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환자의학

감염성 심내막염: 삼첨판(Tricuspid) vs 승모판(Mitral) Vegetation 원인 차이 및 치료

by 비비닥 2025. 10. 25.
청진기가 심장 해부도 위에 놓여 있으며, 감염성 심내막염의 진단을 상징하는 모습

'감염성 심내막염(Infective Endocarditis, IE)'은 심장의 내막, 특히 심장 판막에 세균이나 곰팡이가 자라나 '우종(Vegetation)'이라는 균 덩어리를 형성하는 심각한 질환입니다. 그런데 이 감염이 어느 판막에 생기느냐에 따라 주된 원인과 위험 요인이 극명하게 갈립니다. 특히 삼첨판(Tricuspid valve)승모판(Mitral valve) 감염은 임상적으로 매우 다른 접근을 필요로 합니다. 오늘 이 삼첨판 승모판 감염 차이에 대해 명확하게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 좌심계 감염: 승모판(Mitral Valve) Vegetation

승모판은 좌심방과 좌심실 사이에 위치하며, 전신으로 혈액을 내보내는 '좌심계(Left-sided heart)'의 고압력 시스템에 속합니다.

  • 주요 위험인자:
    • 기존 판막 질환: 류마티스성 심질환, 승모판 탈출증(MVP), 퇴행성 판막 질환 등 이미 손상된 판막에 세균이 잘 달라붙습니다.
    • 치과 시술: 발치나 스케일링 등 구강 내 시술 시 일시적으로 혈액 내 세균이 도는 '일과성 균혈증'이 주요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 기타: 인공 판막 수술 이력, 선천성 심질환 등
  • 주요 원인균:
    • 비리단스 연쇄상구균 (Viridans streptococci): 구강 내 상재균으로, 치과 시술과 관련성이 매우 높습니다.
    • 포도상구균 (Staphylococcus aureus): 점차 비중이 높아지고 있으며, 예후가 더 나쁜 경향이 있습니다.
  • 주요 합병증: 승모판에서 떨어진 균 덩어리(색전)가 뇌혈관을 막아 뇌졸중(Stroke)을 일으키거나, 신장, 비장 등으로 날아갈 수 있습니다. 또한 판막 손상으로 인한 심부전 위험이 높습니다.

💉 우심계 감염: 삼첨판(Tricuspid Valve) Vegetation

삼첨판은 우심방과 우심실 사이에 위치하며, 폐로 혈액을 보내는 '우심계(Right-sided heart)'의 저압력 시스템에 속합니다.

High Risk Factor: 강력한 연관 관계
삼첨판 감염성 심내막염은 정맥주사 약물 남용(Intravenous Drug Use, IVDU)과 매우 강력한 연관성을 가집니다. 오염된 주사기나 약물을 통해 피부의 상재균(주로 포도상구균)이 정맥으로 직접 들어가 심장의 '첫 관문'인 삼첨판을 공격하기 때문입니다.
  • 주요 위험인자:
    • 정맥주사 약물 남용 (IVDU): 가장 중요하고 흔한 원인입니다.
    • 의료 관련 감염: 중심정맥관(Central line), 심장박동기(Pacemaker) 또는 제세동기(ICD) 리드선 등 체내 삽입된 기구를 통한 감염도 원인이 됩니다.
  • 주요 원인균:
    • 황색포도상구균 (Staphylococcus aureus): IVDU 관련 감염의 압도적인 1위 원인균이며, MRSA(메티실린 내성 포도상구균) 비율도 높습니다.
  • 주요 합병증: 삼첨판의 균 덩어리가 떨어져 나가면 혈류를 타고 로 이동하여, '패혈성 폐색전증(Septic pulmonary emboli)'을 일으킵니다. 이는 다발성 폐렴이나 폐농양의 형태로 나타납니다.

📊 핵심 비교: 삼첨판 승모판 감염 차이 한눈에 보기

이처럼 두 판막의 감염은 발생 원인부터 합병증까지 명확한 삼첨판 승모판 감염 차이를 보입니다.

비교 항목 승모판 (Mitral Valve) 감염 삼첨판 (Tricuspid Valve) 감염
심장 위치 좌심계 (Left-sided) 우심계 (Right-sided)
주요 위험인자 기존 판막 질환, 치과 시술 정맥주사 약물 남용 (IVDU), 중심정맥관
주요 원인균 연쇄상구균 (*S. viridans*), 포도상구균 포도상구균 (*S. aureus*) (압도적)
색전증 방향 전신 (뇌졸중, 비장, 신장) (패혈성 폐색전증)

💊 감염성 심내막염의 치료 원칙

치료의 근간은 장기간(보통 4-6주)의 고용량 정맥 항생제 투여입니다.

