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중환자의학 148

뇌 탈출로 인한 뇌하수체 줄기 압박과 요붕증 치료

뇌 탈출(brain herniation)은 두개내압 증가로 인해 뇌 조직이 정상적인 위치에서 이탈하는 심각한 신경학적 응급 상태입니다. 이 과정에서 뇌하수체 줄기(pituitary stalk) 가 압박되면 항이뇨호르몬(ADH, Antidiuretic Hormone) 분비 감소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ADH 결핍은 중추성 요붕증(Central Diabetes Insipidus, CDI)을 유발하며, 다뇨(polyuria) 및 심한 갈증(polydipsia)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이번 글에서는 뇌 탈출로 인한 중추성 요붕증의 치료법을 정리하겠습니다.1. 중추성 요붕증(CDI)의 원인과 기전📌 ADH 결핍 → 신장에서 수분 재흡수 감소 → 다뇨(polyuria) & 탈수 위험뇌 탈출 시, 뇌하수체 뒤쪽에 ..

중환자의학 2025.03.22

RUSH 프로토콜: 쇼크 환자의 신속한 초음파 평가

1. RUSH 프로토콜이란? 🤔RUSH (Rapid Ultrasound for Shock and Hypotension) 프로토콜은 쇼크 환자의 원인을 신속하게 감별하기 위해 사용하는 초음파 평가 방법입니다.쇼크의 다양한 원인을 빠르게 구분하여 적절한 치료를 제공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RUSH 프로토콜의 핵심 개념PUMP (펌프: 심장) → 심장 기능 평가TANK (탱크: 혈액량) → 혈관 내 혈액량 및 체액 상태 평가PIPES (파이프: 혈관) → 혈관 상태 및 폐색 여부 확인2. RUSH 프로토콜의 구성 요소 🏥🔹 1) PUMP (심장 평가) – 심장의 기능과 원인 감별✅ 목적: 심장의 수축력과 혈액 순환 상태 평가✅ 초음파 검사 부위:심장 초음파 (FoCUS, Focused Cardiac Ul..

중환자의학 2025.03.21

중환자실에서의 초음파 사용, POCUS란?

1. POCUS란? 🤔POCUS(Point-of-Care Ultrasound)는 진료 현장에서 즉각적으로 시행하는 초음파 검사를 의미합니다.중환자실(ICU)에서는 빠르고 정확한 진단이 필수적이며, POCUS는 침습적 검사 없이 실시간으로 환자의 상태를 평가하는 강력한 도구입니다.✅ POCUS의 핵심 특징즉각적인 검사 가능 → 빠른 의사 결정비침습적, 반복 가능 → 환자 부담 적음실시간 영상 제공 → 중환자 상태 변화 즉각 반영2. 중환자실에서 POCUS의 주요 활용 📌🔹 1) 심장 초음파 (Cardiac POCUS, FoCUS) 🫀✅ 목적: 쇼크 및 심정지 원인 감별, 심기능 평가✅ 주요 소견:심장 수축 기능 평가 (EF, 심실 수축력)심낭삼출(pericardial effusion) 및 심장 압전..

중환자의학 2025.03.21

심정지 시 맥박 촉지 vs. 에코(초음파) 관찰, 어떤 것이 더 좋을까?

심정지 환자에서 자발 순환 회복(ROSC, Return of Spontaneous Circulation)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그러나 맥박 촉지(Pulse Check)와 에코(Echocardiography, 초음파) 관찰 중 어떤 방법이 더 효과적인지는 논란이 있습니다.1. 맥박 촉지(Pulse Check) vs. 초음파(Echo) 비교 🔍항목맥박 촉지(Palpation)초음파(Echo, POCUS)신뢰도낮음 (정확도 50~60%)높음 (정확도 90% 이상)검사 시간빠름 (~10초 이내)상대적으로 느림 (1020초)ROSC 확인 가능성제한적심장 움직임 직접 확인 가능CPR 중단 시간짧음초음파 시행 시 길어질 위험비침습적 검사OO심정지 원인 평가불가능가능 (심낭압전, 폐색전증 등 감별 가..

중환자의학 2025.03.21

VF와 VT의 심정지 예후 차이

심정지(Heart Arrest) 환자의 예후는 초기 리듬이 심실세동(VF, Ventricular Fibrillation)인지 심실빈맥(VT, Ventricular Tachycardia)인지에 따라 달라집니다.두 리듬 모두 심실에서 발생하는 부정맥이지만, 치료 반응과 생존율에서 차이가 있습니다.1. VF(심실세동)과 VT(심실빈맥)의 차이 🔍비교 항목VF (Ventricular Fibrillation, 심실세동)VT (Ventricular Tachycardia, 심실빈맥)정의심실이 무질서하게 떨려 정상적인 수축이 불가능한 상태심실이 빠르게 박동하지만 일정한 리듬을 가짐심박출량(CO)거의 없음 → 혈압 유지 불가일부 유지 가능 (일부 VT는 자발 순환 유지)치료법즉시 제세동(Defibrillation) 필..

