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원 환자가 호소하는 복통(Abdominal pain)은 매우 다양한 원인을 가질 수 있으며, 통증의 위치에 따라 감별 진단이 달라집니다. 복통의 원인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신속한 치료와 환자의 회복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 글에서는 복통의 부위별 원인과 진단법, 그리고 효과적인 통증 완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복통의 부위별 감별 진단
복부는 일반적으로 우상복부, 좌상복부, 우하복부, 좌하복부, 상복부, 하복부, 전복부로 나누어 진단합니다.
✅ 부위별 복통의 대표적인 원인
복부 부위 | 가능한 원인 |
우상복부(RUQ) | 담석증, 담낭염, 간염, 간농양, 위궤양, 십이지장궤양 |
좌상복부(LUQ) | 위염, 위궤양, 췌장염, 비장비대, 심근경색(방사통) |
우하복부(RLQ) | 충수염(맹장염), 크론병, 결장염, 난소염전, 자궁외임신 |
좌하복부(LLQ) | 게실염, 과민성 장 증후군, 난소낭종, 변비 |
상복부(Epigastric) | 위염, 위궤양, 췌장염, 식도염, 심근경색(방사통) |
하복부(Suprapubic) | 방광염, 요로결석, 골반염, 생리통, 전립선염 |
전복부(Generalized pain) | 장폐색, 복막염, 급성 위장염, 당뇨성 케톤산증 |
2. 주요 복통 원인의 특징과 진단
✅ 우상복부(RUQ) 통증
- 담낭염, 담석증: 기름진 음식 섭취 후 통증이 심해지며, 오른쪽 어깨로 방사통
- 간염, 간농양: 발열과 피로감 동반 가능
- 십이지장궤양: 공복 시 통증 심화
🔎 진단법: 복부 초음파, 간 기능 검사(LFT), 상부 위장관 내시경
✅ 좌상복부(LUQ) 통증
- 위염, 위궤양: 상복부 타는 듯한 통증, 음식 섭취에 따른 변화
- 췌장염: 심한 복통 + 허리로 방사통
- 비장비대: 감염(EBV, 말라리아) 또는 혈액 질환 동반 가능
🔎 진단법: 복부 CT, 내시경, 혈액 검사(아밀라아제, 리파아제)
✅ 우하복부(RLQ) 통증
- 충수염(맹장염): 초기에는 명치 통증, 이후 우하복부 이동
- 크론병, 결장염: 설사, 체중 감소 동반 가능
- 여성 생식기 문제: 난소염전, 자궁외임신 가능성
🔎 진단법: 복부 CT, 복부 초음파(특히 여성), 혈액 검사(CRP, WBC)
✅ 좌하복부(LLQ) 통증
- 게실염: 중년층 이상에서 흔하며 발열과 변비/설사 동반
- 과민성 장 증후군(IBS): 스트레스와 연관된 경련성 복통
🔎 진단법: 대장 내시경, 복부 CT, CRP
✅ 상복부(Epigastric) 통증
- 위염, 위궤양: 공복 시 심해지고 제산제로 완화
- 췌장염: 복부에서 허리로 방사통
- 심근경색: 가슴이 아닌 상복부에서 시작되는 경우 있음(특히 노인)
🔎 진단법: 심전도, 내시경, 혈액 검사(트로포닌, 리파아제)
✅ 하복부(Suprapubic) 통증
- 방광염: 배뇨 시 통증, 잦은 소변
- 요로결석: 갑작스러운 심한 통증(산통)
- 골반염(PID): 성적 접촉 이력, 발열, 질 분비물 동반
🔎 진단법: 소변 검사, 초음파, CT
3. 복통 완화 방법
복통 치료는 원인 질환에 따라 달라지지만,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방법을 사용합니다.
✅ 일반적인 통증 완화 방법
통증 원인 | 완화 방법 |
소화기 질환 (위염, 궤양, 식도염 등) | 제산제, PPI(위산 억제제), 가벼운 식사 |
담낭염, 담석증 | 금식 후 수액 공급, 필요 시 담낭 절제술 |
췌장염 | 금식, 수액 공급, 진통제 |
충수염 | 응급 수술(충수 절제술) |
요로결석 | 수분 섭취 증가, 진통제, 필요 시 체외충격파 쇄석술(ESWL) |
게실염 | 저잔사식, 항생제 치료 |
골반염(PID) | 항생제 치료, 성적 파트너 치료 필요 |
4. 응급실 방문이 필요한 경우 🚨
다음과 같은 증상이 동반될 경우 즉시 의료진에게 알리고 응급 평가가 필요합니다.
- 갑작스럽고 극심한 복통 (파열 위험 가능)
- 복부가 단단하고 압통 심한 경우 (복막염 가능)
- 혈변 또는 흑색 변 (출혈 가능)
- 황달 동반(피부, 눈 노래짐) (간담도 질환 가능)
- 고열과 심한 오한 (패혈증 가능)
- 복통과 함께 의식 변화, 혈압 저하 (쇼크 가능)
결론
입원 환자의 복통은 단순한 소화기 문제부터 응급 수술이 필요한 질환까지 다양한 원인을 가질 수 있습니다. 복통의 부위와 동반 증상을 고려하여 정확한 진단이 필요하며, 원인에 따라 적절한 치료가 이루어져야 합니다.
특히, 갑작스러운 극심한 통증이나 동반 증상이 있는 경우 빠른 진단과 치료가 중요하므로, 의료진과 적극적으로 소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의학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간경화 환자의 복수 조절 방법 (0) | 2025.02.25 |
---|---|
금식 중인 환자에서 PPI를 처방하는 이유 (0) | 2025.02.25 |
응급실에서 시행하는 Expert PCR 검사란? 언제 시행할까? (0) | 2025.02.25 |
응급실에서 시행하는 AFB Stain 검사란? (0) | 2025.02.25 |
바클로펜(Baclofen)은 언제 사용할까? (0) | 2025.0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