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환자의학

근이완제 로큐로니움(Rocuronium)과 베큐로니움(Vecuronium)의 차이점

비비닥 2025. 2. 22. 04:04
반응형
로큐로니움(Rocuronium)과 베큐로니움(Vecuronium)은 둘 다 비탈분극성 신경근 차단제(non-depolarizing neuromuscular blocking agents, NMBAs) 로서, 마취 시 근육을 이완시키기 위해 사용됩니다. 하지만 두 약물은 몇 가지 중요한 차이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근이완제 로큐로니움(Rocuronium)과 베큐로니움(Vecuronium)의 차이점


1. 기본 비교

비교 항목 로큐로니움(Rocuronium) 베큐로니움(Vecuronium)
작용 기전 비탈분극성 근이완제 (Nicotinic ACh 수용체 차단) 비탈분극성 근이완제 (Nicotinic ACh 수용체 차단)
발현 시간 (Onset) 45~90초 (빠름) 2~4분 (느림)
지속 시간 (Duration) 30~60분 30~40분
대사 및 배설 간 대사, 신장 및 담즙 배설 간 대사, 주로 신장 배설
길항제 슈가마덱스(Sugammadex) 슈가마덱스, 네오스티그민(Neostigmine)
임상적 특징 빠른 발현으로 RSI(빠른 순차 유도)에 적합 심혈관 영향이 적고 안정적

2. 주요 차이점

🔹 1) 작용 발현 속도(Onset time) 차이

  • 로큐로니움: 45~90초로 발현이 빨라서 신속 순차 유도(Rapid Sequence Induction, RSI) 에 적합합니다.
  • 베큐로니움: 2~4분으로 발현이 상대적으로 느려, 계획된 일반 마취 유지에 주로 사용됩니다.

🔹 2) 지속 시간(Duration) 차이

  • 로큐로니움: 30~60분 정도로 중등도의 지속 시간을 가집니다.
  • 베큐로니움: 30~40분 정도로 약간 더 짧지만, 두 약물 모두 중등도의 지속 시간을 보입니다.

🔹 3) 대사 및 배설 경로

  • 로큐로니움: 간에서 대사되며, 주로 담즙 및 신장을 통해 배설됩니다.
  • 베큐로니움: 주로 간에서 대사되며, 신장 배설 비율이 높아 신장 기능이 저하된 환자에서는 주의해야 합니다.

🔹 4) 길항제(해독제, Reversal agent)

  • 로큐로니움베큐로니움 모두 슈가마덱스(Sugammadex) 로 빠르게 길항 가능합니다.
  • 베큐로니움은 네오스티그민(Neostigmine) + 항무스카린제(Atropine 또는 Glycopyrrolate) 를 이용한 길항도 가능합니다.

🔹 5) 임상적 사용 차이

로큐로니움 사용 적응증

  • 빠른 작용이 필요한 상황 (예: 응급 RSI, 기관삽관)
  • 석시닐콜린(Succinylcholine) 금기 환자 (예: 고칼륨혈증 환자)
  • 슈가마덱스를 이용한 빠른 회복이 필요한 경우

베큐로니움 사용 적응증

  • 일반적인 마취 유지
  • 심혈관계 영향이 적은 근이완이 필요한 경우 (예: 심혈관계 질환이 있는 환자)

3. 결론: 언제 어떤 약물을 사용할까?

상황 선호 약물 이유
빠른 기관 삽관(RSI) 로큐로니움 발현 속도가 빠름
심혈관 안정성이 필요한 경우 베큐로니움 심혈관 부작용이 적음
장기 마취 유지 베큐로니움 지속 시간이 안정적
석시닐콜린 금기 환자 로큐로니움 탈분극성 근이완제 대체 가능
빠른 길항 필요 로큐로니움 슈가마덱스 사용 가능

📌 즉, 로큐로니움은 빠른 작용이 필요할 때, 베큐로니움은 심혈관 안정성이 필요한 환자에서 더 적합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