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장 기능을 평가할 때 가장 많이 사용되는 지표는 크레아티닌(Creatinine)이지만, 최근에는 Cystatin C(시스타틴 C)가 더 정확한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특히, 근육량과 관계없이 신장 기능을 반영할 수 있어 특정 환자군(노인, 근육량이 적은 사람 등)에서 더 유용합니다.
1. Cystatin C란? 🤔
Cystatin C(시스타틴 C)는 모든 핵이 있는 세포에서 지속적으로 생성되는 단백질로, 주로 신장에서 여과됩니다. 신장 기능이 저하되면 혈중 Cystatin C 수치가 증가하므로, 사구체 여과율(GFR)을 평가하는 새로운 바이오마커로 사용됩니다.
📌 Cystatin C의 특징
✅ 근육량, 성별, 연령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음
✅ 신장에서 자유롭게 여과되며, 재흡수되지 않고 분해됨
✅ 신장 기능 감소 시, 혈중 농도가 즉각적으로 증가
2. Cystatin C vs. 크레아티닌 비교 🔍
비교 항목 | Cystatin C | 크레아티닌 |
생성 기관 | 모든 핵이 있는 세포 | 근육에서 생성 |
신장 여과 후 재흡수 | 없음 (분해됨) | 일부 재흡수됨 |
근육량 영향 | X (거의 없음) | O (근육량이 많으면 수치 증가) |
GFR 감소 시 반응 속도 | 빠름 | 상대적으로 느림 |
검사 민감도 | 높음 (경미한 신장 기능 저하 감지 가능) | 낮음 (신장 기능이 50% 이상 감소해야 의미 있음) |
📌 Cystatin C는 크레아티닌보다 신장 기능을 더 민감하게 반영합니다.
3. Cystatin C를 활용하는 경우 🏥
✅ 초기 신장 기능 저하가 의심될 때
✅ 근육량이 적은 환자(노인, 영양결핍, 간경화 등)
✅ 심혈관 질환 환자의 신장 기능 평가
✅ 크레아티닌 수치가 애매할 때 보완적 검사
📌 특히, 노인이나 근육량이 적은 환자는 크레아티닌만으로 신장 기능을 정확히 평가하기 어려워 Cystatin C가 유용합니다.
4. Cystatin C 검사 결과 해석 📊
Cystatin C 수치 (mg/L) | 해석 |
≤ 0.95 | 정상 |
1.00 ~ 1.35 | 경미한 신장 기능 저하 가능성 |
≥ 1.40 | 신장 기능 저하(GFR 감소 가능성) |
📌 Cystatin C 수치가 높을수록 신장 기능이 저하되었을 가능성이 큼
5. Cystatin C를 통한 GFR 추정 공식 (eGFR) 📏
Cystatin C를 이용한 eGFR(추정 사구체 여과율, Estimated GFR) 계산법:
eGFR=133×(CystatinC)−1.06×(나이)−0.20×(0.996)남성 1, 여성 0eGFR = 133 \times (Cystatin C)^{-1.06} \times (나이)^{-0.20} \times (0.996)^{\text{남성 1, 여성 0}}
✔️ Cystatin C 단독 GFR 계산법은 크레아티닌보다 정확성이 높음.
✔️ 최근에는 Cystatin C + 크레아티닌을 함께 사용한 eGFR 공식을 추천하는 경우가 많음.
6. Cystatin C와 심혈관 질환의 연관성 ❤️
Cystatin C는 심혈관 질환의 위험 예측 인자로도 활용될 수 있습니다.
✅ Cystatin C가 증가하면 심혈관 질환 위험 증가
✅ 동맥경화, 심부전, 고혈압과 연관
✅ GFR이 정상이어도 Cystatin C가 높으면 심혈관 질환 위험이 증가할 수 있음
📌 신장 기능이 정상이더라도, Cystatin C 수치가 높은 사람은 심혈관 질환 예방 관리가 필요합니다.
7. Q&A: Cystatin C 검사에 대해 자주 묻는 질문
1️⃣ Cystatin C 검사는 어디에서 받을 수 있나요?
👉 대형 병원 및 일부 건강검진 센터에서 혈액검사로 시행 가능
2️⃣ Cystatin C 수치가 높으면 꼭 신장병인가요?
👉 아닙니다. 심혈관 질환, 감염, 갑상선 기능 이상에서도 증가할 수 있음
3️⃣ 크레아티닌 검사가 있는데, 왜 Cystatin C를 추가해야 하나요?
👉 크레아티닌은 근육량 영향을 받기 때문에, 신장 기능 평가에서 오차가 있을 수 있음. Cystatin C는 더 정확한 평가를 가능하게 함
4️⃣ GFR 평가에 가장 좋은 방법은?
👉 Cystatin C + 크레아티닌을 함께 사용한 eGFR 계산법이 가장 정확함
5️⃣ Cystatin C는 어떤 경우에 꼭 검사해야 하나요?
👉 근육량이 적거나(노인, 간경화 환자), 초기 신장 질환이 의심되는 경우 필수적
'의학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스피린도 NSAID일까? (1) | 2025.02.21 |
---|---|
NSAID(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의 종류와 특징 (0) | 2025.02.21 |
임산부가 조심해야 할 상비약 목록 (0) | 2025.02.21 |
마데카솔의 성분은? 정말 새 살이 돋아날까? (0) | 2025.02.21 |
두통에 타이레놀이 효과 없을 때, 어떤 약을 먹어야 할까? (0) | 2025.0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