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파민과 도부타민은 둘 다 심혈관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카테콜아민 약물이지만, 작용 기전과 임상 적응증에서 차이가 있습니다.도파민(Dopamine)과 도부타민(Dobutamine)의 차이
도파민(Dopamine)과 도부타민(Dobutamine)의 차이
1. 기본 개념
도파민 (Dopamine) | 도부타민 (Dobutamine) | |
분류 | 교감신경 작용제, 카테콜아민 | 교감신경 작용제, 합성 카테콜아민 |
주요 작용 | 도파민 수용체, β1-아드레날린 수용체, α-아드레날린 수용체 활성화 (용량 의존적) | 주로 β1-아드레날린 수용체 작용 (심박출량 증가) |
주요 효과 | 심박출량 증가, 혈압 상승(고용량), 신장 혈류 증가(저용량) | 심근 수축력 증가, 심박출량 증가 |
사용 경로 | 정맥 주사(IV) | 정맥 주사(IV) |
2. 작용 기전 차이
- 도파민은 용량에 따라 작용이 다르게 나타납니다.
- 저용량(1-3 mcg/kg/min): 도파민 수용체(D1) 자극 → 신장, 내장 혈류 증가
- 중간 용량(3-10 mcg/kg/min): β1-아드레날린 수용체 자극 → 심박출량 증가
- 고용량(>10 mcg/kg/min): α-아드레날린 수용체 자극 → 혈관 수축 → 혈압 상승
- 도부타민은 주로 β1-아드레날린 수용체를 활성화하여 심근 수축력을 증가시키고, 심박출량을 개선합니다. 도파민과 달리 혈관 수축 효과는 거의 없습니다.
임상에서의 적응증
1. 도파민의 적응증
✅ 심부전 (특히 저혈압을 동반한 경우)
✅ 심인성 쇼크, 패혈성 쇼크
✅ 신장 기능 저하(과거 사용, 현재는 제한적)
✅ 저혈압 환자에서 혈압 유지
📌 주의점: 고용량 사용 시 말초 혈관 수축으로 인해 조직 허혈이 발생할 수 있음.
2. 도부타민의 적응증
✅ 울혈성 심부전 (CHF)으로 인한 저심박출 상태
✅ 심인성 쇼크 (단, 혈압이 충분할 경우에만 사용)
✅ 심장 수술 후 심기능 저하
✅ 심초음파 스트레스 테스트 (약물 부하 검사)
📌 주의점: 혈관 수축 효과가 없거나 미미하여 저혈압 환자에서는 단독 사용이 어렵고, 도파민이나 노르에피네프린과 병용할 수 있음.
Q&A: 도파민 vs 도부타민
1️⃣ 도파민과 도부타민 중 혈압 상승 효과가 더 강한 것은?
👉 도파민(특히 고용량)은 α-아드레날린 수용체 작용으로 혈압을 올리는 효과가 큼. 도부타민은 혈압 상승 효과가 거의 없음.
2️⃣ 신장 기능을 개선하기 위해 도파민을 사용할 수 있을까?
👉 과거에는 ‘신장 보호 도파민’이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임상적 이점이 명확하지 않아 권장되지 않음.
3️⃣ 심장 수축력이 저하된 심부전 환자에게 어떤 약물이 더 적합할까?
👉 혈압이 낮지 않다면 도부타민이 적합. 하지만 혈압이 낮다면 도파민 또는 노르에피네프린과 병용 고려.
4️⃣ 패혈성 쇼크에서 도파민과 도부타민 중 무엇을 사용해야 할까?
👉 패혈성 쇼크에서 1차적으로는 노르에피네프린이 권장되며, 도파민은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음. 도부타민은 심박출량 개선이 필요할 때 추가적으로 고려.
5️⃣ 도부타민이 심초음파 스트레스 테스트에 사용되는 이유는?
👉 도부타민은 β1 작용을 통해 심박수와 심근 수축력을 증가시켜, 운동 부하를 줄 수 없는 환자에서 심초음파 검사 시 심장 기능 평가를 돕기 때문.
'중환자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근이완제 로큐로니움(Rocuronium)과 베큐로니움(Vecuronium)의 차이점 (0) | 2025.02.22 |
---|---|
VAP(인공호흡기 관련 폐렴,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의 흔한 원인균과 경험적 항생제 선택 (0) | 2025.02.22 |
카테콜아민과 α, β 아드레날린 수용체 작용 기전 (0) | 2025.02.21 |
중환자실에서 크렉산(Clexane, 에녹사파린) 사용 기준 (0) | 2025.02.21 |
스티븐스-존슨 증후군(SJS)의 원인과 발생 이유 (0) | 2025.0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