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의학 지식

DAMA: Discharge Against Medical Advice의 의미와 주의사항

by 비비닥 2025. 4. 29.

병원 진료 중 종종 접하게 되는 용어 중 하나가 바로 DAMA(Discharge Against Medical Advice)입니다. DAMA는 의사의 권고를 따르지 않고 환자가 자의로 병원 퇴원을 결정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간단해 보이지만, 환자와 의료진 모두에게 중요한 의미를 가지며, 때로는 건강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선택입니다.

오늘은 DAMA의 의미, 발생 원인, 그리고 주의해야 할 사항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


DAMA란 무엇인가요? 🤔

DAMA는 "Discharge Against Medical Advice", 즉 의료진의 권고를 무시하고 환자가 스스로 퇴원을 선택하는 상황을 말합니다. 이 경우 환자는 치료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병원을 떠나게 됩니다.

  • 예시: 감염이 완전히 치료되지 않은 환자가 더 이상 병원에 머물기 싫어 퇴원서를 작성하고 나가는 경우.

DAMA는 특히 응급실, 중환자실, 정신과 병동 등에서 종종 발생하며, 환자의 권리와 의료진의 책임 사이에서 복잡한 상황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DAMA가 발생하는 주요 원인 🔍

원인 설명
경제적 부담 치료비나 입원비 부담으로 퇴원을 결정하는 경우
가정 또는 직장 문제 가족 돌봄, 직장 복귀 등의 이유로 퇴원을 서두르는 경우
치료 계획에 대한 불신 의료진의 진단이나 치료 방법에 동의하지 않는 경우
정신적 불안 병원 환경에 대한 두려움, 불안 등으로 퇴원을 원하는 경우
약물 중독 또는 정신질환 자발적 치료 중단을 결정하는 경우

DAMA의 위험성과 결과 🚨

DAMA는 환자의 예후 악화재입원 위험 증가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여러 연구에 따르면, DAMA 후 30일 이내 재입원율이 정상 퇴원 환자보다 2~3배 높으며, 사망률 또한 증가할 수 있습니다[^1].

  • 치료 중단: 감염, 심혈관 질환, 정신질환 등에서 치료가 중단되면 상태가 악화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 약물 복용 불이행: 퇴원 후 약물 복용을 중단하는 경우 질환이 재발하거나 악화될 수 있습니다.
  • 법적 문제: DAMA는 의료진의 법적 책임을 줄이기 위해 퇴원 동의서를 받지만, 이후 환자의 건강 문제에 대한 논란이 생길 수 있습니다.

DAMA 시 의료진의 역할 🩺

  1. 위험성 충분히 설명: 환자에게 퇴원 시 발생할 수 있는 건강상의 위험을 상세히 설명합니다.
  2. 동의서 작성: 환자의 자필 서명으로 DAMA 동의서를 작성하여 법적 보호를 확보합니다.
  3. 퇴원 후 계획 제공: 퇴원 이후에도 적절한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외래 진료 예약이나 약 처방을 안내합니다.
  4. 공감적 접근: 환자의 감정이나 상황을 이해하고, 가능한 다른 대안을 제시합니다.

DAMA 관련 Q&A ❓

Q1. DAMA를 하면 병원비는 어떻게 되나요?
A1. DAMA 여부와 상관없이 이미 제공된 의료 서비스에 대한 비용은 지불해야 합니다.

Q2. DAMA 후에도 다시 병원에 올 수 있나요?
A2. 가능합니다. DAMA 후 증상이 악화되면 언제든지 재입원이 가능합니다.

Q3. DAMA가 법적으로 문제가 될 수 있나요?
A3. DAMA는 환자의 자율권을 존중하는 행위이므로 법적으로 문제는 없지만, 퇴원 동의서 서명이 필요합니다.

Q4. DAMA는 특정 진료과에서 더 자주 발생하나요?
A4. 응급실, 정신과, 내과 등에서 상대적으로 더 빈번하게 발생합니다.

Q5. DAMA를 막을 수 있는 방법은 없나요?
A5. 의료진이 환자와 충분한 소통을 하고, 환자의 상황을 이해하며 대안을 제시하는 것이 DAMA를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1]: Southern WN, Nahvi S, Arnsten JH. Increased risk of mortality and readmission among patients discharged against medical advice. Am J Med. 2012;125(6):594-6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