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바소프레신(Vasopressin)이란?
바소프레신(Vasopressin)은 혈압 조절 및 수분 균형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호르몬이자 약물입니다. **항이뇨호르몬(ADH, Antidiuretic Hormone)**으로도 알려져 있으며, 중환자실(ICU)에서는 혈압 상승을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주로 패혈성 쇼크와 같이 혈압이 저하된 응급상황에서 다른 혈관수축제와 함께 사용됩니다.
바소프레신의 작용 기전 🧬
바소프레신은 다음과 같은 기전을 통해 혈압을 상승시키고 수분 균형을 유지합니다:
- 혈관 수축(Vasoconstriction)
- V1 수용체에 작용하여 혈관을 수축시킴으로써 혈압을 상승시킵니다.
- 수분 재흡수 촉진
- V2 수용체를 자극하여 신장에서 수분 재흡수를 증가시켜 소변량을 감소시키고 체내 수분량을 유지합니다.
- 항이뇨 효과
- 신장에서 소변의 농축을 촉진하여 체내 수분을 보존하는 역할을 합니다.
바소프레신의 적응증 🚑
바소프레신은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주로 사용됩니다:
- 패혈성 쇼크(Septic shock): 노르에피네프린과 함께 병용하여 혈압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 바소프레신 결핍성 저혈압: 항이뇨호르몬 분비 이상으로 발생하는 저혈압 치료에 사용됩니다.
- 출혈성 식도정맥류(Esophageal variceal bleeding): 식도 출혈을 억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습니다.
- 요붕증(Diabetes insipidus): 항이뇨 작용을 통해 소변량을 조절합니다.
투여 방법 및 용량 💡
바소프레신은 정맥주사(IV infusion)로 투여되며, 보통 일정 속도로 지속 주입됩니다.
- 패혈성 쇼크
- 초기 용량: 0.01~0.03 units/min으로 시작합니다.
- 유지 용량: 0.03 units/min 이상으로 올리는 경우는 드물며, 고용량에서는 부작용 위험이 증가합니다.
- 요붕증
- 바소프레신을 저용량으로 투여하여 소변량을 조절합니다.
- 출혈성 식도정맥류
- 단기간에 고용량으로 투여하며, 출혈이 멈춘 후 서서히 감량합니다.
바소프레신 사용 시 주의사항 ⚠️
- 혈압 모니터링 필수
- 바소프레신 투여 중에는 혈압, 심박수, 소변량 등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해야 합니다.
- 조직 괴사 주의
- 말초 혈관으로 고용량 투여 시 혈관 수축으로 인한 조직 괴사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저나트륨혈증(Hyponatremia) 위험
- 항이뇨 작용으로 인해 체내 수분량이 증가하면서 저나트륨혈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심장 질환 환자 주의
- 혈관 수축 효과로 인해 심장에 부담을 줄 수 있으므로 심장 질환 환자에게 주의가 필요합니다.
바소프레신의 부작용 🚨
- 저나트륨혈증
- 말초 혈관 수축으로 인한 조직 괴사
- 심근 허혈
- 두통, 오심, 구토
- 혈압 과도 상승
바소프레신과 관련된 기타 약물 비교 🩺
약물명 | 주요 작용 | 수용체 혈압 상승 효과 | 항이뇨 효과 |
바소프레신 | V1, V2 수용체 | 강한 혈압 상승 | 강한 항이뇨 효과 |
노르에피네프린 | α1, β1 수용체 | 강한 혈압 상승 | 항이뇨 효과 없음 |
도파민 | 도파민, α, β | 중등도의 혈압 상승 | 약한 항이뇨 효과 |
Q&A 📌
- 바소프레신은 어떤 상황에서 사용되나요?
- 주로 패혈성 쇼크, 저혈압, 요붕증 등의 응급상황에서 혈압을 유지하거나 수분 균형을 조절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 바소프레신 투여 시 가장 주의할 점은 무엇인가요?
- 혈압과 소변량 모니터링이 중요하며, 저나트륨혈증 발생 가능성에 유의해야 합니다.
- 바소프레신과 노르에피네프린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 바소프레신은 혈압 상승과 항이뇨 효과를 동시에 나타내며, 노르에피네프린은 주로 혈압 상승에 중점을 둡니다.
- 바소프레신은 심장에 부담을 주나요?
- 혈관 수축 효과로 인해 심장에 부담을 줄 수 있어 심장 질환 환자에게 주의가 필요합니다.
- 바소프레신은 고용량으로 사용할 수 있나요?
- 고용량 사용 시 말초 혈류 감소와 같은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권장되지 않습니다.
반응형
'중환자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환자실 약물: 도파민(Dopamine) 알아보기 (0) | 2025.03.04 |
---|---|
중환자실 약물: 에피네프린(Epinephrine) 알아보기 (0) | 2025.03.04 |
중환자실 약물: 노르에피네프린(Norepinephrine) 알아보기 (0) | 2025.03.04 |
1-Hour Bundle에서 사용하는 광범위 항생제 종류와 특성 (0) | 2025.03.03 |
중환자 치료에서 1-Hour Bundle: 패혈증 관리의 핵심 지침 (0) | 2025.03.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