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터 관련 혈류감염(CRBSI)은 중심정맥카테터(CVC), 말초 삽입 중심 정맥 카테터(PICC), 또는 기타 정맥 카테터 사용 중 발생하는 감염으로, 빠른 진단과 적절한 경험적 항생제 치료가 중요합니다.
🔍 주요 원인균 (Common Causative Pathogens)
CRBSI의 원인균은 주로 피부에 존재하는 미생물과 병원 내 감염균이 포함됩니다.
분류 | 주요 원인균 | 비고 |
그람양성균 (Gram-positive bacteria) | - Coagulase-negative Staphylococci (CoNS) (S. epidermidis 등) - Staphylococcus aureus (특히 MRSA) - Enterococcus spp. (VRE 포함 가능) | 가장 흔한 원인균이며, 피부에 존재하는 균들이 카테터 삽입을 통해 감염을 일으킴 |
그람음성균 (Gram-negative bacteria) | - Enterobacterales (E. coli, Klebsiella spp., Enterobacter spp. 등) - Pseudomonas aeruginosa - Acinetobacter spp. | 병원 내 감염, 면역저하 환자에서 위험성 증가 |
혐기성균 (Anaerobes) | - Candida spp. (Fungal infection) - Bacteroides spp. | 장기간 카테터 사용, 면역억제 상태(예: 중환자실, 종양 환자)에서 중요 |
💊 경험적 항생제 치료 (Empiric Antibiotic Therapy)
CRBSI의 경험적 치료는 원인균의 범위를 고려하여 광범위 항생제를 우선 사용한 후, 배양 결과에 따라 조정하는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1️⃣ 초기 경험적 치료 선택
- 광범위한 그람양성 및 MRSA 커버 → Vancomycin
- CoNS, MRSA, Enterococcus 감염 가능성 고려
- VRE(반코마이신 내성 장구균) 가능성이 높다면 → Daptomycin 또는 Linezolid 고려
- 그람음성균 커버 (중증 감염 또는 면역저하 환자) → 항녹농균 작용을 가진 β-lactam + β-lactamase 억제제 또는 세팔로스포린
- Piperacillin/tazobactam (Zosyn)
- Cefepime
- Carbapenems (Meropenem, Imipenem-cilastatin 등) → 다제내성균(MDR) 의심 시 고려
- Pseudomonas 감염 의심 시 → Ciprofloxacin or Aminoglycosides 추가 가능
- 진균 감염 의심 시 (장기간 카테터 사용, 면역저하 환자, TPN 사용 등) → 항진균제 추가
- Echinocandins (Caspofungin, Micafungin, Anidulafungin) → 광범위 항진균 효과
- Fluconazole → 감수성 있는 Candida 감염 시 사용
2️⃣ 치료 경로 결정
환자 상태 | 경험적 치료 선택 |
경증 환자 (패혈증 없음, 면역 정상) | Vancomycin 단독 (MRSA 고려) ± Cefepime (그람음성균 가능성 고려) |
중증 패혈증 (Severe Sepsis, Septic Shock) | Vancomycin + Piperacillin/Tazobactam or Meropenem |
면역저하 환자 (암, 장기 이식, 중환자실 등) | Vancomycin + Carbapenem ± 항진균제(Echinocandin 계열) |
진균 감염 의심 (장기 카테터 사용, 면역저하, TPN 사용 환자 등) | Vancomycin + 항진균제(Echinocandin 계열) |
녹농균 감염 고위험군 | Cefepime + Aminoglycoside or Ciprofloxacin |
🛑 치료 원칙 및 카테터 제거 고려 사항
- 카테터 제거 필요 여부 판단
- 패혈증(Sepsis) 또는 패혈성 쇼크가 있는 경우
- MRSA, Pseudomonas aeruginosa, Candida 감염이 확인된 경우
- 농양이나 혈전(Thrombophlebitis) 동반 시
- 48~72시간 항생제 치료에도 불구하고 증상이 호전되지 않는 경우
- 감염된 카테터 제거 후 항생제 치료 기간
- CoNS 감염: 5~7일
- S. aureus (MRSA 포함): 최소 14일
- 그람음성균 감염: 7~14일
- Candida 감염: 14일 이상 + 항진균제 사용
🔑 결론 (Key Takeaways)
✔ CRBSI의 주요 원인균: Coagulase-negative Staphylococci (CoNS), S. aureus (MRSA 포함), 그람음성균(Enterobacterales, Pseudomonas aeruginosa 등), 진균(Candida spp.)
✔ 경험적 항생제 치료: Vancomycin + 광범위 β-lactam (Piperacillin/Tazobactam, Cefepime 등)
✔ 면역저하 환자, 중증 패혈증, 또는 장기 카테터 사용 시 항진균제(Echinocandin) 추가
✔ MRSA, Pseudomonas, Candida 감염 시 카테터 제거 필수
✔ 감염 확진 후 배양 결과에 따라 항생제 치료 범위를 좁혀야 함
CRBSI는 신속한 진단과 적절한 치료가 환자의 예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경험적 항생제 선택과 카테터 제거 여부를 신속히 결정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
'중환자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심전도(ECG)에서 VPC(조기 심실 수축)가 나타날 때 확인해야 할 사항 (0) | 2025.02.10 |
---|---|
아미오다론의 작용 기전: 다중 이온 채널 조절제의 역할 (0) | 2025.02.08 |
중환자실(ICU) 환자의 부종과 알부민의 관계 (0) | 2025.02.07 |
중환자실에서 PPV와 Fluid Responsiveness (0) | 2025.02.07 |
디곡신(Digoxin), 언제 사용할까? (0) | 2025.0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