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의학 지식

MCA 폐색 후 혈압은 얼마나 유지해야 할까?

by 비비닥 2025. 4. 21.

중대뇌동맥(MCA, Middle Cerebral Artery) 폐색은 뇌경색 중 가장 흔한 유형으로, 신속한 치료와 적절한 혈압 관리가 예후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하지만 환자 상태, 치료 방식(혈전용해제/혈관내시술 여부), 기저질환 등에 따라 목표 혈압은 달라질 수 있죠. 이번 글에서는 MCA 폐색 후 혈압을 얼마나 유지해야 하는지, 최신 가이드라인과 실제 임상 적용을 바탕으로 자세히 정리해 드릴게요. 🩺📊

MCA 폐색 후 혈압은 얼마나 유지해야 할까?


🧠 MCA 폐색이란?

MCA는 뇌의 측두엽, 전두엽 일부, 운동 및 감각 피질 등을 담당하는 주요 혈관입니다. 이 부위가 폐색되면 다음과 같은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편측 마비 또는 감각 저하
  • 언어장애(브로카/베르니케 실어증)
  • 반측시야 결손

🔍 대부분 심방세동에 의한 심인성 색전증, 또는 죽상동맥경화가 원인입니다.


💡 혈압 조절이 중요한 이유

  • 뇌경색 초기에는 손상된 뇌조직 주변으로 혈류를 유지하려는 보상적 고혈압이 나타남
  • 과도한 혈압 하강 시, 허혈 부위 확대(risk of infarct growth) 가능
  • 반면 너무 높은 혈압은 출혈 변성(hemorrhagic transformation) 위험을 증가시킴

즉, 과도한 혈압 조절은 금물, 적절한 범위에서의 균형 잡힌 조절이 중요합니다.


📋 치료 방식별 혈압 목표 정리

치료 상황 목표 혈압 근거 및 가이드라인
혈전용해제(tPA) 전 SBP < 185 mmHg, DBP < 110 mmHg AHA/ASA 2019
혈전용해제 후 SBP < 180 mmHg, DBP < 105 mmHg 24시간 유지 필수
혈관내 치료(혈전제거술 등) 전 SBP < 185 mmHg 혈관 손상 예방
혈관내 치료 후 SBP < 180 mmHg 재출혈 위험 최소화
치료 안 받은 경우 SBP < 220 mmHg까진 허용 가능 자발적 재관류 기대

📌 SBP: 수축기 혈압 / DBP: 이완기 혈압


🔄 최근 연구 및 가이드라인 업데이트 (2023~2024 기준)

  • ENCHANTED Trial (NEJM, 2019): SBP를 130~140 mmHg로 낮춘 군에서 출혈은 줄었지만, 기능적 예후 차이는 없었음
  • AHA/ASA 2023 지침: 치료 방식과 환자 상태에 따라 개별화된 혈압 조절이 필요, 특히 심방세동·고령자에선 SBP 140~160 유지 권고
  • 대한뇌졸중학회 2024 권고: 혈전용해 후 24시간 동안 SBP < 180 mmHg 유지가 가장 중요

⚠️ 혈압 조절 시 주의사항

  1. 급격한 하강은 금지
    • 처음 24시간 내 SBP 15~25% 이상 급하강 시 허혈 악화 가능
  2. 정맥 항고혈압제 사용 시 모니터링 필수
    • 예: Nicardipine, Labetalol
  3. 혈압보다 중요한 건 재관류 상태 확인
    • 이미 뇌경색이 고정된 경우, 엄격한 혈압 조절이 의미 없을 수 있음

🧠 환자 사례: “혈압 조절로 재출혈을 막았어요”

68세 남성 환자, 좌측 MCA 폐색으로 혈전용해제 및 혈관내 치료 후 중환자실 관리 중. 초기 혈압이 190/110mmHg였지만, tPA 투여 직후 SBP 170 이하로 안정적 유지하면서 출혈 없이 빠르게 회복되었습니다. 현재는 후유증 거의 없이 보행 재활 중입니다. 🧑‍⚕️👏


❓자주 묻는 질문 (FAQ)

Q1. 치료 안 받은 경증 뇌경색도 혈압 조절해야 하나요?
A1. 급성기엔 SBP < 220mmHg까진 허용 가능하지만, 이후 점진적 조절이 필요합니다.

Q2. 혈압이 낮으면 뇌에 피가 덜 가는 거 아닌가요?
A2. 맞습니다. 따라서 혈압을 너무 빠르게 낮추는 것은 금물입니다.

Q3. 병원 퇴원 후에도 혈압 목표가 유지돼야 하나요?
A3. 대부분의 환자에겐 SBP 120~140 mmHg 유지가 장기적으로 중요합니다.

Q4. 혈전용해제 후 180mmHg 넘으면 어떻게 하나요?
A4. 즉시 정맥 항고혈압제를 투여하고, 매 15분 간격으로 혈압 체크가 필요합니다.

Q5. 치료 안 받은 환자도 뇌출혈이 생길 수 있나요?
A5. 드물지만 고혈압 지속 시 뇌경색 부위에 출혈 변성이 생길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