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린젝트(Ferinject, 성분명: Ferric Carboxymaltose)는 정맥주사(IV)로 투여하는 철분 보충제로, 경구 철분제(먹는 철분제)가 효과가 없거나, 흡수가 어려운 경우에 사용됩니다.
특히, 만성 질환(신부전, 크론병, 위 절제술, 암 등)으로 인해 철결핍성 빈혈이 발생한 환자에게 효과적입니다.
1. 페린젝트(Ferinject)란?
🔹 기본 정보
- 약물명: 페린젝트 (Ferinject)
- 성분명: Ferric Carboxymaltose (철 카르복시말토오스)
- 투여 방식: 정맥주사(IV, Intravenous)
- 적응증:
- 철결핍성 빈혈(Iron Deficiency Anemia, IDA) 치료
- 경구 철분제 효과 부족 또는 위장 장애로 철분 흡수 어려운 환자
- 만성 신부전(CKD) 환자의 빈혈
- 크론병, 위 절제술 후 빈혈
- 암, 류마티스 관절염 등 염증성 질환으로 인한 빈혈
- 임신 중기 및 출산 후 빈혈
💡 페린젝트는 철분을 빠르게 보충하며, 혈중 철 저장량(Ferritin)까지 증가시키는 장점이 있습니다.
2. 페린젝트(Ferinject) 투여 방법 & 용량
✅ 1) 투여 경로 및 주입 방식
✔ IV 주사(정맥 주사) 또는 정맥 주입(Infusion, 수액 희석)
✔ 15~30분 동안 천천히 주입하여 저혈압 예방
✔ 근육주사(IM)로는 투여하지 않음
✅ 2) 용량 및 철분 필요량 계산법
총 철분 보충량은 환자의 헤모글로빈(Hb) 수치와 체중을 고려하여 계산합니다.
✔ Ganzoni 공식 (총 필요 철분량 계산법):
총 필요 철분량 (mg)=(목표 Hb(g/dL)−현재 Hb(g/dL))×2.4×체중(kg)+500mg\text{총 필요 철분량 (mg)} = (\text{목표 Hb(g/dL)} - \text{현재 Hb(g/dL)}) \times 2.4 \times \text{체중(kg)} + 500mg
(목표 Hb는 일반적으로 13~15g/dL 설정)
✅ 3) 일반적인 투여 용량
환자 상태 | 1회 최대 용량 | 투여 주기 |
체중 ≥ 50kg | 1,000mg (IV 단일 주사 가능) | 1~2주 간격 |
체중 35~50kg | 500~750mg (IV) | 1~2주 간격 |
체중 ≤ 35kg | 500mg 이하 | 1~2주 간격 |
💡 페린젝트는 1~2회 주사로 충분한 철분 보충이 가능하며, 경구 철분제보다 빠르게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3. 페린젝트(Ferinject)의 효과
✅ 헤모글로빈(Hb) 수치를 빠르게 증가
✅ 페리틴(Ferritin, 체내 저장 철분) 보충
✅ 먹는 철분제(경구제)보다 위장 장애(속쓰림, 변비) 적음
✅ 1~2회 주사만으로도 충분한 철분 보충 가능
📈 임상 연구 결과:
- 페린젝트 주사 후 2
4주 내 Hb 수치가 평균 23g/dL 증가 - 3개월 후 철결핍 회복률이 80% 이상
4. 페린젝트(Ferinject)와 다른 IV 철분제 비교
약물 1회 최대 용량 투여 속도 장점 단점
약물 | 1회 최대 용 | 투여 속도 | 장점 | 단점 |
페린젝트 (Ferinject) | 1,000mg | 15~30분 | 1~2회 주사로 충분 | 저혈압 가능 |
베노퍼 (Venofer, Iron sucrose) | 200mg | 15~60분 | 신부전 환자에 적합 | 여러 번 맞아야 함 |
모노페르 (Monofer, Ferric derisomaltose) | 1,500mg | 20~60분 | 1회 주사로 고용량 가능 | 비용이 높음 |
인퓨제론 (Injectafer, Ferric carboxymaltose) | 750mg | 15분 | 위장 장애 적음 | 용량이 적음 |
💡 페린젝트는 1~2회 주사로 충분한 철 보충이 가능하여, 병원 방문 횟수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5. 페린젝트(Ferinject)의 부작용 & 주의사항 ⚠️
✅ 1) 주요 부작용
부작용 | 설명 |
과민반응 (알레르기 반응, Anaphylaxis) | 발진, 두드러기, 호흡곤란 가능 |
저혈압 (Hypotension) | 고용량 투여 시 일시적 저혈압 발생 가능 |
두통, 어지러움 | 철 대사 변화로 인한 일시적 증상 |
주사 부위 통증 및 색소 침착 | IV 주사 부위에 갈색 착색 발생 가능 |
간기능 이상 (드물게 발생) | 혈중 철분 증가로 간 부담 |
🚨 특히, 저혈압 위험이 있으므로 주입 속도를 조절하여 천천히 투여해야 합니다.
6. 페린젝트(Ferinject) 사용이 적절한 경우 ✅
✔ 경구 철분제 효과가 부족하거나 소화 장애(속쓰림, 변비)로 먹기 어려운 환자
✔ 위 절제술, 크론병 등 철분 흡수 장애가 있는 경우
✔ 만성 신부전(CKD) 환자의 빈혈 치료
✔ 암, 류마티스 관절염, 염증성 질환으로 인한 빈혈
✔ 임신 중기 및 출산 후 빈혈 환자
7. Q&A 💡
Q1. 페린젝트는 몇 번 맞아야 하나요?
👉 보통 1~2회 투여 후 빈혈 상태를 재평가하여 추가 주사 여부를 결정합니다.
Q2. 페린젝트는 일반 철분제(경구제)보다 효과가 좋은가요?
👉 효과는 더 빠르고 철분 저장량(Ferritin)까지 보충 가능하지만, 비용이 비싸고 부작용(저혈압 등)이 있을 수 있습니다.
Q3. 페린젝트 주사를 맞고 나서 피곤하거나 어지러울 수 있나요?
👉 네, 일부 환자는 주사 후 일시적으로 저혈압, 어지러움, 피로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Q4. 신부전 환자도 페린젝트를 사용할 수 있나요?
👉 네, 신부전(CKD) 환자도 사용 가능하지만, 혈중 철 과다 위험이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 결론: 페린젝트(Ferinject)는 언제 사용할까?
✅ 경구 철분제 효과가 없거나 위장 장애가 있는 경우
✅ 빠르게 철분을 보충해야 하는 경우 (만성 빈혈, 출산 후 빈혈 등)
✅ 1~2회 주사로 충분한 철 보충이 필요한 경우
💡 페린젝트는 효과적이지만, 의료진의 모니터링 하에 투여해야 합니다.
'의학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데카솔의 성분은? 정말 새 살이 돋아날까? (0) | 2025.02.21 |
---|---|
두통에 타이레놀이 효과 없을 때, 어떤 약을 먹어야 할까? (0) | 2025.02.21 |
펜타닐(Fentanyl) vs. 모르핀(Morphine): 차이점 정리 (0) | 2025.02.20 |
대장내시경 없이 대장암을 검사하는 방법 (0) | 2025.02.20 |
수술 또는 시술 전 아스피린(Aspirin) 중단 여부: 언제 끊고, 언제 유지해야 할까? (0) | 2025.0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