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의학 지식

혈액검사에서 전해질(Na, K, Ca)은 이온화 상태일까?

by 비비닥 2025. 4. 29.

병원에서 혈액검사를 할 때 전해질(Electrolytes) 수치를 확인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대표적으로 나트륨(Na), 칼륨(K), 칼슘(Ca) 등이 포함되죠. 그런데 가끔 헷갈릴 수 있는 질문이 있습니다.

"혈액검사에서 나오는 전해질 수치는 이온화된 상태를 말하는 걸까?"

오늘은 이 궁금증을 쉽고 정확하게 풀어드릴게요! 😊


전해질이란 무엇인가요? ⚡

전해질(Electrolytes)은 우리 몸의 체액 속에서 전기를 띠는 이온 형태로 존재하는 무기질입니다. 주된 역할은 다음과 같습니다.

  • 삼투압 유지
  • 신경 전달
  • 근육 수축 조절
  • 산-염기 균형 유지

대표적인 전해질:

  • 나트륨(Na⁺)
  • 칼륨(K⁺)
  • 칼슘(Ca²⁺)
  • 염소(Cl⁻)
  • 마그네슘(Mg²⁺)
  • 인산(PO₄³⁻)

혈액검사에서 측정되는 전해질, 이온화 상태일까? 🤔

1. 나트륨(Na), 칼륨(K): 모두 이온화 상태로 측정 ✅

  • 혈액검사에서 나트륨칼륨항상 이온화된 상태(Na⁺, K⁺)로 측정됩니다.
  • 이 두 전해질은 대부분 혈장 내에서 자유롭게 이온 형태로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 즉, 혈액검사의 Na, K 수치는 이온화된 농도입니다!


2. 칼슘(Ca): 총칼슘 vs 이온화 칼슘 ⚠️

  • 칼슘은 혈액 내에서 총칼슘(total calcium)이온화 칼슘(ionized calcium) 두 가지 형태로 나뉩니다.
형태 비율 특징
이온화 칼슘(Ca²⁺) 약 45% 생리적으로 활성화된 형태, 세포 기능에 직접 작용
단백질 결합 칼슘 약 40% 주로 알부민과 결합
복합체 칼슘 약 15% 인산, 중탄산 등과 결합된 형태
  • 일반적인 혈액검사에서는 총칼슘(total calcium)을 측정합니다.
  • 이온화 칼슘은 따로 ionized calcium 검사를 해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즉, 혈액검사의 Ca는 총칼슘 (이온화 + 결합된 칼슘) 입니다.


언제 이온화 칼슘(ionized calcium)을 따로 측정할까? 🩺

  1. 저알부민혈증(Alb 감소) 상황
    • 총칼슘은 정상으로 나와도 실제 이온화 칼슘이 낮을 수 있음.
  2. 중환자실(ICU) 환자
    • 산-염기 상태 변화가 심할 때 이온화 칼슘이 더 정확한 지표가 됩니다.
  3. 부갑상선 질환(PTH 이상) 평가 시
    • 칼슘 대사를 정확히 평가하기 위해 필요.
  4. 신부전 환자
    • 전해질 불균형이 흔해, 이온화 칼슘 확인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전해질 상태별 해석 기준 📝

전해질 측정 형태 정상 범위 (성인 기준)
Na⁺ 이온화 (ionized) 135~145 mEq/L
K⁺ 이온화 (ionized) 3.5~5.0 mEq/L
Ca (총) 총칼슘 (total) 8.5~10.5 mg/dL
Ca²⁺ 이온화 칼슘 (ionized) 4.6~5.3 mg/dL

전해질 검사 관련 Q&A ❓

Q1. 총칼슘이 정상인데 이온화 칼슘이 낮을 수 있나요?
A1. 네, 알부민이 낮은 경우 총칼슘은 정상처럼 보여도 이온화 칼슘은 감소할 수 있습니다.

Q2. 나트륨과 칼륨은 항상 이온화 상태로 나오나요?
A2. 맞습니다! Na⁺, K⁺는 항상 이온 형태로 측정됩니다.

Q3. 총칼슘과 이온화 칼슘 중 어떤 게 더 중요한가요?
A3. 이온화 칼슘생리적으로 활성이 있으므로 더 중요하지만, 총칼슘은 간편하게 스크리닝용으로 사용됩니다.

Q4. 신부전 환자에서는 어떤 전해질에 더 신경 써야 하나요?
A4. 칼륨(K⁺), 인산(PO₄³⁻), 칼슘(Ca²⁺)이 불균형하기 쉬워 정기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Q5. 이온화 칼슘 검사는 언제 요청할 수 있나요?
A5. 저알부민혈증, 중환자, 부갑상선 질환, 신부전 등에서 요청할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 UpToDate: Serum electrolytes measurement and interpretation, 2024.
  • KDIGO Guidelines for CKD-MBD, 2023.
  • Harrison's Principles of Internal Medicine, 21st ed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