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환자의학

VAP(인공호흡기 관련 폐렴,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의 흔한 원인균과 경험적 항생제 선택

비비닥 2025. 2. 22. 01:01
반응형

VAP(인공호흡기 관련 폐렴,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의 흔한 원인균과 경험적 항생제 선택

VAP의 흔한 원인균

VAP는 인공호흡기를 사용하는 환자에서 발생하는 병원감염 폐렴으로, 다양한 다제내성균(MDR, multidrug-resistant pathogens)이 주요 원인균으로 작용합니다.

🔹 흔한 원인균

  1. 그람음성균
    • Pseudomonas aeruginosa (녹농균)
    • Acinetobacter baumannii (아시네토박터)
    • Klebsiella pneumoniae (클렙시엘라)
    • Escherichia coli (대장균)
    • Enterobacter spp. (엔테로박터)
  2. 그람양성균
    • Staphylococcus aureus (황색포도상구균, 특히 MRSA)
    • Streptococcus pneumoniae (폐렴구균)
  3. 비정형 및 혐기성균 (드물지만 가능)
    • Legionella pneumophila (레지오넬라)
    • 혐기성 세균 (Bacteroides spp., Fusobacterium spp. 등)

경험적 항생제 선택

경험적 항생제 치료는 원내 감염 패턴, 환자의 위험요인(다제내성균 감염 위험), 지역별 항생제 내성률 등을 고려하여 결정합니다.

1) MDR(다제내성균) 위험이 낮은 경우

경험적 1차 치료

  • Piperacillin-tazobactam (피페라실린-타조박탐)
  • Cefepime (세페핌)
  • Levofloxacin (레보플록사신)
  • Meropenem (메로페넴)

MRSA(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 커버가 필요할 경우

  • Vancomycin (반코마이신) 또는
  • Linezolid (리네졸리드) 추가

2) MDR(다제내성균) 위험이 높은 경우

🔸 (과거 90일 이내 광범위 항생제 사용, 병원에서 5일 이상 입원, 쇼크 상태, 고위험 중환자실 환경 등)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 및 기타 그람음성균 커버를 위해 항생제 2가지 선택

  • 항녹농균 베타락탐계 항생제 중 하나
    • Piperacillin-tazobactam (4.5g IV q6h)
    • Cefepime (2g IV q8h)
    • Ceftazidime (2g IV q8h)
    • Meropenem (1g IV q8h)
    • Imipenem (500mg IV q6h)
  • 항녹농균 퀴놀론계 or 아미노글리코사이드 중 하나
    • Levofloxacin (750mg IV q24h)
    • Ciprofloxacin (400mg IV q8h)
    • Amikacin (15-20mg/kg IV q24h)
    • Gentamicin (5-7mg/kg IV q24h)

MRSA 감염 가능성이 높다면 추가

  • Vancomycin (15mg/kg IV q12h, 목표 trough 15-20 mg/L)
  • Linezolid (600mg IV q12h)

3) Acinetobacter baumannii 감염이 의심될 경우

  • Carbapenem(메로페넴, 이미페넴) 단독 또는
  • Ampicillin-sulbactam (고용량)
  • 다제내성 시 Colistin (Polymyxin B) 사용 고려

4) 혐기성균 감염이 의심될 경우

  • Metronidazole (메트로니다졸) 추가
    • Piperacillin-tazobactam 또는 Meropenem 사용 시 추가 필요 없음

요약: VAP의 경험적 항생제 선택 가이드라인

위험도 1차 항생제 추가 항생제(필요 시)

MDR 위험 낮음 Piperacillin-tazobactam, Cefepime, Levofloxacin Vancomycin(Linezolid) (MRSA 위험 시)
MDR 위험 높음 Piperacillin-tazobactam + Ciprofloxacin Vancomycin (MRSA)
Acinetobacter baumannii Meropenem, Ampicillin-sulbactam Colistin (다제내성 시)
혐기성균 감염 의심 Meropenem, Piperacillin-tazobactam Metronidazole 추가 가능

결론

  • VAP의 원인균은 녹농균, 아시네토박터, MRSA, 장내 세균 등이 주요 병원균
  • 경험적 치료는 중증도 및 다제내성균 위험도 에 따라 결정
  • 초기 광범위 항생제 사용 후, 배양 결과에 따라 탈에스컬레이션(De-escalation) 전략이 필요

📌 참고자료:

  1. IDSA/ATS 2016 가이드라인 –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Adults with Hospital-acquired and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2. 최신 항생제 내성 패턴 및 병원 감염 연구 보고 (202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