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글로벌 제약 시장의 판도를 뒤흔들고 있는 기업이 있다면 어디일까요? 많은 분들이 바로 일라이 릴리(Eli Lilly)를 떠올리실 텐데요, 비만 치료제 '마운자로'와 '젭바운드'의 신화적인 성공을 넘어, 과연 어떤 혁신적인 신약들로 미래를 그리고 있을까요?
일라이 릴리는 2025년, 비만 및 당뇨병 치료제 시장에서의 압도적 리더십을 공고히 하는 동시에, 알츠하이머병과 자가면역질환 등 난치성 질환 분야에서 획기적인 치료 옵션을 선보이며 인류의 건강한 삶을 위한 새로운 지평을 열고 있습니다.
2025년 제약업계의 게임 체인저: 일라이 릴리의 혁신 신약 포트폴리오
2025년 현재, 일라이 릴리는 단순히 하나의 블록버스터에 의존하는 기업이 아닙니다. 알츠하이머병, 자가면역질환, 항암제 등 다양한 분야에서 다년간의 연구개발이 결실을 보며 막강한 신약 포트폴리오를 구축했습니다. 그중에서도 시장의 기대를 한 몸에 받고 있는 핵심 신약들을 집중 조명해 보겠습니다.
알츠하이머 정복의 새로운 희망, 도나네맙(Donanemab)
아마 2025년 상반기 가장 뜨거운 신약 중 하나일 것입니다. 도나네맙은 알츠하이머병의 핵심 원인인 '아밀로이드 베타' 단백질 응집체를 직접 제거하는 항체 치료제입니다.
- 차별점: 기존의 치료제들이 병의 진행을 늦추는 데 그쳤다면, 도나네맙은 질병의 원인을 직접 제거하는 '질병 조절 치료(Disease-Modifying Therapy)'의 개념을 한 단계 발전시켰습니다. 특히 이미 형성된 단단한 아밀로이드 '플라크'를 제거하는 데 강력한 효과를 보입니다.
- 투여 방식의 혁신: 가장 큰 특징은 뇌 속 아밀로이드 플라크가 일정 수준 이하로 깨끗하게 제거되면 투약을 중단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이는 환자의 치료 부담과 비용을 줄일 수 있는 혁신적인 접근법으로 평가받습니다.
- 현재 상태: 미국 FDA의 정식 승인을 받고 본격적인 상업화에 돌입했으며, 초기 알츠하이머병 환자들에게 새로운 희망이 되고 있습니다.
"도나네맙의 승인은 알츠하이머병 치료가 증상 완화에서 질병의 근본 원인 제거로 전환되는 역사적 순간이며, 특히 아밀로이드 플라크가 충분히 제거되면 치료를 중단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 최초의 약물입니다."
왕좌를 넘어 제국으로: 티르제파티드(Tirzepatide)의 확장
'마운자로(당뇨병)'와 '젭바운드(비만)'라는 이름으로 이미 시장을 평정한 티르제파티드는 2025년, 그 영역을 더욱 확장하고 있습니다.
- 적응증 확대: 단순한 혈당 조절과 체중 감량을 넘어, 비만과 관련된 다양한 동반 질환 치료제로의 가능성을 입증하고 있습니다. 특히 폐쇄성 수면무호흡증(OSA)과 대사이상 관련 지방간염(MASH)(구 비알코올성 지방간염, NASH)에서의 긍정적인 임상 데이터 발표로 시장의 기대를 모으고 있습니다.
- 심혈관 혜택 입증: 대규모 임상을 통해 심혈관 질환 발생 위험을 유의미하게 감소시키는 효과를 입증하며, 단순 비만 치료제를 넘어선 '심대사 질환' 전반의 치료제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티르제파티드의 진정한 가치는 단순히 체중 감량을 넘어, 비만으로 인해 파생되는 수면무호흡증, 지방간, 심혈관 질환 등 다양한 대사성 질환 전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잠재력에 있습니다."
만성질환을 정조준하는 새로운 면역학 강자들
일라이 릴리는 자가면역질환 분야에서도 새로운 블록버스터를 연이어 배출하고 있습니다.
- 미리키주맙 (Mirikizumab, Omvoh™): 중등도-중증의 궤양성 대장염 치료제로, 염증을 유발하는 특정 단백질(IL-23p19)을 선택적으로 억제합니다. 기존 치료에 실패한 환자들에게 새로운 희망을 제공하며 빠르게 시장에 안착하고 있습니다.
