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 속 건강

당뇨 수치표 정리: 당뇨 진단 기준

비비닥 2025. 5. 30. 07:36

당뇨병은 혈당 수치를 통해 진단되고 관리되는 대표적인 만성 질환입니다.
정확한 수치를 알고 있어야 질병을 조기에 발견하고, 진행을 늦추며,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공복혈당, 식후혈당, 당화혈색소(HbA1c) 등을 중심으로 한 당뇨 수치표를 한눈에 보기 쉽게 정리해 드릴게요.

당뇨 수치표 정리: 당뇨 진단 기준


📌 당뇨 진단 기준 수치표

항목 정상 당뇨 전 단계 (공복혈당장애) 당뇨병 진단 기준
공복 혈당 (mg/dL) 70~99 100~125 126 이상
식후 2시간 혈당 (mg/dL) 140 미만 140~199 200 이상
HbA1c (% 당화혈색소) 5.6 이하 5.7~6.4 6.5 이상
랜덤 혈당 (임의 측정) - - 200 이상 + 증상 동반 시

🔍 참고: 대한당뇨병학회, 미국당뇨병학회(ADA) 진단 기준, 2023


🧪 용어 설명

  • 공복 혈당: 8시간 이상 금식 후 측정한 혈당
  • 식후 2시간 혈당: 식사 시작 후 2시간 경과 시 측정
  • HbA1c (당화혈색소): 최근 2~3개월간 평균 혈당 수치 반영
  • 랜덤 혈당: 식사 여부와 관계없이 임의로 측정한 혈당

✅ 당뇨 환자의 목표 혈당 수치 (치료 중 관리 목표)

항목 권장 목표 수치
공복 혈당 80~130 mg/dL
식후 2시간 혈당 180 mg/dL 이하
HbA1c 6.5~7.0% 이하 (개인별 조정 가능)

⚠️ 노인, 저혈당 위험이 높은 경우엔 목표 수치를 더 완화하기도 합니다.


🩺 당뇨병 자가 진단 체크리스트

✅ 가족력(부모, 형제 중 당뇨병 환자 있음)
✅ 비만 또는 과체중 (BMI 25 이상)
✅ 고혈압 또는 고지혈증 병력
✅ 45세 이상 중장년층
✅ 잦은 피로감, 시야 흐림, 잦은 배뇨 등 증상
✅ 임신성 당뇨병 이력

☞ 위 항목 중 2개 이상 해당한다면 혈당 검사 권장!


🧐 자주 묻는 질문 (Q&A)

Q1. 식후혈당이 200인데 당뇨인가요?
A1. 한 번의 측정만으로는 단정할 수 없으며, 반복 측정 및 HbA1c 검사 필요합니다.

Q2. HbA1c는 낮은데 식후혈당이 높을 수 있나요?
A2. 네. 단기적으로 식후 혈당이 급등할 경우 그럴 수 있으며, 식후혈당 관리가 별도로 필요합니다.

Q3. 혈당이 정상인데도 증상이 있어요. 당뇨일 수 있나요?
A3. 증상이 있을 경우 임의 혈당 및 포도당 부하 검사(OGTT) 등 추가 검사가 필요합니다.

Q4. 당뇨 전 단계도 치료가 필요한가요?
A4. 네. 이 시기에 식습관과 생활습관 개선을 통해 당뇨병 진행을 막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Q5. 혈당 측정은 하루 중 언제 하는 게 좋나요?
A5. 공복, 식후 2시간, 자기 전 혈당 측정이 일반적이며, 환자 상태에 따라 조정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