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레르기 반응은 면역계가 특정 물질(알러젠)에 과민 반응하여 발생하며, 피부 발진, 가려움, 호흡곤란, 아나필락시스 등 다양한 증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증상을 완화하기 위해 여러 종류의 약물이 사용됩니다.
🏥 1. 항히스타민제 (Antihistamines)
📌 역할:
- 히스타민(H1 수용체)을 차단하여 가려움, 두드러기, 비염, 결막염 등의 증상 완화
- 급성 및 만성 알레르기 반응에서 1차적으로 사용
🔹 1세대 항히스타민제 (졸음 유발 가능)
- Chlorpheniramine (클로르페니라민)
- Diphenhydramine (디펜히드라민, 대표적으로 ‘벤드릴’)
- Hydroxyzine (하이드록시진)
🔹 2세대 항히스타민제 (졸음이 적음)
- Loratadine (로라타딘, 클라리틴)
- Cetirizine (세티리진, 지르텍)
- Fexofenadine (펙소페나딘, 알레그라)
✅ 1세대는 졸음을 유발할 수 있어, 운전이나 집중이 필요한 상황에서는 2세대 항히스타민제를 추천합니다.
💊 2. 스테로이드 (Corticosteroids)
📌 역할:
- 면역 반응을 조절하여 염증 및 알레르기 반응 완화
- 급성 및 만성 알레르기 질환, 아토피 피부염, 천식, 아나필락시스 치료에 사용
🔹 경구 스테로이드
- Prednisolone (프레드니솔론)
- Methylprednisolone (메틸프레드니솔론)
🔹 주사제 (중증 알레르기 반응 시 사용)
- Dexamethasone (덱사메타손)
- Hydrocortisone (하이드로코르티손)
🔹 국소 스테로이드 (피부 알레르기용 연고/크림)
- Hydrocortisone cream (하이드로코르티손 크림, 약한 스테로이드)
- Betamethasone (베타메타손)
✅ 스테로이드는 장기간 사용 시 부작용(골다공증, 면역 억제 등)이 있을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 3. 에피네프린 (Epinephrine, 아드레날린)
📌 역할:
- 아나필락시스(Anaphylaxis, 전신적인 심각한 알레르기 반응)의 1차 치료제
- 혈압 유지, 기도 개방, 부종 완화 효과
🔹 대표적인 제품
- EpiPen (에피펜, 응급 시 사용)
✅ 아나필락시스가 의심되면 즉시 에피네프린을 투여하고 응급실로 가야 합니다.
💨 4. 기관지 확장제 (Bronchodilators)
📌 역할:
- 알레르기로 인한 기관지 수축(천식, 호흡곤란) 증상 완화
🔹 베타2 작용제 (속효성, SABA)
- Salbutamol (Albuterol) (살부타몰, 벤톨린)
✅ 천식 환자는 알레르기 반응 시 기관지가 좁아질 수 있어, 속효성 기관지 확장제를 휴대하는 것이 좋습니다.
🌊 5. 류코트리엔 억제제 (Leukotriene Receptor Antagonists)
📌 역할:
- 천식, 알레르기 비염에서 염증 매개 물질인 류코트리엔의 작용을 억제
🔹 대표적인 약물
- Montelukast (몬테루카스트, 싱귤레어)
✅ 알레르기 비염과 천식을 동시에 가진 환자에게 효과적입니다.
💉 6. 면역요법 (Allergen Immunotherapy, AIT)
📌 역할:
- 원인 물질(알러젠)을 소량씩 투여하여 면역계가 적응하도록 유도
- 알레르기 비염, 천식, 벌독 알레르기 등에 사용
🔹 경구 면역요법
- 설하면역요법(Sublingual Immunotherapy, SLIT)
🔹 주사 면역요법
- SCIT (Subcutaneous Immunotherapy)
✅ 장기적인 치료 효과가 있으며, 특정 알러젠(예: 꽃가루, 집먼지 진드기) 알레르기에 효과적입니다.
📌 7. 기타 치료제
약물 종류 | 대표 약물 | 사용 목적 |
항콜린제 | Ipratropium bromide | 알레르기 비염, 천식 치료 |
항IgE 항체 | Omalizumab (Xolair) | 중증 천식, 만성 두드러기 |
항IL-5 항체 | Mepolizumab, Benralizumab | 호산구성 천식 치료 |
✅ 항체 치료제는 주로 중증 알레르기 질환(천식, 만성 두드러기)에서 사용됩니다.
🧐 8. Q&A
Q1. 급성 알레르기 반응 시 가장 먼저 복용해야 할 약물은?
✅ 항히스타민제 (예: 펙소페나딘, 세티리진)
Q2. 아나필락시스 발생 시 대처법은?
✅ 에피네프린(EpiPen)을 즉시 투여 후 응급실로 이동
Q3. 피부 가려움증(두드러기) 치료는?
✅ 2세대 항히스타민제 + 필요 시 국소 스테로이드 연고
Q4. 알레르기 비염이 심할 때는?
✅ 항히스타민제 + 몬테루카스트 + 국소 스테로이드 스프레이
Q5. 천식과 알레르기가 함께 있다면?
✅ 기관지 확장제 + 항히스타민제 + 류코트리엔 억제제
'의학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급성 췌장염(Acute Pancreatitis)에서 사용하는 약물 투여 전략 (0) | 2025.02.26 |
---|---|
급성 췌장염(Acute Pancreatitis) 치료 전략 (0) | 2025.02.26 |
저혈당이 자주 발생할 때 검사해야 할 것들 (0) | 2025.02.26 |
원내 감염 폐렴(HAP)에서 Atypical Pathogen(비정형 병원균) 감염 가능성이 낮은 이유 (0) | 2025.02.26 |
수혈 부작용 및 예방 방법 (0) | 2025.02.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