  • 폐 순응도가 높은 환자에서 PaCO₂ 조절이 용이

적응증 (VCV가 유리한 경우)

적응증 설명
PaCO₂ 조절이 중요한 환자 COPD, 신경근질환, 마취 유도 환자
폐 순응도(Compliance)가 정상 또는 높은 환자 일반적인 수술 후 환기
환기량(환기 분당량, MV)을 일정하게 유지해야 하는 경우 대사 요구량이 높은 환자(패혈증, 화상 환자 등)
깊은 진정 또는 전신마취 상태의 환자 환자 자발호흡 없음, 정밀한 환기 조절 필요

장점 & 단점
장점:

  • 일정한 Vt 제공 → PaCO₂ 조절이 용이
  • 자발호흡이 없는 환자에서도 안정적 환기 가능

단점:

  • 폐 순응도가 저하될 경우(Pneumonia, ARDS) → 압력 과부하 위험 증가
  • Barotrauma(압력 손상) 발생 가능

🧐 압력모드 vs. 볼륨모드 비교 요약

특성 압력 조절 환기 (PCV) 볼륨 조절 환기 (VCV)
기본 개념 목표 압력 설정, Vt 변동 가능 목표 Vt 설정, 압력 변동 가능
적응증 ARDS, 폐렴, 폐섬유화 COPD, 마취, 신경근질환
PaCO₂ 조절 상대적으로 어려움 용이
폐 보호 효과 높음 (폐손상 감소) 낮음 (압력 상승 가능)
환기 안정성 폐 상태 변화 시 Vt 변동 가능 일정한 Vt 보장

🚨 결론: 어떤 환자에서 어떤 모드를 선택할까?

ARDS, 폐렴, 폐섬유화 → 압력모드(PCV)
COPD, 마취 유도, PaCO₂ 조절 필요 → 볼륨모드(VCV)
압력 손상이 우려되는 경우 → PCV 고려
정확한 환기량 조절이 필요한 경우 → VCV 고려

👉 환자의 폐 상태 및 치료 목표에 따라 최적의 환기 모드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