  1. 혈액 배양 검사: 항생제 투여 전, 원인균을 정확히 식별하기 위해 반드시 여러 세트의 혈액 배양 검사를 시행해야 합니다.
  2. 경험적 항생제: 검사 결과가 나오기 전, 의심되는 원인균(예: IVDU 환자의 경우 MRSA)을 표적으로 하는 광범위 항생제(주로 반코마이신 등)를 즉시 시작합니다.
  3. 표적 항생제: 배양 검사에서 원인균과 항생제 감수성 결과가 나오면, 가장 효과적이고 부작용이 적은 항생제로 변경(좁혀서)하여 투여 기간을 완료합니다.
  4. 수술적 치료: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항생제 치료와 더불어 응급 수술(판막 치환술 또는 재건술)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 항생제에도 조절되지 않는 심각한 심부전
    • 항생제로 조절되지 않는 지속적인 감염
    • 색전증이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경우
    • 균 덩어리(Vegetation)가 매우 큰 경우 (특히 10mm 초과)

이러한 삼첨판 승모판 감염 차이는 수술 결정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승모판 감염은 뇌졸중이나 심부전 위험 때문에 좀 더 적극적인 수술을 고려하는 반면, 삼첨판 감염은 (IVDU 환자의 경우) 인공 판막의 재감염 위험이 높아 수술 시기를 매우 신중하게 결정합니다.

❓ 자주 묻는 질문 (Q&A)

Q1. 왜 정맥주사(IVDU)는 승모판이 아닌 삼첨판을 주로 감염시키나요?

정맥으로 주입된 세균은 혈류를 타고 심장으로 돌아올 때 가장 먼저 만나는 판막이 '우심방'과 '우심실' 사이의 '삼첨판'이기 때문입니다. 세균이 이 첫 번째 필터를 통과해야만 폐를 거쳐 좌심(승모판)으로 갈 수 있습니다.

Q2. 치과 치료 받기 전에 항생제를 먹어야 하나요?

모든 사람이 먹을 필요는 없습니다. 하지만 인공 판막을 가졌거나, 감염성 심내막염을 앓았던 병력이 있거나, 특정 선천성 심질환을 가진 '고위험군' 환자들은 치과 시술 전 예방적 항생제 복용이 권고됩니다.

Q3. 삼첨판 승모판 감염 차이 중 어느 것이 더 위험한가요?

어렵고 복잡한 질문입니다. 일반적으로 좌심계(승모판) 감염이 뇌졸중, 전신 색전증, 심부전 등 즉각적인 치명적 합병증 위험이 더 높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우심계(삼첨판) 감염은 IVDU라는 기저 원인과 재발 위험, MRSA 감염 비율이 높아 장기적인 예후가 나쁠 수 있습니다.

Q4. 패혈성 폐색전증은 무엇인가요?

삼첨판에 붙어있던 균 덩어리(Vegetation)가 떨어져 나와 폐동맥을 막는 것을 말합니다. 일반적인 혈전(피떡)이 막는 '폐색전증'과 달리, '패혈성(septic)'이므로 균 감염을 동반하여 폐렴, 폐농양, 호흡곤란 등을 유발합니다.

Q5. 감염성 심내막염은 완치가 가능한가요?

네, 조기에 발견하여 원인균에 맞는 항생제를 장기간(4-6주) 충분히 투여하면 완치가 가능합니다. 하지만 판막이 심하게 손상된 경우 수술이 필요하며, 치료 후에도 재발 위험이 있어 정기적인 관리가 중요합니다.

💡 요약: 위치가 원인을 말해준다

감염성 심내막염 환자를 진단할 때, 의사들은 심장 초음파에서 Vegetation이 '어느 판막'에 있는지를 매우 중요하게 봅니다. 이는 환자의 위험 요인을 추정하고, 가장 가능성 높은 원인균(경험적 항생제 선택)을 결정하는 데 결정적인 단서가 되기 때문입니다. 이 삼첨판 승모판 감염 차이를 이해하는 것이 감염성 심내막염 치료의 첫걸음입니다.


📚 참고 자료 (References)

  • 1. American Heart Association (AHA). "Infective Endocarditis." (Link)
  • 2. CDC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Infective Endocarditis (IE)." (Link)
  • 3. Baddour, L. M., et al. (2015). Infective Endocarditis in Adults: Diagnosis, Antimicrobial Therapy, and Management of Complications: A Scientific Statement for Healthcare Professionals From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Circulation. (Link)
  • 4. UpToDate: "Right-sided native valve infective endocarditis." (Subscription required) (Lin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