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스피린은 성인뿐 아니라 소아에게도 필요한 경우가 있습니다. 하지만 소아 아스피린 복용은 매우 조심스러워야 하며, 용량 조절이 핵심입니다. 특히 해열·진통 목적으로 사용 시에는 라이 증후군(Reye’s Syndrome) 위험으로 인해 대부분 제한되며, 심장 질환 등의 특별한 경우에만 쓰입니다. 이 글에서는 소아 아스피린 용량, 하루 최대 용량, 그리고 진통 용도로 쓰일 수 있는 경우에 대해 정확하게 알려드릴게요.👶🩺

아스피린 소아 용량 🧒
아스피린은 일반적으로 체중(kg)당 mg 단위로 계산합니다. 그러나 무조건적인 복용은 금물이며, 반드시 의사의 지시에 따르셔야 합니다.
| 목적 | 1회 용량 | 1일 최대 횟수 | 1일 최대 용량 |
|---|---|---|---|
| 류마티스열/카와사키병 등 | 10~15mg/kg | 4회 | 60mg/kg/day |
| 항혈소판 작용 (심장질환 등) | 3~5mg/kg | 1회 | 3~5mg/kg/day |
예: 20kg 아동의 경우 항혈소판 용도로는 1일 100mg 복용 (최대), 류마티스열 치료 용도는 하루 800~1200mg까지 처방 가능
진통·해열 목적 아스피린, 소아에게 금기인 이유 ❌
- 라이 증후군(Reye's Syndrome): 아스피린이 바이러스 감염(예: 독감, 수두) 중인 소아에게 투여될 경우, 드물지만 치명적인 간·뇌 손상 증후군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이 때문에 18세 미만은 아스피린 복용을 피해야 하며, 특히 해열·진통 용도라면 아세트아미노펜(타이레놀)이나 이부프로펜으로 대체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소아에게 아스피린이 필요한 특별한 경우는? ✅
| 상황 | 사용 이유 |
|---|---|
| 카와사키병 치료 | 심장 합병증 예방을 위한 항염 및 항혈소판 작용 |
| 선천성 심장병 수술 후 | 혈전 형성 억제 목적 |
| 류마티스열 치료 | 소염 효과 및 심장판막염 예방 |
이러한 경우도 반드시 전문의 처방 하에 용량 조절과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하루 최대 용량은 어떻게 계산할까요? 🧮
- 성인 기준 최대 진통 용량: 1회 500~1000mg, 하루3~4회 (최대 4000mg/day)
- 소아 최대 용량: 용도에 따라 다르며, 일반적으로 60~100mg/kg/day 범위 안에서 조절
| 체중(kg) | 1일 최대 용량(소염/진통 기준) |
|---|---|
| 10kg | 600~1000mg |
| 20kg | 1200~2000mg |
| 30kg | 1800~3000mg |
실제 사례로 본 용량 조절의 중요성 👨👩👧
지인의 자녀는 카와사키병으로 입원 중 아스피린을 복용하게 되었는데, 처음엔 너무 어린 나이에 아스피린을 먹는다는 것에 놀랐다고 합니다. 하지만 의사 선생님의 설명을 듣고 정해진 용량만 복용하면 안전하다는 것을 이해하고 안심할 수 있었어요. 이후 정기적인 혈액검사와 모니터링을 통해 큰 문제 없이 잘 회복하였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 (Q&A)
Q1. 아이가 열이 나는데 아스피린을 써도 될까요?
A1. 절대 안 됩니다. 열에는 아세트아미노펜이나 이부프로펜을 사용하세요.
Q2. 아이가 실수로 아스피린을 먹었어요. 병원 가야 하나요?
A2. 복용량과 체중에 따라 위험할 수 있으므로 즉시 병원에 가세요.
Q3. 소아용 아스피린은 시중에 판매되나요?
A3. 국내에서는 대부분 일반 판매되지 않으며, 병원 처방이 필요합니다.
Q4. 장기 복용 시 문제가 없을까요?
A4. 위장 출혈, 간기능 저하, 혈소판 감소 등 부작용이 있을 수 있어 정기적 검사가 필수입니다.
Q5. 아스피린 대체 약이 있나요?
A5. 해열·진통 목적엔 타이레놀(아세트아미노펜), 소염 작용은 이부프로펜 등이 대체로 사용됩니다.
참고: 대한소아과학회, 미국소아과학회(AAP), WHO 약물 가이드라인
'의학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엔세이드(NSAIDs) 진통제 종류, 어떤 약이 어떻게 다를까? (0) | 2025.05.25 |
|---|---|
| 엔세이드(NSAIDs) 진통제, 알고 복용하면 덜 위험합니다 (0) | 2025.05.25 |
| 아스피린 프로텍트정, 꼭 필요한 사람만 복용해야 합니다 (0) | 2025.05.25 |
| 아스피린의 모든 것: 화학식부터 효능, 부작용까지 한눈에 보기 (0) | 2025.05.25 |
| 뇌출혈 초기증상, 생명을 지키는 골든 타임 (0) | 2025.05.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