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의학 지식

팔리페리돈 vs. 리스페리돈: 조현병 치료제의 두 주자 비교 분석

by 비비닥 2025. 7. 5.

팔리페리돈리스페리돈은 모두 비정형 항정신병 약물(Atypical Antipsychotics)로 분류되며, 주로 조현병양극성 장애 치료에 사용됩니다. 이 두 약물은 뇌 내의 도파민 D2 수용체와 세로토닌 5-HT2A 수용체에 작용하여 정신병적 증상을 완화하는 기전을 공유합니다. 하지만 팔리페리돈은 리스페리돈의 활성 대사체라는 점에서 가장 큰 차이를 보이며, 이러한 특징은 두 약물의 약동학적 특성, 제형, 그리고 임상적 활용에 중요한 영향을 미칩니다.

팔리페리돈 vs. 리스페리돈: 조현병 치료제의 두 주자 비교 분석

1. 팔리페리돈과 리스페리돈의 관계 및 작용 기전

리스페리돈 (Risperidone)

리스페리돈은 1990년대 초반에 개발된 비정형 항정신병 약물로, 뇌 내의 도파민 D2 수용체와 세로토닌 5-HT2A 수용체를 동시에 차단하여 양성 증상(환각, 망상 등)과 음성 증상(무감동, 의욕 저하 등)을 모두 개선하는 효과를 가집니다. 경구 투여 시 체내에서 대사 과정을 거쳐 9-하이드록시-리스페리돈(9-hydroxyrisperidone)이라는 활성 대사체로 변환됩니다. 이 9-하이드록시-리스페리돈이 바로 팔리페리돈입니다. 즉, 리스페리돈을 복용하면 우리 몸속에서 팔리페리돈으로 바뀌어 약효를 나타내는 셈입니다.

팔리페리돈 (Paliperidone)

팔리페리돈은 리스페리돈의 주요 활성 대사체인 9-하이드록시-리스페리돈을 약물 자체로 개발한 것입니다. 리스페리돈과 유사하게 도파민 D2 및 세로토닌 5-HT2A 수용체에 대한 길항 작용을 통해 항정신병 효과를 나타냅니다. 팔리페리돈은 리스페리돈과 달리 간에서 CYP2D6 효소에 의한 대사 과정을 거치지 않고 주로 신장을 통해 배설됩니다. 이러한 특징은 약물 상호작용 측면에서 장점이 될 수 있습니다.

"팔리페리돈은 리스페리돈의 활성 대사체로서, 리스페리돈이 체내에서 대사되어야 비로소 나타나는 약리 작용을 팔리페리돈은 그 자체로 발휘합니다. 이는 약물 간 상호작용 위험을 줄이고 보다 예측 가능한 약물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합니다."

2. 주요 차이점: 약동학적 특성 및 제형

대사 및 배설 경로

  • 리스페리돈: 주로 간의 CYP2D6 효소에 의해 대사되어 팔리페리돈(9-하이드록시-리스페리돈)으로 변환된 후 신장을 통해 배설됩니다. CYP2D6 효소의 유전적 다형성으로 인해 개인별 대사 속도에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 팔리페리돈: 간 대사를 거의 거치지 않고 주로 신장을 통해 미변화체 형태로 배설됩니다. 이는 다른 약물과의 상호작용 가능성이 리스페리돈보다 적다는 장점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특히 간 기능이 저하된 환자에게 유리할 수 있습니다.

제형 및 투여 방식

  • 리스페리돈: 주로 경구 정제 형태로 복용하며, 2주에 한 번 투여하는 장기 지속형 주사제(Risperdal Consta 등)도 있습니다. 장기 지속형 주사제는 초기 2주간 경구제를 병용해야 하는 특징이 있습니다.
  • 팔리페리돈: 경구 서방정(Invega 등) 외에도 월 1회, 3개월 1회 주사하는 장기 지속형 주사제(Invega Sustenna, Invega Trinza 등)가 개발되어 있습니다. 특히 팔리페리돈 장기 지속형 주사제는 초기 경구제 병용 투여가 필요 없으며, 냉장 보관이 필요 없는 등 편의성이 개선되었습니다. 이러한 주사제형은 환자의 복약 순응도를 높여 재발률을 낮추는 데 큰 기여를 합니다.
"환자들의 복약 순응도는 정신질환 치료의 성공에 매우 중요합니다. 팔리페리돈 장기 지속형 주사제는 매일 약을 복용해야 하는 부담을 줄여주어, 환자들이 꾸준히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돕는 큰 장점이 있습니다."

3. 효능 및 부작용 비교

두 약물 모두 비정형 항정신병 약물로서 유사한 효능과 부작용 프로파일을 가집니다. 임상 연구에서는 두 약물이 조현병 치료에 있어 동등한 수준의 효과와 안전성을 보인다고 보고된 바 있습니다.

공통적인 효능

  • 조현병의 양성 증상(환각, 망상) 및 음성 증상(정서 둔마, 사회적 위축) 개선
  • 양극성 장애의 조증 및 혼합 삽화 치료

공통적인 부작용

  • 추체외로 증상 (EPS): 정좌불능증(akathisia), 근육긴장이상(dystonia), 파킨슨증(parkinsonism)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리스페리돈은 비교적 고용량에서 EPS 발생 위험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 고프로락틴혈증 (Hyperprolactinemia): 유즙 분비, 무월경, 성기능 장애 등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두 약물 모두 프로락틴 수치 상승 위험이 있습니다.
  • 체중 증가: 대사성 부작용으로 체중 증가가 나타날 수 있으며, 이는 당뇨병, 고지혈증 등의 위험을 높일 수 있습니다.
  • 진정(졸림), 어지러움: 특히 치료 초기나 용량 증량 시 나타날 수 있습니다.
  • 기립성 저혈압: 자세 변경 시 혈압이 급격히 떨어지는 증상입니다.
  • QTc 간격 연장: 심전도상의 QTc 간격을 연장시킬 수 있어, 심장 질환이 있는 환자는 주의가 필요합니다.

차이점 및 고려 사항

  • 과민 반응: 리스페리돈 과민 환자는 팔리페리돈에도 과민 반응을 보일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이는 두 약물이 구조적으로 유사하고, 팔리페리돈이 리스페리돈의 대사체이기 때문입니다.
  • 신장 기능: 팔리페리돈은 주로 신장으로 배설되므로, 신장 기능이 저하된 환자의 경우 용량 조절이 필요합니다. 리스페리돈도 대사체인 팔리페리돈이 신장으로 배설되므로 신기능 저하 시 주의해야 합니다.
  • CYP2D6 유전형: 리스페리돈의 경우 CYP2D6 효소의 활성 정도에 따라 약물 대사 속도가 달라질 수 있어, 유전적 다형성이 약물 농도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팔리페리돈은 이러한 대사 과정을 거치지 않으므로 비교적 약물 농도 예측이 용이합니다.

팔리페리돈리스페리돈은 조현병 및 양극성 장애 치료에 중요한 비정형 항정신병 약물입니다. 팔리페리돈은 리스페리돈의 활성 대사체로서, 간 대사를 덜 거치고 다양한 장기 지속형 주사제형이 개발되어 환자의 복약 순응도를 높이는 데 기여합니다. 두 약물은 유사한 효능과 부작용 프로파일을 가지지만, 개인의 특성과 치료 목표에 따라 적절한 약물과 제형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따라서 반드시 전문 의료진과 충분히 상담하여 자신에게 가장 적합한 치료 계획을 세워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