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환자의학

트라넥사민, 출혈에 어떻게 작용할까?

by 비비닥 2025. 3. 20.

트라넥사민(tranexamic acid)은 출혈을 조절하는 데 사용되는 대표적인 약물 중 하나입니다. 특히 수술 후 출혈, 외상으로 인한 출혈, 월경과다 등의 상황에서 효과적으로 쓰이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트라넥사민은 정확히 어떤 원리로 작용하며, 어떤 경우에 사용될까요?

트라넥사민, 출혈에 어떻게 작용할까?


트라넥사민의 작용 원리 🏥

트라넥사민은 항섬유소용해제(antifibrinolytic agent)로 분류됩니다. 즉, 혈액 응고를 방해하는 효소인 플라스미ン(plasmin)의 작용을 억제하여 출혈을 줄이는 역할을 합니다.

출혈 과정 이해하기
우리 몸은 출혈이 발생하면 혈액을 응고시키는 섬유소(fibrin)를 형성합니다. 하지만 이 섬유소는 시간이 지나면서 플라스미닌에 의해 분해되는데, 트라넥사민은 이 과정을 억제하여 혈액 응고를 유지하도록 돕습니다.

작용 단계 정상 출혈 과정 트라넥사민의 역할
출혈 발생 혈관이 손상됨 -
혈액 응고 혈소판과 섬유소가 출혈 부위를 막음 -
섬유소 분해 플라스민이 섬유소를 분해하여 출혈 지속 플라스민의 작용 억제

트라넥사민의 주요 사용 사례 💉

트라넥사민은 다양한 출혈 상황에서 사용됩니다.

1. 외상 및 수술 후 출혈

  • 대형 외상 환자에서 출혈을 줄이기 위해 사용됩니다.
  • 수술 후 출혈이 심한 경우 예방 목적으로 투여됩니다.

2. 월경과다(menorrhagia)

  • 생리량이 과다한 여성에게 경구용 트라넥사민이 처방됩니다.
  • 자궁 내막에서 출혈을 조절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3. 치과 시술 후 출혈

  • 특히 혈우병 환자가 치과 치료를 받을 때 출혈을 예방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4. 내출혈(위장관 출혈 등)

  • 위궤양, 식도정맥류 등으로 인한 내출혈에도 사용됩니다.

트라넥사민의 부작용 및 주의사항 ⚠️

트라넥사민은 비교적 안전한 약물이지만, 일부 부작용이 있을 수 있습니다.

🚨 주요 부작용

  • 메스꺼움, 구토, 설사
  • 두통, 어지러움
  • 혈전 생성 위험 증가

특히 혈전색전증(심부정맥혈전증, 폐색전증 등)의 병력이 있는 환자는 사용에 주의해야 합니다.

💊 복용 시 주의할 점

  1. 의사 처방에 따라 용량을 조절해야 합니다.
  2. 혈전 위험이 높은 경우(고령, 심혈관질환 등) 복용 여부를 반드시 상담하세요.
  3. 출혈이 지속되거나 악화되면 즉시 의료진과 상의해야 합니다.

트라넥사민에 대해 자주 묻는 질문(Q&A) 🤔

Q1. 트라넥사민을 장기간 복용해도 괜찮을까요?
👉 일반적으로 단기 사용을 권장합니다. 장기 복용이 필요한 경우 의사와 상담하세요.

Q2. 트라넥사민을 복용하면 혈전이 생길 위험이 높은가요?
👉 기존에 혈전 관련 질환이 있다면 주의해야 합니다. 건강한 사람에게는 큰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Q3. 생리 중 트라넥사민을 먹으면 생리 기간이 짧아지나요?
👉 생리 기간 자체를 단축시키지는 않지만, 출혈량을 줄이는 효과가 있습니다.

Q4. 임산부나 수유 중에도 복용할 수 있나요?
👉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사용을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반드시 의사와 상담하세요.

Q5. 트라넥사민은 일반 약국에서 구매할 수 있나요?
👉 일부 국가에서는 처방전 없이 구매 가능하지만, 대개 의사 처방이 필요합니다.


결론 ✨

트라넥사민은 출혈을 조절하는 강력한 항섬유소용해제로, 외상, 수술 후 출혈, 월경과다 등 다양한 상황에서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다만 혈전 위험이 있는 경우 주의해야 하며, 반드시 전문가의 조언을 받아야 합니다.

출혈로 고민이 된다면, 트라넥사민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자가진단보다는 의료진과 상담하는 것이 가장 안전한 방법이라는 점을 기억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