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의학 지식

트라넥삼산(Tranexamic Acid)의 올바른 투여 방법: 지혈 효과를 극대화하는 핵심 가이드

by 비비닥 2025. 10. 22.

의료 전문가가 트라넥삼산(Tranexamic Acid) 약병과 주사기를 들고 정맥 주사를 준비하는 모습
트라넥삼산(Tranexamic Acid)의 올바른 투여 방법

외상, 수술, 그리고 산후출혈과 같은 심각한 출혈 상황에서 효과적인 지혈은 환자의 생명을 구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트라넥삼산 투여는 섬유소 용해를 억제하여 혈괴를 안정시키고 출혈을 감소시키는 중요한 치료 전략 중 하나입니다. 이 글에서는 트라넥삼산(Tranexamic Acid, TXA)의 작용 기전부터 각 적응증에 맞는 정확한 투여 방법까지, 임상 현장에서 반드시 알아야 할 핵심 지식을 총정리합니다.

트라넥삼산(Tranexamic Acid)이란 무엇인가?

트라넥삼산은 라이신(lysine) 아미노산의 합성 유도체로, 강력한 항섬유소용해(antifibrinolytic) 효과를 가진 약물입니다. 우리 몸은 출혈이 발생하면 혈액을 응고시켜 혈괴(fibrin clot)를 만들어 출혈을 막습니다. 동시에, 혈관이 다시 막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플라스민(plasmin)이라는 물질이 이 혈괴를 서서히 분해하는 '섬유소 용해' 과정이 일어납니다.

하지만 과도한 출혈 상황에서는 이 섬유소 용해 과정이 너무 활발해져 지혈을 방해할 수 있습니다. 트라넥삼산은 바로 이 지점에서 작용합니다. 플라스민의 전구체인 플라스미노겐(plasminogen)이 혈괴에 결합하는 것을 막아 플라스민으로의 활성화를 억제하고, 결과적으로 혈괴가 조기에 분해되는 것을 막아 지혈을 돕습니다. 올바른 트라넥삼산 투여는 이 기전을 통해 효과를 극대화합니다.

주요 적응증 및 투여 경로

트라넥삼산은 다양한 임상 상황에서 출혈을 줄이기 위해 사용됩니다. 투여 경로는 상황의 긴급성과 목적에 따라 달라집니다.

주요 적응증 일반적인 투여 경로 설명
중증 외상 (Major Trauma) 정맥 주사 (IV) 과다 출혈이 있거나 예상되는 외상 환자의 사망률 감소
산후출혈 (PPH) 정맥 주사 (IV) 자궁 수축제 사용 후에도 출혈이 지속될 때 사망 위험 감소
수술 중/후 출혈 예방 정맥 주사 (IV) 심장, 정형외과, 간 등 주요 수술 시 수혈 요구량 감소
월경과다 (Heavy Menstrual Bleeding) 경구 투여 (Oral) 비호르몬적 치료 옵션으로 월경 출혈량 감소
비출혈 (코피), 치과 시술 후 국소 적용 (Topical) 약물을 적신 거즈를 이용해 국소적으로 지혈

적응증별 트라넥삼산 투여 용량 및 방법

효과적인 지혈을 위해서는 적응증에 맞는 정확한 용량과 속도로 트라넥삼산 투여가 이루어져야 합니다.

1. 중증 외상 환자 (CRASH-2 프로토콜 기반)

  • 부하 용량 (Loading Dose): 1g을 100mL의 생리식염수에 희석하여 10분 이상에 걸쳐 천천히 정맥 주사합니다.
  • 유지 용량 (Maintenance Dose): 이후 1g을 8시간에 걸쳐 점적 정맥 주사합니다.

* 중요: 외상 발생 3시간 이내에 투여를 시작해야 효과적입니다.

2. 산후출혈 (WOMAN 트라이얼 기반)

  • 초기 용량: 1g (100mg/mL)을 10분 이상에 걸쳐 천천히 정맥 주사합니다. (1mL/min 속도)
  • 추가 용량: 30분 후에도 출혈이 지속되거나 24시간 내에 재발할 경우, 1g을 추가로 투여할 수 있습니다.

투여 시 반드시 알아야 할 주의사항

안전한 트라넥삼산 투여를 위해 다음 사항들을 반드시 숙지해야 합니다.

🔴 중대한 금기 및 부작용
  • 급성 혈전색전증: 활동성 혈전색전증(예: DVT, PE) 환자에게는 금기입니다.
  • 빠른 정맥 주사: 10분 미만으로 빠르게 주사할 경우 저혈압을 유발할 수 있어 반드시 천천히 투여해야 합니다.
  • 신부전 환자: 신장으로 배설되므로 중증 신부전 환자는 용량 조절이 필수적입니다.
  • 파종성혈관내응고(DIC): 섬유소 용해 과정이 우세한 유형이 아니라면 사용에 극도의 주의가 필요합니다.
🟡 일반적인 부작용

소화기계 증상(오심, 구토, 설사), 어지럼증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대부분 경미하며 일시적입니다.

Q & A: 트라넥삼산 투여에 대한 흔한 질문들

Q1: 트라넥삼산을 근육 주사(IM)로 투여해도 되나요?

A1: 아니요, 권장되지 않습니다. 트라넥삼산의 근육 주사는 국소 괴사를 유발할 수 있으며, 효과와 안전성이 확립되지 않았습니다. 정맥 주사나 경구 투여가 표준적인 방법입니다.


Q2: 외상 후 3시간이 지났는데, 그래도 트라넥삼산 투여가 의미가 있을까요?

A2: CRASH-2 연구에 따르면, 외상 후 3시간이 지나서 트라넥삼산 투여를 시작하면 오히려 예후가 좋지 않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3시간 이내에 투여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Q3: 다른 수액과 혼합하여 투여해도 되나요?

A3: 트라넥삼산은 대부분의 수액(생리식염수, 5% 포도당 등)과 혼합 가능합니다. 하지만 혈액 제제나 페니실린과는 혼합해서는 안 됩니다.


Q4: 임신 중이나 수유 중에 사용해도 안전한가요?

A4: 트라넥삼산은 태반을 통과하고 모유로 분비됩니다. 하지만 산후출혈과 같이 치료적 이득이 위험성을 상회한다고 판단될 때 의사의 감독 하에 신중하게 사용됩니다.


Q5: 경구 트라넥삼산 투여 시 식사와 관계없이 복용해도 되나요?

A5: 네, 경구용 트라넥삼산은 식사와 관계없이 복용할 수 있습니다. 위장 장애가 나타날 경우 음식과 함께 복용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참고 자료 (References)

  • CRASH-2 trial collaborators. (2010). Effects of tranexamic acid on death, vascular occlusive events, and blood transfusion in trauma patients with significant haemorrhage (CRASH-2): a randomised, placebo-controlled trial. The Lancet. Link
  • WOMAN trial collaborators. (2017). Effect of early tranexamic acid administration on mortality, hysterectomy, and other morbidities in women with post-partum haemorrhage (WOMAN): an international, randomised,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trial. The Lancet. Link
  • UpToDate. (2025). Tranexamic acid: Drug information. Lin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