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수막염(Meningitis)은 빠르게 진행할 수 있는 치명적인 질환으로, 초기 치료 전략이 예후를 크게 좌우합니다. 항생제 투여는 물론이고, 경우에 따라 스테로이드(dexamethasone)가 병용되기도 하는데요. 그렇다면, 뇌수막염이 의심만 되는 단계에서도 스테로이드를 사용하는 것이 과연 가이드라인에 포함되어 있을까요? 🤔💉
1. 뇌수막염 치료에서 스테로이드의 역할
스테로이드는 염증 반응을 억제하여 뇌압 상승, 뇌부종, 청신경 손상 등의 합병증을 줄이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특히 세균성 뇌수막염에서 이런 효과가 가장 뚜렷하게 나타나며, 주된 목적은 청력 손실 예방과 신경학적 후유증 감소입니다.
2. 스테로이드 사용은 언제, 어떻게?
✅ 가이드라인 핵심 요약 (2023년 기준)
- IDSA (미국 감염병학회) 및 대한감염학회는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스테로이드 사용을 권고합니다.
조건 | 내용 |
---|---|
투여 시기 | 항생제 투여 직전 또는 동시에 (늦어지면 효과 ↓) |
권장 약제 | 덱사메타손(Dexamethasone) 0.15 mg/kg IV, 6시간마다 |
권장 기간 | 보통 2~4일 (원인균 확인 후 조절 가능) |
적용 대상 | S. pneumoniae, H. influenzae 원인균 의심 혹은 확인 시 |
💡 특히 성인에서 폐렴구균(S. pneumoniae) 뇌수막염이 의심될 경우, 덱사메타손을 항생제 투여 직전 또는 동시에 투여하는 것이 예후를 개선할 수 있다고 보고되었습니다. (Tunkel et al., CID, 2017)
3. 뇌수막염이 ‘의심될 때’도 스테로이드를 써야 할까?
▶ 결론: 그렇습니다, 조건부로 권장됩니다.
- 환자가 세균성 뇌수막염이 강하게 의심되는 임상 증상(고열, 경부강직, 의식저하 등)을 보이고,
- 혈액배양을 채취한 뒤, 가능한 빠르게 항생제를 투여해야 하는 상황이라면,
- 덱사메타손을 함께 투여하는 것이 현재의 국제적 가이드라인에도 부합합니다.
그러나 바이러스성이나 결핵성 뇌수막염이 더 의심되는 경우라면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4. 실제 임상 적용 예시 👨⚕️
58세 남성, 발열과 두통, 의식 저하로 응급실 내원. 경부 강직이 확인되고, 혈압도 감소되어 패혈성 뇌수막염 의심. 뇌영상 전 요추천자 금기 상황으로 CT부터 시행 예정.
이 경우, CT 결과를 기다리는 동안 항생제와 덱사메타손을 함께 먼저 투여하는 것이 가이드라인상 권장됩니다. 단, 항생제보다 스테로이드가 먼저 투여되어야 효과적이라는 점을 기억해야 합니다.
5. 주의할 점 ⚠️
- 항생제 투여 후 스테로이드를 투여하면 효과가 거의 없을 수 있습니다.
- 면역억제 상태, 결핵 의심, 바이러스성 원인 등에서는 스테로이드가 해로울 수 있습니다.
- 어린이의 경우 H. influenzae에 의한 뇌수막염에서 청력 보호 효과가 뚜렷하므로 사용 권장됩니다.
Q&A: 뇌수막염과 스테로이드 사용
Q1. 바이러스성 뇌수막염에도 스테로이드를 써야 하나요?
A. 아니요, 일반적으로 사용하지 않으며 오히려 해로울 수 있습니다.
Q2. 항생제를 먼저 주고 나중에 스테로이드를 줘도 되나요?
A. 아니요. 항생제와 동시에 혹은 직전에 스테로이드를 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Q3. 덱사메타손 외에 다른 스테로이드는 사용 가능한가요?
A. 대부분의 가이드라인은 덱사메타손을 기준으로 하며, 다른 제제는 권장되지 않습니다.
Q4. 원인균이 밝혀진 후에도 스테로이드를 계속 써야 하나요?
A. 폐렴구균이 확인되면 계속 사용, N. meningitidis 등은 중단 고려합니다.
Q5. 소아와 성인 모두 같은 용량을 사용하나요?
A. 용량은 체중 기준이며, 소아는 0.15 mg/kg, 성인도 보통 이 기준으로 투여합니다.
참고 문헌
- Tunkel AR et al. (2017). IDSA Guidelines on Bacterial Meningitis. Clin Infect Dis.
- WHO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bacterial meningitis.
- 대한감염학회 뇌수막염 진료지침 (2022).
- Uptodate: Dexamethasone use in bacterial meningitis.
'중환자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항생제 치료에서 아미카신을 병용하는 경우는? (0) | 2025.04.18 |
---|---|
중환자실에서 혈소판 감소증이 나타날 수 있는 흔한 원인들 (0) | 2025.04.18 |
몰핀(Morphine) 볼루스 투여 용량, 얼마나 사용할까? (0) | 2025.04.17 |
SCMP 치료, 도부타민을 반드시 사용해야 할까? 언제 사용할까? (0) | 2025.04.17 |
VT, VF에 Amiodarone이 효과적일까? SHOCK 이후 ROSC 될 환자에게 투여해야 할까? (0) | 2025.04.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