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환자의학

프로포폴 주입 증후군(PRIS, Propofol Infusion Syndrome)이란?

비비닥 2025. 2. 22. 06:06
반응형

프로포폴 주입 증후군(PRIS, Propofol Infusion Syndrome)고용량 또는 장기간 프로포폴(propofol) 투여 시 발생할 수 있는 심각한 대사성 이상 및 다발성 장기 부전 증후군입니다.

PRIS는 드물지만 치명적일 수 있으며, 특히 고용량(>4 mg/kg/hr)으로 48시간 이상 연속 주입하는 환자에서 더 높은 위험이 있습니다.

프로포폴 주입 증후군(PRIS, Propofol Infusion Syndrome)이란?


1. PRIS의 주요 특징

발생 원인

  • 고용량(>4 mg/kg/hr) 또는 장기간(>48시간) 프로포폴 주입
  • 소아 및 중환자(ICU 환자)에서 발생 위험 증가
  • 패혈증, 외상성 뇌손상, 저탄수화물/고지방 식이 중 환자에서 위험 증가

주요 증상
PRIS는 심혈관계, 근육, 대사, 신장 기능 이상을 유발합니다.

영향 시스템
주요 증상
심혈관계 부정맥, 심박수 감소(서맥), 심부전, 저혈압, 심정지
근육 및 대사 횡문근융해증, 고칼륨혈증, 대사성 산증(젖산산증)
신장 급성 신부전, 미오글로빈뇨
간기능 저하, 지방간 형성
혈액 고지혈증, 응고 이상

2. PRIS의 발병 기전(병리 생리학적 원리)

PRIS의 주요 원인은 미토콘드리아 기능 장애 및 지방산 대사 이상입니다.

🔹 미토콘드리아 손상 → ATP 생성 감소 → 세포 기능 장애
🔹 지방산 산화 억제 → 에너지 부족 및 젖산 축적 → 대사성 산증
🔹 횡문근융해 → 근육 손상 및 고칼륨혈증 → 부정맥 유발


3. PRIS의 위험 인자

고위험군 환자

  • 고용량 프로포폴 사용(>4 mg/kg/hr)
  • 장기간 사용(>48시간 연속 투여)
  • 소아 및 중환자(ICU 환자)
  • 패혈증, 외상성 뇌손상 환자
  • 저탄수화물/고지방 식이를 하는 환자(예: 케톤식이 중인 간질 환자)

4. PRIS의 진단 기준

PRIS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함께 나타날 때 의심할 수 있습니다.

임상적 증상

  • 원인을 알 수 없는 저혈압 및 심혈관 허탈
  • 심부전, 부정맥(서맥, 심정지 등)
  • 횡문근융해 및 고칼륨혈증
  • 대사성 산증(혈중 젖산 증가, pH < 7.2)
  • 고지혈증 및 급성 신부전(미오글로빈뇨 동반 가능)

혈액 검사 소견

  • pH 감소(대사성 산증) 및 젖산 증가
  • CK(Creatine Kinase) 증가 (횡문근융해의 지표)
  • 고칼륨혈증 및 고지혈증
  • 신기능 저하 (크레아티닌 상승, 미오글로빈뇨)

5. PRIS의 치료 및 예방

🔹 치료 방법

프로포폴 즉시 중단

  • PRIS가 의심되면 즉시 프로포폴을 중단하고, 다른 진정제(예: 덱스메데토미딘, 미다졸람)로 교체해야 합니다.

대증 치료

  • 저혈압 조절: 수액 보충 및 혈관수축제(노르에피네프린 등) 사용
  • 대사성 산증 교정: 중탄산나트륨(NaHCO₃) 투여
  • 전해질 불균형 교정: 고칼륨혈증 조절(칼슘, 인슐린+포도당, 이뇨제 사용)
  • 신부전 발생 시 투석 고려

횡문근융해 치료

  • 적절한 수액 공급으로 신장을 보호하고 미오글로빈 배출 촉진
  • 신부전 발생 시 투석 필요

🔹 예방 방법

프로포폴의 고용량 사용을 피하기: 가능하면 4 mg/kg/hr 이하로 유지
장기 투여 시 정기적 검사(혈중 젖산, CK, 전해질 등) 시행
고위험 환자(소아, 패혈증 환자)에서는 다른 진정제 고려


6. 결론: PRIS 요약

고용량(>4 mg/kg/hr) 또는 장기(>48시간) 프로포폴 사용 시 발생할 수 있는 치명적인 부작용
심혈관 허탈, 대사성 산증, 횡문근융해, 신부전, 고칼륨혈증 등의 증상 유발
빠른 진단과 즉각적인 프로포폴 중단이 중요
예방을 위해 가능한 낮은 용량으로 사용하고, 대체 진정제를 고려해야 함

📌 PRIS는 드물지만 사망률이 높기 때문에, 프로포폴을 장기 투여하는 경우 항상 감시해야 하는 중요한 합병증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