- 레브리키주맙 (Lebrikizumab, Ebglyss™): 중등도-중증의 아토피 피부염 치료제로, 가려움증과 피부 병변의 핵심 원인인 IL-13 사이토카인을 표적으로 합니다. 특히 빠르고 지속적인 가려움증 개선 효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2025년 일라이 릴리 핵심 신약 요약
신약명 (브랜드명) | 대상 질환 | 핵심 작용 기전 | 2025년 주요 특징 |
도나네맙 | 초기 알츠하이머병 | 아밀로이드 플라크 직접 제거 | FDA 승인 후 본격 상업화, 투약 중단 가능 |
티르제파티드 | 당뇨병, 비만 등 | GIP/GLP-1 이중 작용 | 수면무호흡증, MASH 등 적응증 확대 기대 |
미리키주맙 (옴보) | 궤양성 대장염 | IL-23p19 억제 | 신규 기전의 치료 옵션으로 시장 점유율 확대 |
레브리키주맙 (엡글리스) | 아토피 피부염 | IL-13 억제 | 빠르고 강력한 가려움증 개선 효과 부각 |
퍼토브루티닙 (제이피르카) | 혈액암 (MCL, CLL/SLL) | 비공유결합 BTK 억제 | 기존 BTK 억제제 내성 환자에게 새로운 대안 |
Q & A
- Q: 도나네맙은 레카네맙(레켐비)과 어떻게 다른가요? A: 두 약물 모두 아밀로이드를 제거하지만, 작용하는 대상이 약간 다릅니다. 레카네맙이 뇌에 쌓이기 시작하는 단계의 아밀로이드를 주로 공략한다면, 도나네맙은 이미 단단하게 형성된 아밀로이드 '플라크'를 제거하는 데 더 강력한 효과를 보입니다.
- Q: 티르제파티드의 새로운 적응증들은 이미 승인되었나요? A: 2025년 8월 현재, 폐쇄성 수면무호흡증(OSA) 등에 대한 적응증은 긍정적인 임상 3상 결과를 바탕으로 FDA의 승인 심사가 진행 중이거나 곧 신청될 예정입니다. 연내 승인에 대한 기대감이 매우 높은 상황입니다.
- Q: 새로운 면역질환 치료제들의 장점은 무엇인가요? A: 미리키주맙과 레브리키주맙은 기존 치료제에 반응하지 않거나 부작용으로 치료를 지속하기 어려웠던 환자들에게 새로운 기전의 치료 옵션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습니다. 특정 염증 경로만을 정밀하게 차단하여 효과를 높이고 부작용을 줄인 것이 특징입니다.
- Q: 이 신약들이 한국에는 언제쯤 도입될까요? A: 글로벌 신약의 국내 도입은 식품의약품안전처의 허가 및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급여 등재 과정을 거쳐야 하므로 통상적으로 1~2년 이상의 시간이 소요됩니다. 도나네맙의 경우 국내 환자를 대상으로 한 별도의 가교 임상이 진행 중이며, 레브리키주맙(엡글리스)은 최근 국내 허가를 받고 급여 등재를 논의하는 등 각 약물마다 도입 단계에 차이가 있습니다.
- Q: 일라이 릴리의 다음 미래 먹거리는 무엇인가요? A: 현재 개발 중인 경구용 GLP-1 유사체(먹는 비만/당뇨약) '오르포글리프론(Orforglipron)'이 큰 기대를 받고 있습니다. 또한, 심혈관 질환, 다양한 암, 면역 질환 분야에서 혁신적인 기전의 후보물질들이 후기 임상 단계에 있어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됩니다.
참고 자료 (Reference)
- Eli Lilly and Company (2025). Investor Relations, Press Releases.
- U.S. Food & Drug Administration (FDA) (2025). Novel Drug Approvals.
- 각종 의약 전문 언론 보도 (FiercePharma, BioSpace 등) 2025년 기사 종합.
'의학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츠하이머 치료의 새 시대: 아밀로이드 항체 치료제의 등장 (3) | 2025.08.17 |
---|---|
리튬 결핍, 알츠하이머병의 숨겨진 방아쇠인가? (2) | 2025.08.17 |
내 머리가 흔들리는 이유: 머리 떨림의 다양한 원인들 (3) | 2025.07.29 |
타이레놀 과량복용 (1) | 2025.07.29 |
전자담배와 폐 섬유화는 정말 연관이 있을까? (1) | 2025.07.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