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상 현장에서 경구 식사가 어려운 환자분들께 '위루관' 시술을 설명할 때, PEG(펙)와 PRG(피알지)라는 용어를 접하게 됩니다. 두 시술 모두 환자의 복벽을 통해 위(stomach)로 직접 영양을 공급하는 관을 삽입하는 '경피적 위조루술'이라는 공통점이 있지만, 시술을 유도하는 방식에서 결정적인 PEG PRG 차이가 발생합니다. 오늘은 이 두 의학 용어의 정의와 장단점, 그리고 명확한 PEG PRG 차이에 대해 자세히 파헤쳐 보겠습니다.
🩺 PEG (경피적 내시경 위조루술)이란?
PEG는 Percutaneous Endoscopic Gastrostomy의 약자로, '경피적 내시경 위조루술'을 의미합니다.
- 시술 방법: 의사가 환자의 입을 통해 위내시경을 삽입하여 위 내부를 직접 관찰합니다. 내시경의 불빛을 이용해 복벽에서 위까지 가장 가깝고 안전한 위치를 찾은 뒤, 피부를 통해 위루관을 삽입하고 내시경으로 그 과정을 확인하며 고정합니다.
- 시술 주체: 주로 소화기 내과 의사가 시행합니다.
- 특징: 위 내부를 직접 눈으로 보면서 시술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 PRG (경피적 방사선 위조루술)이란?
PRG는 Percutaneous Radiologic Gastrostomy의 약자로, '경피적 방사선 위조루술'을 의미합니다.
- 시술 방법: 내시경 대신 C-arm(이동형 X선 투시 장치)이나 CT 같은 영상 유도 장비를 사용합니다. 의사는 실시간으로 방사선 영상을 보면서 위 내부에 공기를 주입하여 팽창시킨 후, 복벽을 통해 안전하게 위루관을 삽입할 경로를 찾아 시술합니다.
- 시술 주체: 주로 영상의학과(중재적 방사선 시술) 의사가 시행합니다.
- 특징: 입이나 식도를 통해 내시경을 삽입하기 어려운 환자(예: 구강, 인두, 식도암 환자)에게 유용합니다.
📊 핵심 비교: PEG PRG 차이점 한눈에 보기
두 시술의 가장 근본적인 PEG PRG 차이는 '어떤 도구로 길을 찾는가'입니다. PEG는 내시경(빛)을, PRG는 방사선(영상)을 이용합니다. 이러한 주요 PEG PRG 차이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습니다.
| 비교 항목 | PEG (내시경 위조루술) | PRG (방사선 위조루술) |
|---|---|---|
| 유도 방법 | 위내시경 (Endoscopy) | 방사선 영상 (Fluoroscopy, CT 등) |
| 시술 주체 | 소화기 내과 | 영상의학과 (중재시술) |
| 마취 | 진정(수면) 내시경 마취 | 국소 마취 (필요시 진정 마취) |
| 주요 장점 | 위 내부를 직접 관찰 가능 | 내시경 삽입 불가능 환자에게 가능 |
| 주요 단점 | 구강/식도 협착 시 불가능 | 방사선 노출, 위 고정술 필요 가능성 |
💡 Key Knowledge: 어떤 환자에게 어떤 시술을 선택할까요?
환자의 상태가 시술 방법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PEG PRG 차이를 만듭니다.
- PEG 추천 대상: 특별한 해부학적 문제가 없어 입을 통해 내시경 삽입이 원활하고, 전신 상태가 수면 마취를 감당할 수 있는 대부분의 환자에게 우선적으로 고려됩니다.
- PRG 추천 대상: 구강암, 인두암, 식도암 등으로 인해 내시경이 위까지 도달할 수 없는 환자, 또는 과거 위 절제술 등으로 해부학적 구조가 변형된 환자, 호흡 부전 등으로 수면 마취가 위험한 환자에게 훌륭한 대안이 됩니다.
결국 두 시술 모두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위루관을 만드는 방법이며, 담당 의사가 환자의 개별적인 상태를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가장 적합한 방법을 선택하게 됩니다.
❓ 자주 묻는 질문 (Q&A)
Q1. 위루관 시술은 많이 아픈가요?
PEG는 수면 마취 하에, PRG는 국소 마취 및 필요시 진정 마취 하에 시행되므로 시술 중 통증은 거의 없습니다. 시술 후 며칠간은 삽입 부위에 불편감이나 통증이 있을 수 있지만, 진통제로 충분히 조절됩니다.
Q2. 시술 시간은 얼마나 걸리나요?
환자의 상태나 해부학적 구조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PEG와 PRG 모두 30분에서 1시간 내외로 소요됩니다.
Q3. 위루관은 한 번 하면 영구적으로 사용해야 하나요?
그렇지 않습니다. 위루관은 환자의 상태에 따라 임시적 또는 장기적으로 사용됩니다. 만약 환자의 연하 기능(삼킴 기능)이 회복되어 입으로 충분한 영양 섭취가 가능해지면 간단하게 제거할 수 있습니다.
Q4. PEG와 PRG 중 어느 것이 더 안전한가요?
두 시술 모두 확립된 표준 시술로, 숙련된 의사가 시행할 경우 매우 안전합니다. 각각의 시술에 따른 고유한 합병증(출혈, 감염, 장기 천공 등) 위험은 낮으며, 전반적인 안전성 면에서 큰 차이는 없는 것으로 보고됩니다.
Q5. 시술 방법의 PEG PRG 차이가 시술 후 관리에 영향을 미치나요?
아니요. 일단 위루관이 성공적으로 삽입되면, PEG PRG 차이와 관계없이 시술 후 관리 방법(상처 소독, 영양액 주입 방법, 정기적인 튜브 교체 등)은 거의 동일합니다.
📚 참고 자료 (References)
- 1. Rahn, E. M., et al. (2014). Percutaneous endoscopic gastrostomy (PEG) versus percutaneous radiologic gastrostomy (PRG): a multicenter, retrospective comparison of outcomes in 378 patients. Journal of Parenteral and Enteral Nutrition.
- 2. UpToDate: "Overview of gastrostomy tubes: Placement and management."
- 3. American Society for Gastrointestinal Endoscopy (ASGE) Guidelines: "Role of endoscopy in enteral feeding."
'의학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 해독제 없는 제초제, 글리포시네이트(바스타) 중독: 생존을 위한 치료법 (0) | 2025.10.26 |
|---|---|
| 흉수의 두 얼굴, 여출액(Transudate)과 삼출액(Exudate): 왜 구분해야 할까? (0) | 2025.10.26 |
| 칸디다 알비칸스 vs 글라브라타 치료: 마이카민(Mycamine)은 언제 사용할까? (0) | 2025.10.25 |
| 패혈증의 열, 무조건 낮춰야 할까? "Fever in sepsis revisited" 논문 리뷰 (0) | 2025.10.25 |
| Azotemia(질소혈증)와 Uremia(요독증) 차이: "피검사 수치"와 "임상 증상"의 결정적 차이 (0) | 2025.10.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