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의학 지식

대사증후군 허리둘레 기준은 얼마일까?

by 비비닥 2025. 5. 30.

대사증후군은 심혈관질환과 당뇨병의 주요 원인으로 알려진 위험 상태입니다.
그중 가장 흔하면서도 쉽게 측정할 수 있는 지표가 바로 허리둘레인데요.
“나는 살이 그렇게 많지 않은데도 위험할 수 있나요?”라는 질문을 자주 받습니다.
오늘은 대사증후군의 허리둘레 기준과 그 의미, 관리법까지 자세히 알려드릴게요.

대사증후군 허리둘레 기준은 얼마일까?


📌 대사증후군 진단 기준 중 ‘허리둘레’

대한비만학회와 대한당뇨병학회에서는 다음과 같은 성별 기준 허리둘레를 제시하고 있습니다:

성별 허리둘레 기준 (cm)
남성 90cm 이상
여성 85cm 이상

이 수치를 초과하면 복부비만으로 간주되며, 대사증후군 판단 기준 중 1가지 항목으로 체크됩니다.
허리둘레는 단순한 체형 지표가 아니라 내장지방의 축적 정도를 반영하는 중요한 수치입니다.


🧠 왜 허리둘레가 중요한가요?

허리둘레가 굵다는 것은 복부 내 내장지방이 많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 내장지방은 다음과 같은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 🫀 인슐린 저항성 증가 → 당뇨병 위험 상승
  • 🩸 중성지방 상승 & 좋은 콜레스테롤 감소
  • 🧠 혈압 상승 및 염증물질 증가
  • ⚠️ 심장병, 뇌졸중 위험 2~3배 증가

특히 겉으로 보기엔 마르거나 날씬해도, 허리둘레만 증가한 경우가 있어 ‘마른 비만’ 역시 주의가 필요합니다.


📏 허리둘레 측정법

정확한 허리둘레 측정을 위해 다음 기준을 지켜주세요:

  1. 측정 위치: 갈비뼈 아래와 골반뼈 위의 중간 지점 (배꼽과 거의 일치)
  2. 자세: 똑바로 서서 숨을 내쉰 상태에서 측정
  3. 의복: 얇은 옷 또는 속옷 위에서 측정
  4. 줄자: 너무 조이지 않도록 자연스럽게 감기게

📎 정기적으로 측정하여 관리하면 대사증후군 예방에 큰 도움이 됩니다.


✅ 허리둘레 줄이기 실천법

방법 효과
유산소 운동 (걷기, 자전거, 수영 등) 내장지방 분해에 효과적
식이섬유 섭취 늘리기 포만감 증가, 혈당·지질 조절
음주·가공식품 줄이기 칼로리와 당분 감소
수면·스트레스 관리 코르티솔 억제 → 지방 축적 방지
하루 30분 이상 활동 대사 기능 활성화

🧐 자주 묻는 질문 (Q&A)

Q1. 체중은 정상인데 허리둘레만 초과되면 대사증후군인가요?
A1. 허리둘레가 기준 이상이고 다른 위험요소 2개 이상이 동반되면 대사증후군입니다.

Q2. 근육이 많아도 허리둘레가 클 수 있는데 그건 위험한가요?
A2. 근육이 아닌 복부지방으로 인해 허리가 굵어진 경우가 문제입니다. 복부 CT나 체지방 측정이 도움이 될 수 있어요.

Q3. 허리둘레를 줄이면 다른 대사수치도 좋아지나요?
A3. 네. 복부지방 감소는 혈당, 혈압, 중성지방 수치를 동시에 개선시킬 수 있습니다.

Q4. 1~2cm 초과된 것도 위험한가요?
A4. 지속적으로 초과될 경우 대사질환 위험이 올라갑니다. 미리 관리하는 것이 좋습니다.

Q5. 허리둘레가 줄어도 다시 늘 수 있나요?
A5. 생활습관에 따라 다시 증가할 수 있으므로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