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사성 산증(Metabolic Acidosis)은 체내 산 축적 또는 중탄산염(HCO₃⁻) 손실로 인해 혈액의 pH가 낮아진 상태를 말합니다. 이 상태에서 치료(예: 수액, 인슐린, NaHCO₃ 등)를 통해 산증을 교정하게 되면, 여러 전해질 수치에도 변화가 나타납니다. 특히 산증이 좋아질 때 감소하는 전해질들을 이해하는 것은 임상적으로 매우 중요합니다. 🧪🧂
✅ 대사성 산증 교정 시 감소할 수 있는 전해질
전해질 | 변화 양상 | 원인 |
---|---|---|
인(Phosphate, PO₄³⁻) | ⬇ 감소 | 인이 세포 내로 재이동 |
칼륨(Potassium, K⁺) | ⬇ 감소 | 산증 교정 후 세포 내 이동 증가 |
마그네슘(Mg²⁺) | ⬇ 감소 가능 | 수액 희석, 소변 배출 증가 |
중탄산염(HCO₃⁻) | 보충 시 ⬆ 증가 | 단, 투여가 과하면 대사성 알칼리증 유발 가능 |
🔬 왜 전해질이 감소하나요?
1. 칼륨 감소 (저칼륨혈증)
산증 상태에서는 K⁺가 세포 밖으로 빠져나와 혈중 수치가 일시적으로 높아질 수 있습니다. 그러나 산증이 교정되면 다시 세포 안으로 재이동하면서 혈중 K⁺ 수치가 감소하게 됩니다.
📌 특히 DKA(당뇨성 케톤산증) 치료 시 인슐린과 산증 교정이 동시에 이뤄지면 급격한 저칼륨혈증이 발생할 수 있어 투여 전 K⁺ 확인은 필수입니다.
2. 인(Phosphate) 감소 (저인혈증)
산증일 때는 인이 세포 밖으로 나와 혈중 수치가 높아지거나 정상처럼 보입니다. 교정되면 인이 세포 내로 다시 들어가면서 혈중 수치가 감소합니다.
⚠️ 저인혈증은 호흡근 마비, 심근 기능 저하 등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적극적인 모니터링과 보충이 필요합니다.
3. 마그네슘 감소 (저마그네슘혈증)
- 직접적인 산증 교정과 관련은 적지만, 치료 중 시행하는 수액 요법으로 인한 희석 또는 이뇨 증가로 소실될 수 있습니다.
- 특히 K⁺ 보충이 잘 되지 않을 때는 동반된 Mg²⁺ 결핍을 의심해야 합니다.
📌 임상에서 주의해야 할 상황
상황 | 주의할 전해질 |
---|---|
DKA 치료 | K⁺, PO₄³⁻ 감소 주의 |
Lactic acidosis 교정 | 인, K⁺ 모니터링 필요 |
NaHCO₃ 급속 투여 | 반사적 저칼륨혈증 유발 가능 |
재급식 증후군 동반 | 인, Mg, K 모두 급감 가능성 높음 |
❓ 자주 묻는 질문 (Q&A)
Q1. 산증 교정만 했는데 왜 전해질이 떨어지나요?
A1. 산-염기 균형 변화로 전해질이 세포 내로 이동하거나, 수액 요법으로 희석 및 소실되기 때문입니다.
Q2. 인과 칼륨을 예방적으로 보충해도 되나요?
A2. 중등도 이상 산증 교정 시 고위험군에서는 예방적 보충도 고려할 수 있습니다. 단, 수치를 정기적으로 확인하며 조절해야 합니다.
Q3. 칼슘 수치는 어떻게 되나요?
A3. 총 칼슘은 변화 없을 수 있으나, 산증이 교정되면 이온화 칼슘(free Ca²⁺) 수치가 약간 감소할 수 있습니다.
Q4. 전해질 이상은 언제까지 모니터링하나요?
A4. 최소 24~48시간 동안은 혈중 전해질과 pH를 반복 측정하며 관찰해야 합니다.
Q5. NaHCO₃는 언제 사용하나요?
A5. 대사성 산증이 pH < 7.1 이하이거나, 생명을 위협할 수준일 때에만 신중히 사용합니다.
참고 문헌:
- UpToDate: “Metabolic acidosis in adults: Clinical manifestations and treatment”, 2024
- NEJM, “Electrolyte Imbalances in Critical Care”, 2023
- ICU Protocol Handbook, 대한중환자의학회
'중환자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CRRT 환자에서 혈소판감소증이 발생하는 이유와 치료법 정리 (0) | 2025.05.13 |
---|---|
HHS vs. DKA 차이점 완전 정리! 케톤이 나오면 무조건 DKA일까? (0) | 2025.05.13 |
산증이 교정되면 인(phosphate) 수치는 어떻게 변할까? (0) | 2025.05.07 |
중환자실에서 칼륨 보충, 경구 복용도 가능할까? (0) | 2025.05.07 |
하이드린(Hydroxyurea)이란? 적응증과 사용 시기 정리 (0) | 2025.05.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