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인간의 뇌는 약 860억 개(86 billion)의 뉴런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 뉴런들은 흥분성(excitatory) 뉴런과 억제성(inhibitory) 뉴런으로 나뉩니다.
1. 인간의 뇌 속 전체 뉴런 개수 🧠
🔹 총 뉴런 개수: 약 860억 개(86 × 10⁹ neurons)
🔹 뉴런이 밀집된 주요 영역:
- 대뇌피질 (Cerebral Cortex): 약 160억 개
- 소뇌 (Cerebellum): 약 690억 개
- 기저핵, 시상, 해마, 뇌간 등 기타 영역: 약 10억 개
✅ 소뇌가 전체 뉴런의 약 80%를 차지하지만, 개별 뉴런 크기가 작고 밀도가 높음.
✅ 대뇌피질은 고차원적인 사고, 감각 및 운동 조절을 담당하는 핵심 영역.
2. 흥분성 뉴런과 억제성 뉴런의 비율 ⚡🛑
(1) 흥분성 뉴런 (Excitatory Neurons)
- 전체 뉴런의 약 70~80% 차지
- 대표적인 신경전달물질: 글루탐산(Glutamate)
- 역할:
✔ 다른 뉴런을 활성화하여 정보 전달 촉진
✔ 감각, 운동, 학습, 기억에 관여
(2) 억제성 뉴런 (Inhibitory Neurons)
- 전체 뉴런의 약 20~30% 차지
- 대표적인 신경전달물질: GABA(γ-아미노부티르산, Gamma-Aminobutyric Acid)
- 역할:
✔ 신경 흥분을 억제하여 과도한 신호 방지
✔ 리듬 생성, 신경 회로 안정화에 기여
✅ 뇌 기능의 정상적인 작동을 위해 흥분성 뉴런과 억제성 뉴런의 균형이 중요함.
✅ 이 균형이 깨지면 간질(epilepsy), 정신질환(우울증, 조현병)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음.
3. 주요 뇌 영역별 흥분성·억제성 뉴런 분포 🏛️
뇌 영역 | 총 뉴런 개수 | 흥분성 뉴런 비율 | 억제성 뉴런 비율 |
대뇌피질 (Cerebral Cortex) | 약 160억 개 | 80% | 20% |
소뇌 (Cerebellum) | 약 690억 개 | 75% | 25% |
해마 (Hippocampus) | 수천만 개 | 85% | 15% |
기저핵 (Basal Ganglia) | 수억 개 | 70% | 30% |
✅ 대뇌피질과 해마에서는 흥분성 뉴런이 압도적으로 많음.
✅ 소뇌는 운동 조절과 균형 유지에 관여하며, 억제성 뉴런(특히 푸르킨예 세포)이 중요한 역할을 함.
✅ 기저핵은 운동 조절 및 보상 시스템과 관련이 있으며, 억제성 뉴런(GABA 뉴런)이 비교적 많음.
4. 인간의 뇌에서 흥분성·억제성 뉴런 개수 계산 📊
전체 뉴런이 860억 개이고, 흥분성 뉴런이 약 75%, 억제성 뉴런이 **약 25%**라고 가정하면:
🔹 흥분성 뉴런 개수 = 860억 × 75% ≈ 645억 개
🔹 억제성 뉴런 개수 = 860억 × 25% ≈ 215억 개
✅ 즉, 인간의 뇌에는 약 645억 개의 흥분성 뉴런과 215억 개의 억제성 뉴런이 존재.
✅ 이 비율은 뇌 영역에 따라 달라질 수 있지만, 대체로 4:1 또는 3:1 정도의 비율을 유지함.
5. 흥분성-억제성 균형이 무너지면 생기는 문제 ⚠️
📌 흥분성 뉴런이 과도할 때 (과흥분) → 뇌 신경 회로 불안정
- 간질 (Epilepsy): 흥분성 신호 과다로 신경 과흥분 → 발작 유발
- 불안 장애 (Anxiety disorders): 과도한 신경 활성화로 인해 불안 증상 증가
- 조현병 (Schizophrenia): 흥분성 신호 조절 이상으로 인지 장애 발생
📌 억제성 뉴런이 과도할 때 → 신경 회로 억제
- 우울증 (Depression): 뇌 활동 저하로 인해 기분 저하 및 무기력감 증가
- 운동 장애 (Parkinson’s Disease): 기저핵에서 억제성 신호 증가로 운동 기능 저하
- 인지 기능 저하 (Cognitive decline): 학습과 기억에 필요한 신경 가소성이 감소
✅ 정상적인 뇌 기능을 유지하려면 흥분성-억제성 균형이 매우 중요함!
반응형
'의학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5% 포도당 수용액(5DW)으로 탈수 교정하면 어떤 일이 일어날까? (0) | 2025.03.06 |
---|---|
왜 모든 부분발작이 전신발작으로 퍼지지 않을까? (0) | 2025.03.06 |
발작 후 혈액검사에서 나타날 수 있는 이상 소견 (0) | 2025.03.05 |
입원 중인 환자가 발작을 일으켰을 때 해야 할 조치 (0) | 2025.03.05 |
항경련제 카르바마제핀(Carbamazepine) 완벽 가이드 (1) | 2025.03.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