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 지식

신장 기능 평가의 새로운 지표, Cystatin C

비비닥 2025. 2. 21. 05:05
신장 기능을 평가할 때 가장 많이 사용되는 지표는 크레아티닌(Creatinine)이지만, 최근에는 Cystatin C(시스타틴 C)가 더 정확한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특히, 근육량과 관계없이 신장 기능을 반영할 수 있어 특정 환자군(노인, 근육량이 적은 사람 등)에서 더 유용합니다.

신장 기능 평가의 새로운 지표, Cystatin C


1. Cystatin C란? 🤔

Cystatin C(시스타틴 C)는 모든 핵이 있는 세포에서 지속적으로 생성되는 단백질로, 주로 신장에서 여과됩니다. 신장 기능이 저하되면 혈중 Cystatin C 수치가 증가하므로, 사구체 여과율(GFR)을 평가하는 새로운 바이오마커로 사용됩니다.

📌 Cystatin C의 특징
✅ 근육량, 성별, 연령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음
✅ 신장에서 자유롭게 여과되며, 재흡수되지 않고 분해됨
✅ 신장 기능 감소 시, 혈중 농도가 즉각적으로 증가


2. Cystatin C vs. 크레아티닌 비교 🔍

비교 항목 Cystatin C 크레아티닌
생성 기관 모든 핵이 있는 세포 근육에서 생성
신장 여과 후 재흡수 없음 (분해됨) 일부 재흡수됨
근육량 영향 X (거의 없음) O (근육량이 많으면 수치 증가)
GFR 감소 시 반응 속도 빠름 상대적으로 느림
검사 민감도 높음 (경미한 신장 기능 저하 감지 가능) 낮음 (신장 기능이 50% 이상 감소해야 의미 있음)

📌 Cystatin C는 크레아티닌보다 신장 기능을 더 민감하게 반영합니다.


3. Cystatin C를 활용하는 경우 🏥

초기 신장 기능 저하가 의심될 때
근육량이 적은 환자(노인, 영양결핍, 간경화 등)
심혈관 질환 환자의 신장 기능 평가
크레아티닌 수치가 애매할 때 보완적 검사

📌 특히, 노인이나 근육량이 적은 환자는 크레아티닌만으로 신장 기능을 정확히 평가하기 어려워 Cystatin C가 유용합니다.


4. Cystatin C 검사 결과 해석 📊

Cystatin C 수치 (mg/L) 해석
≤ 0.95 정상
1.00 ~ 1.35 경미한 신장 기능 저하 가능성
≥ 1.40 신장 기능 저하(GFR 감소 가능성)

📌 Cystatin C 수치가 높을수록 신장 기능이 저하되었을 가능성이 큼


5. Cystatin C를 통한 GFR 추정 공식 (eGFR) 📏

Cystatin C를 이용한 eGFR(추정 사구체 여과율, Estimated GFR) 계산법:

eGFR=133×(CystatinC)−1.06×(나이)−0.20×(0.996)남성 1, 여성 0eGFR = 133 \times (Cystatin C)^{-1.06} \times (나이)^{-0.20} \times (0.996)^{\text{남성 1, 여성 0}}

✔️ Cystatin C 단독 GFR 계산법은 크레아티닌보다 정확성이 높음.
✔️ 최근에는 Cystatin C + 크레아티닌을 함께 사용한 eGFR 공식을 추천하는 경우가 많음.


6. Cystatin C와 심혈관 질환의 연관성 ❤️

Cystatin C는 심혈관 질환의 위험 예측 인자로도 활용될 수 있습니다.

Cystatin C가 증가하면 심혈관 질환 위험 증가
동맥경화, 심부전, 고혈압과 연관
GFR이 정상이어도 Cystatin C가 높으면 심혈관 질환 위험이 증가할 수 있음

📌 신장 기능이 정상이더라도, Cystatin C 수치가 높은 사람은 심혈관 질환 예방 관리가 필요합니다.


7. Q&A: Cystatin C 검사에 대해 자주 묻는 질문

1️⃣ Cystatin C 검사는 어디에서 받을 수 있나요?
👉 대형 병원 및 일부 건강검진 센터에서 혈액검사로 시행 가능

2️⃣ Cystatin C 수치가 높으면 꼭 신장병인가요?
👉 아닙니다. 심혈관 질환, 감염, 갑상선 기능 이상에서도 증가할 수 있음

3️⃣ 크레아티닌 검사가 있는데, 왜 Cystatin C를 추가해야 하나요?
👉 크레아티닌은 근육량 영향을 받기 때문에, 신장 기능 평가에서 오차가 있을 수 있음. Cystatin C는 더 정확한 평가를 가능하게 함

4️⃣ GFR 평가에 가장 좋은 방법은?
👉 Cystatin C + 크레아티닌을 함께 사용한 eGFR 계산법이 가장 정확함

5️⃣ Cystatin C는 어떤 경우에 꼭 검사해야 하나요?
👉 근육량이 적거나(노인, 간경화 환자), 초기 신장 질환이 의심되는 경우 필수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