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의학 지식

테이코플라닌 감수성 검사(AST), 제대로 알고 사용하기

by 비비닥 2025. 5. 28.

테이코플라닌(Teicoplanin)은 MRSA와 같은 그람 양성균 감염에서 사용되는 글라이코펩타이드 항생제입니다.
반코마이신과 유사한 작용기전을 가지지만, 약동학적 장점신독성 감소 등으로 일부 환자에서 더 선호되기도 하죠.
하지만 테이코플라닌은 항균제 감수성 검사(AST: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Test)에 있어 몇 가지 독특한 점이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테이코플라닌의 감수성 검사 기준과 해석, 주의사항까지 정리해드릴게요! 🧫

테이코플라닌 감수성 검사(AST), 제대로 알고 사용하기


AST란 무엇인가요? 🔬

항균제 감수성 검사(AST)는 특정 균주가 어떤 항생제에 감수성(susceptible) 또는 내성(resistant)이 있는지를 판별하는 검사입니다.
테이코플라닌의 경우도 감염 원인균(MRSA 등)에 대해 이 검사를 통해 약물 선택 여부를 결정합니다.


테이코플라닌 AST 검사 기준 (EUCAST vs CLSI)

기준 EUCAST (2023) CLSI (2023)
감수성 기준 MIC ≤2 mg/L ≤8 mg/L
내성 기준 MIC >2 mg/L ≥32 mg/L
검사 권장법 MIC 방식 권장 디스크 확산법 비권장
임상 활용 유럽/아시아 중심 미국 내 사용 제한 (FDA 미승인)

✅ MIC: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최소 억제 농도)


테이코플라닌 AST에서 주의할 점 ⚠️

  1. 디스크 확산법(디스크 디퓨전)은 신뢰도가 낮아 MIC 기반 검사가 권장됩니다.
  2. 반코마이신 감수성 균주라도 테이코플라닌 내성일 수 있습니다. (교차 내성 불완전)
  3. 일부 Enterococcus spp.는 반코마이신에는 감수성이지만 테이코플라닌에 내성(MIC↑)을 보일 수 있어 별도 확인 필요
  4. EUCAST와 CLSI의 감수성 해석 기준이 다르므로, 검사기관의 해석 기준 확인 필수

임상 적용 예시 👩‍⚕️

  • MRSA 균주 MIC = 1 mg/L
    → EUCAST 기준 감수성 (≤2 mg/L) → 테이코플라닌 사용 가능
  • Enterococcus faecalis MIC = 4 mg/L
    → EUCAST 기준 내성 → 테이코플라닌 회피, 다른 항생제 고려 (예: 리네졸리드)

AST 결과가 애매할 때는? 🧪

  • MIC 수치가 경계선(2~4 mg/L)일 경우
    → 환자의 감염 부위, 면역 상태, 신장 기능 등을 고려하여 반코마이신 또는 대체제로 조정 권장
  • 감염이 중증이거나 생명을 위협하는 경우, 더 강력하고 확실한 항생제 사용 고려

자주 묻는 질문 (Q&A)

Q1. 테이코플라닌은 왜 미국에서 잘 안 쓰이나요?
A1. FDA 승인이 나지 않아 미국 내 사용이 제한됩니다. 대부분의 AST 시스템도 반코마이신 중심으로 세팅돼 있어요.

Q2. 반코마이신 감수성이면 테이코플라닌도 감수성인가요?
A2. 반드시 그렇지 않습니다. 일부 균주는 테이코플라닌만 내성을 보일 수 있어 별도 AST 필요합니다.

Q3. MIC 검사 장비가 없는 병원은 어떻게 하나요?
A3. 디스크 확산법은 테이코플라닌에 신뢰도가 낮기 때문에, 의뢰 검사전문의 판단이 중요합니다.

Q4. 감수성 검사 없이 쓸 수 있나요?
A4. 감염 부위가 중증이 아니거나, 과거에 감수성 확인된 균주 재감염인 경우는 가능하지만, 권장되진 않습니다.

Q5. 테이코플라닌 TDM도 하나요?
A5. 일반적으로는 필요 없지만, 중환자나 신기능 저하 환자에선 농도 측정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