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환자의학

도파민(Dopamine)과 도부타민(Dobutamine)의 차이

비비닥 2025. 2. 21. 23:01
반응형
도파민과 도부타민은 둘 다 심혈관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카테콜아민 약물이지만, 작용 기전과 임상 적응증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도파민(Dopamine)과 도부타민(Dobutamine)의 차이

도파민(Dopamine)과 도부타민(Dobutamine)의 차이

1. 기본 개념

  도파민 (Dopamine) 도부타민 (Dobutamine)
분류 교감신경 작용제, 카테콜아민 교감신경 작용제, 합성 카테콜아민
주요 작용 도파민 수용체, β1-아드레날린 수용체, α-아드레날린 수용체 활성화 (용량 의존적) 주로 β1-아드레날린 수용체 작용 (심박출량 증가)
주요 효과 심박출량 증가, 혈압 상승(고용량), 신장 혈류 증가(저용량) 심근 수축력 증가, 심박출량 증가
사용 경로 정맥 주사(IV) 정맥 주사(IV)

2. 작용 기전 차이

  • 도파민은 용량에 따라 작용이 다르게 나타납니다.
    • 저용량(1-3 mcg/kg/min): 도파민 수용체(D1) 자극 → 신장, 내장 혈류 증가
    • 중간 용량(3-10 mcg/kg/min): β1-아드레날린 수용체 자극 → 심박출량 증가
    • 고용량(>10 mcg/kg/min): α-아드레날린 수용체 자극 → 혈관 수축 → 혈압 상승
  • 도부타민은 주로 β1-아드레날린 수용체를 활성화하여 심근 수축력을 증가시키고, 심박출량을 개선합니다. 도파민과 달리 혈관 수축 효과는 거의 없습니다.

임상에서의 적응증

1. 도파민의 적응증

심부전 (특히 저혈압을 동반한 경우)
심인성 쇼크, 패혈성 쇼크
신장 기능 저하(과거 사용, 현재는 제한적)
저혈압 환자에서 혈압 유지

📌 주의점: 고용량 사용 시 말초 혈관 수축으로 인해 조직 허혈이 발생할 수 있음.

2. 도부타민의 적응증

울혈성 심부전 (CHF)으로 인한 저심박출 상태
심인성 쇼크 (단, 혈압이 충분할 경우에만 사용)
심장 수술 후 심기능 저하
심초음파 스트레스 테스트 (약물 부하 검사)

📌 주의점: 혈관 수축 효과가 없거나 미미하여 저혈압 환자에서는 단독 사용이 어렵고, 도파민이나 노르에피네프린과 병용할 수 있음.


Q&A: 도파민 vs 도부타민

1️⃣ 도파민과 도부타민 중 혈압 상승 효과가 더 강한 것은?
👉 도파민(특히 고용량)은 α-아드레날린 수용체 작용으로 혈압을 올리는 효과가 큼. 도부타민은 혈압 상승 효과가 거의 없음.

2️⃣ 신장 기능을 개선하기 위해 도파민을 사용할 수 있을까?
👉 과거에는 ‘신장 보호 도파민’이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임상적 이점이 명확하지 않아 권장되지 않음.

3️⃣ 심장 수축력이 저하된 심부전 환자에게 어떤 약물이 더 적합할까?
👉 혈압이 낮지 않다면 도부타민이 적합. 하지만 혈압이 낮다면 도파민 또는 노르에피네프린과 병용 고려.

4️⃣ 패혈성 쇼크에서 도파민과 도부타민 중 무엇을 사용해야 할까?
👉 패혈성 쇼크에서 1차적으로는 노르에피네프린이 권장되며, 도파민은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음. 도부타민은 심박출량 개선이 필요할 때 추가적으로 고려.

5️⃣ 도부타민이 심초음파 스트레스 테스트에 사용되는 이유는?
👉 도부타민은 β1 작용을 통해 심박수와 심근 수축력을 증가시켜, 운동 부하를 줄 수 없는 환자에서 심초음파 검사 시 심장 기능 평가를 돕기 때문.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