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환자의학

40년 난공불락 KRAS를 무너뜨린 '크라자티' 항암제, 모든 것 파헤치기

by 비비닥 2025. 7. 13.

과거에는 특정 유전자 변이가 발견되어도 사용할 수 있는 표적항암제가 없어 발만 동동 굴러야 했던 암 환자들이 많았습니다. 특히 전체 암의 약 20%에서 발견되는 KRAS 유전자 변이는 그중에서도 가장 악명 높은 표적이었습니다. 하지만 길고 긴 어둠의 터널 끝에 드디어 빛이 보이기 시작했습니다. 바로 '크라자티(KRAZATI, 성분명: 아다그라십)'와 같은 KRAS 표적항암제의 등장 덕분입니다.

40년 난공불락 KRAS를 무너뜨린 '크라자티' 항암제, 모든 것 파헤치기

'표적 불가능'의 벽을 넘은 KRAS 표적항암제, 크라자티란?

크라자티는 특정 유전자 변이를 가진 암세포만 골라 공격하는 표적항암제입니다. 그 표적은 바로 'KRAS G12C' 라는 특정 돌연변이입니다.

  • 작용 원리: KRAS 유전자는 세포의 성장과 분열을 조절하는 스위치 역할을 합니다. 이 유전자에 G12C라는 변이가 생기면, 스위치가 고장 나 계속 켜져 있는 상태가 됩니다. 이로 인해 세포가 무한정 증식하며 암으로 발전하게 되죠. 크라자티는 이 고장 난 KRAS G12C 단백질에 특이적으로 결합하여, 그 활동을 억제함으로써 암세포의 성장 신호를 차단하는 정밀한 역할을 수행합니다. 🚀
  • 주요 대상: 크라자티는 KRAS G12C 변이가 있는 비소세포폐암 환자 중, 이전에 항암화학요법이나 면역항암제 등으로 한 번 이상 치료를 받은 환자들을 위한 2차 이상 치료 옵션으로 개발되었습니다. 비소세포폐암 환자의 약 10~20%가 이 변이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40년 만에 등장한 KRAS 표적항암제는 이전까지 치료 옵션이 마땅치 않았던 환자들에게 새로운 치료의 지평을 열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매우 크다."

크라자티, 국내 현황과 건강보험 적용 여부 (2025년 7월 기준)

가장 궁금해하실 국내 상황입니다. 크라자티는 2025년 1월,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희귀의약품으로 지정되었으며, 최근 기사에 따르면 국내 상용화가 임박한 것으로 보입니다.

"두 번째 KRAS 항암제 '크라자티', 국내 상용화 전망" - 데일리팜 (2025.06.26)

 

이는 KRAS G12C 변이 폐암 환자들이 곧 국내 병원에서도 크라자티를 처방받을 수 있게 된다는 반가운 소식입니다. 🎉

하지만 가장 중요한 건강보험 급여 적용 여부는 아직 결정되지 않았습니다. 2025년 7월 현재, 크라자티의 건강보험 급여 등재에 대한 공식적인 발표는 없는 상황입니다. 이는 상용화 초기에는 환자가 약값 전액을 부담해야 할 수도 있다는 의미입니다.

물론, 앞으로 제약사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급여 등재를 신청하고 정부와 약가 협상 및 위험분담제(RSA) 논의를 거쳐 급여권에 진입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때까지는 제약사에서 운영하는 환자 지원 프로그램이 있는지 등을 의료진과 반드시 상의해 보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효과와 부작용, 무엇을 알아야 하나?

크라자티의 효과는 대규모 임상 연구를 통해 입증되었습니다.

  • 효과 (KRYSTAL-12 연구): 이전에 치료받은 경험이 있는 KRAS G12C 변이 비소세포폐암 환자를 대상으로 한 3상 임상연구에서, 크라자티는 기존 표준 항암치료(도세탁셀)에 비해 암의 진행 또는 사망 위험을 42% 낮췄습니다. 또한, 종양 크기가 줄어든 환자의 비율(객관적 반응률, ORR)도 크라자티 투여군이 31.9%로, 표준 치료군(9.2%)보다 월등히 높았습니다. 특히 뇌전이가 있는 환자에서도 효과를 보여주어 기대를 모으고 있습니다.
  • 주요 부작용: 표적항암제인 만큼 기존 화학항암제와는 다른 부작용 프로파일을 보입니다. 가장 흔한 이상반응으로는 메스꺼움, 설사, 구토, 피로, 근골격계 통증, 간 수치 상승, 신기능 저하, 부종 등이 보고되었습니다. 드물지만 중증 피부 이상반응(표피괴사용해)이 보고된 바 있어, 치료 중에는 의료진의 세심한 모니터링이 필수적입니다.

 

 

Take home message:

  1. 새로운 희망: 크라자티는 40년간 표적이 불가능했던 KRAS G12C 변이 비소세포폐암 환자를 위한 혁신적인 표적항암제입니다.
  2. 국내 상용화 임박: 2025년 7월 현재, 국내 정식 허가 및 상용화를 앞두고 있습니다. 하지만 건강보험 급여는 아직 적용되지 않아, 처방 시 의료진과 비용 및 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상담이 필수적입니다.
  3. 입증된 효과와 관리: 표준 항암치료보다 월등한 효과를 입증했지만, 메스꺼움, 설사 등 특유의 부작용이 있어 치료 중 세심한 관리가 필요합니다.

참고 자료:

  • 데일리팜 - "두번째 KRAS 항암제 '크라자티', 국내 상용화 전망" (2025.06.26)
  • 메디칼업저버 - "KRAS 억제제 크라자티, 폐암서 효능 입증" (2024.06.04)
  • 의약뉴스 - "BMS KRAS 억제제 크라자티 확증 임상서 효능 확인" (2024.03.29)
  • 메디칼타임즈 - "KRAS 억제제 경쟁 예고… 미라티社 크라자티 FDA 승인" (2022.1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