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의학 지식

마이코플라즈마 호미니스: 숨겨진 감염의 실체와 치료 가이드

by 비비닥 2025. 5. 26.

마이코플라즈마 호미니스(Mycoplasma hominis)는 성인 인구의 상당수에서 발견되며, 때로는 무증상으로 존재하는 기회감염균입니다. 하지만 면역력이 약해지거나 특정 조건이 맞춰질 경우 비뇨생식기 감염, 산부인과 감염, 신생아 감염까지 유발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오늘은 이 세균이 우리 몸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언제 치료가 필요한지를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

마이코플라즈마 호미니스: 숨겨진 감염의 실체와 치료 가이드


마이코플라즈마 호미니스란?

마이코플라즈마 호미니스는 세포벽이 없는 독특한 세균으로, 항생제 내성이 강하고 배양도 까다로운 균입니다. 주로 생식기 점막에 존재하며, 성인 여성의 경우 약 20~50%까지 무증상 보균자일 수 있습니다. 😶

  • 그람염색이 되지 않으며, 일반적인 항생제(페니실린, 세팔로스포린)에 효과가 없습니다.
  • 정상균으로 존재할 수도 있지만, 특정 조건에서 병원성이 발현됩니다.

주요 감염 질환

감염 부위 대표 질환
여성 생식기 자궁내막염, 골반염증성질환, 불임 등
남성 생식기 비정형 전립선염, 요도염
신생아 신생아 패혈증, 수막염, 폐렴 등
기타 패혈증, 수술 부위 감염 (특히 면역저하자)

특히 조산, 유산, 불임의 원인균으로도 의심되며, 인공수정(IVF)이나 유산 후 감염 시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감염 경로와 위험 인자

  • 성접촉
  • 분만 중 신생아 감염
  • 의료기구 삽입(자궁내 장치, 도뇨관 등)
  • 면역저하 상태 (암 치료, 장기 이식 등)

증상은 어떤가요?

마이코플라즈마 호미니스 감염은 대부분 무증상 또는 비특이적인 경증 증상을 보입니다.

대상 주요 증상
여성 질 분비물 증가, 비정상 출혈, 아랫배 통증, 발열
남성 배뇨 시 작열감, 불쾌감, 정액 이상
신생아 호흡곤란, 발열, 패혈증 증상

🧠 수막염이나 패혈증 같은 중증 감염은 드물지만 면역저하 환자에서는 치명적일 수 있습니다.


진단 방법

  • PCR 분자진단 검사: 가장 정확하고 민감한 검사법
  • 특수 배양 검사: 일반 배양법으로는 검출 어렵고, 특수 영양배지 필요
  • 항생제 감수성 검사: 내성이 많기 때문에 치료 전 반드시 필요

치료 방법과 항생제 선택

마이코플라즈마 호미니스는 세포벽이 없으므로, 다음과 같은 항생제에 효과가 없습니다:

  • ❌ 페니실린
  • ❌ 세팔로스포린
  • ❌ 반코마이신

✅ 치료 가능한 항생제

항생제 계열 예시 약물 비고
테트라사이클린계 독시사이클린 1차 치료제로 가장 널리 사용됨
퀴놀론계 레보플록사신, 모시플록사신 내성균 증가 추세, 감수성 검사 필요
린코사마이드계 클린다마이신 일부 여성 생식기 감염에서 사용 가능

최근 일부 지역에서 테트라사이클린 내성균 증가 보고되며, 감수성 검사 기반의 치료가 점점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 (Q&A)

Q1. 마이코플라즈마 호미니스는 성병인가요?
A1. 일부에서는 성병(STI)으로 분류되지만, 정상 상재균으로도 존재하기 때문에 명확히 성병으로 보긴 어렵습니다.

Q2. 치료는 언제 필요한가요?
A2. 증상이 있거나 임신, IVF 준비, 면역저하 상태에서는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합니다.

Q3. 성관계 파트너도 치료해야 하나요?
A3. 증상이 없더라도, 파트너 검사 및 동시 치료가 권장됩니다.

Q4. 자연 소멸되기도 하나요?
A4. 일부 무증상 감염은 자연적으로 사라질 수 있지만, 장기 감염 시 합병증 위험이 있습니다.

Q5. 다시 감염될 수 있나요?
A5. 네. 재감염 가능성이 있으며, 항생제 내성 문제로 치료가 더 어려울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