중환자의학 2025.03.21

바소프레신과 노르에피네프린, 작용 원리는 어떻게 다를까?

바소프레신(Vasopressin)과 노르에피네프린(Norepinephrine)은 모두 혈압 상승 및 혈관 수축 작용을 하는 호르몬이지만, 그 기전과 역할은 다릅니다.1. 바소프레신(Vasopressin) 🧪🔹 정의바소프레신(항이뇨호르몬, ADH)은 뇌하수체 후엽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으로, 주로 체액 균형과 혈압 조절에 관여합니다.🔹 주요 작용 기전| 작용 기전 | 설명 ||----------|--------------------------------|| V1 수용체 활성화 | 혈관 평활근을 수축시켜 혈압 상승 (강력한 혈관 수축) || V2 수용체 활성화 | 신장에서 수분 재흡수를 증가시켜 혈액량 증가 || 혈관 내피세포 작용 | 혈관 확장을 억제하여 저혈압 방지 |✅ 즉, 바소프레신은 혈관 수축(V..

중환자의학 2025.03.21

항진균제 한눈에 알아보기

진균 감염은 면역력이 저하된 환자에서 심각한 건강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항진균제(Antifungal agents)는 이러한 감염을 치료하는 데 필수적인 역할을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항진균제의 종류, 기전, 적응증, 부작용 등에 대해 정리해 보겠습니다.1. 항진균제의 주요 작용 기전 🔬항진균제는 진균 세포의 필수 성분을 표적으로 하여 작용합니다. 주요 작용 기전은 다음과 같습니다.기전설명대표 약물세포막 합성 억제에르고스테롤(진균 세포막 성분) 합성을 방해아졸계, 알릴아민계세포막 직접 파괴에르고스테롤과 결합하여 세포막을 손상폴리엔계 (암포테리신 B, 니스타틴)세포벽 합성 억제진균 세포벽의 베타글루칸 합성을 억제에키노칸딘계 (카스포펀진)핵산 합성 억제DNA 및 RNA 합성을 방해플루시토신2. 항진균..

중환자의학 2025.03.21

기관절개술이란? 꼭 필요할까?

1. 기관절개술(Tracheostomy)이란?기관절개술(Tracheostomy)이란 목의 기관(trachea)에 작은 구멍을 내어 인공적으로 기도를 확보하는 수술입니다.이 과정에서 기관절개관(Tracheostomy tube)을 삽입하여 환자가 원활하게 숨을 쉴 수 있도록 합니다.✅ 주요 목적:기도 폐쇄로 인해 호흡이 어려운 경우장기간 인공호흡기가 필요한 경우분비물 배출이 어려운 환자의 기도 관리2. 기관절개술이 필요한 경우 🤔기관절개술은 응급상황 또는 장기적인 치료 목적에서 시행됩니다.필요 상황설명기도 폐쇄후두부 부종, 종양, 기도 협착 등으로 인해 공기 통과가 어려운 경우장기 인공호흡기 사용2주 이상 기계 환기가 필요한 경우 기관삽관 대신 시행신경근육질환루게릭병(ALS), 중증 근무력증 등으로 자발호..

중환자의학 2025.03.21

중심정맥관을 2주 뒤에 PICC로 교체해야 하는 이유

중심정맥관(Central Venous Catheter, CVC)은 장기 사용 시 감염 및 혈관 합병증 위험이 증가할 수 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2주 후에는 말초삽입 중심정맥관(PICC, Peripherally Inserted Central Catheter)로 교체하는 것이 권장됩니다.1. 감염 위험 감소 🦠중심정맥관 관련 혈류감염(CLABSI, Central Line-Associated Bloodstream Infection)의 위험은 사용 기간이 길어질수록 증가합니다.2주 이상 CVC 유지 시 감염 위험 급격히 증가피부 및 카테터 내강을 통한 세균 또는 진균 감염 가능성감염 발생 시 패혈증(Sepsis) 및 다발성 장기부전(MOF) 위험 증가✅ PICC는 말초에서 삽입하므로 감염 위험이 상대적으로 ..

중환자의학 2025.03.21

감염 이야기: 곰팡이(이스트; Yeast) 혈증의 진단과 치료

1. 곰팡이(이스트) 혈증이란?곰팡이 혈증(Yeast Fungemia)이란 곰팡이(특히 이스트 균; Candida spp.)가 혈류에 침입하여 전신 감염을 일으키는 상태를 말합니다.일반적으로 칸디다 혈증(Candidemia)이라는 용어가 더 자주 사용되며, 이는 곰팡이 균 중 하나인 칸디다(Candida) 속이 원인균으로 가장 흔하기 때문입니다.곰팡이 혈증은 면역력이 약한 환자에서 패혈증(Sepsis)으로 진행할 위험이 높은 치명적인 감염으로 간주됩니다. 조기에 발견하지 못하면 다발성 장기 부전(MOF)과 높은 사망률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2. 곰팡이 혈증의 원인과 위험 요인 🏥🔹 원인균칸디다속(Candida spp.): 가장 흔한 원인균Candida albicans (가장 흔함)Candida gl..

중환자의학 2025.03.2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