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환자의학

CRRT 환자에서 혈소판감소증이 발생하는 이유와 치료법 정리

by 비비닥 2025. 5. 13.

CRRT(지속적 신대체요법, Continuous Renal Replacement Therapy)는 중환자실에서 급성 신손상(AKI) 환자에게 흔히 사용되는 치료입니다. 하지만 치료 도중 혈소판감소증(thrombocytopenia)이 자주 발생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혈소판 감소는 출혈 위험을 높이고, 치료 지속에도 영향을 미치므로 원인 감별과 치료가 매우 중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CRRT 중 혈소판 감소의 주요 원인들(빈도순)과 각각의 대응 방법을 정리해 드립니다.


CRRT 중 혈소판 감소의 흔한 원인들 (빈도순) 🔍

순위 원인 설명
1️⃣ 기계적 소모 (Mechanical consumption) 필터 내 혈류 전단력과 접촉으로 인한 혈소판 손실. 가장 흔한 원인
2️⃣ 항응고제 관련 (특히 Heparin) Heparin-induced thrombocytopenia (HIT) 가능성 포함
3️⃣ 패혈증(Sepsis) 염증성 사이토카인에 의한 골수 억제 및 DIC 동반 가능
4️⃣ DIC (Disseminated Intravascular Coagulation) 전신 응고반응 증가 → 혈소판 소비 증가
5️⃣ CRRT 필터 수명 만료 전 교체 응고 또는 혈소판 점착으로 교체 주기 짧아질 때 의심
6️⃣ 기저 질환 (간부전, 암 등) 혈소판 생산 억제 또는 소비 증가 상태

원인별 특징 비교표 🧾

원인 혈소판 감소 양상 기타 특징 진단 포인트
기계적 소모 서서히 감소 필터 자주 막힘 교체 주기 확인
HIT (헤파린 유발) 급격한 감소 (50%↓) 항-HIT 항체 양성 PF4 ELISA, 4T score
패혈증 다양함 발열, 백혈구 증가, 염증 지표 상승 PCT, CRP, blood culture
DIC 급격한 감소 PT/PTT 연장, D-dimer 상승 ISTH 점수 적용
기저 질환 만성적 감소 간기능 저하, 골수 질환 병력 등 CBC, LFT, Bone marrow 등

치료 및 관리 방법 💉

1. 기계적 소모

  • 혈류량, 혈액 점도, 필터 접촉면 최적화
  • 필터 교체 주기 확인 (짧아지면 혈소판 감소 원인 가능성 ↑)
  • 적절한 항응고 사용으로 응고 예방

2. 헤파린 유발 혈소판감소증(HIT)

  • 즉시 Heparin 중단
  • 대체 항응고제 사용 (Argatroban, Danaparoid 등)
  • PF4 항체 검사 시행
  • 4T 점수 ≥ 4점이면 의심

3. 패혈증

  • 적절한 항생제 투여
  • 원인균 제거
  • 지속적인 감시 (CRP, PCT, 혈액배양 등)

4. DIC

  • 기저 원인 치료 (감염, 암, 외상 등)
  • 필요 시 혈소판, FFP, Cryo 투여
  • 항응고제 사용 여부는 신중히 결정

5. CRRT 필터 관련

  • 항응고제 조절
  • Citrate regional anticoagulation 고려 (간기능이 정상이면 우선 고려됨)
  • 필터 전 압력 확인으로 응고 조기 감지

Q&A 자주 묻는 질문 ❓

Q1. CRRT 도중 혈소판이 감소하면 바로 중단해야 하나요?
A1. 아닙니다. 감소 원인을 먼저 평가한 후 필요한 경우 항응고제 변경이나 필터 교체를 고려합니다.

Q2. HIT는 어떻게 구분하나요?
A2. Heparin 투여 후 5~10일 내 급격한 혈소판 감소(50% 이상) 시 의심하며, PF4 항체 검사와 4T score를 참고합니다.

Q3. 패혈증 환자에서는 어떻게 관리하나요?
A3. 감염원 제거와 항생제 치료가 우선이며, CRRT와 병행 치료하면서 출혈 여부 감시가 중요합니다.

Q4. citrate는 언제 사용하나요?
A4. 간 기능이 정상인 환자에서 regional anticoagulation을 위해 사용하며, bleeding risk가 높을 때도 유리합니다.

Q5. 혈소판 수치가 몇 이하일 때 수혈이 필요한가요?
A5. 일반적으로 <20,000/μL이면 출혈 위험 높고, <50,000/μL이면 침습적 처치 시 수혈 고려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