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의학 지식

덱스메데토미딘(Dexmedetomidine) 용량과 주의사항 가이드

by 비비닥 2025. 4. 29.

덱스메데토미딘(Dexmedetomidine, 상품명: Precedex)은 중환자실(ICU), 수술실, 내시경 등에서 많이 사용하는 진정제입니다. 다른 진정제와 달리 호흡 억제가 적고, 진정 상태에서도 의식이 유지되는 특성(cooperative sedation) 덕분에 다양한 진료 상황에서 선호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덱스메데토미딘의 용량, 투여 방법, 주의사항을 쉽고 정확하게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


덱스메데토미딘이란? 🧠

  • 약물 분류: 선택적 α2-아드레날린 수용체 작용제
  • 효과: 진정, 불안 완화, 진통 보조
  • 특징:
    • 호흡 억제 거의 없음
    • 진정 중에도 의식이 일부 유지됨 (대화 가능)
    • 심박수, 혈압 감소 효과 있음 (주의 필요)
    • 마약성 진통제 사용량 감소 효과

덱스메데토미딘 용량 💉

1. 성인 진정 목적 용량

용도 로딩 용량 유지 용량
중환자실 진정 (ICU) 1 mcg/kg over 10분 (생략 가능) 0.2~0.7 mcg/kg/hr (최대 1.4 mcg/kg/hr)
     
  • 로딩 용량 생략: 저혈압, 서맥 우려 시 로딩 없이 유지 용량만 시작할 수 있습니다.
  • 유지 용량 조절: 진정 깊이에 따라 유지 용량 조절 (환자 반응에 따라 증가/감소)

2. 투여 방법 예시 💡

  • 덱스메데토미딘 200 mcg/2 mL (농도: 100 mcg/mL)
  • 희석: 200 mcg을 48 mL 생리식염수(NS)에 희석 → 4 mcg/mL 농도 용액 준비
  • 투여:
    • 로딩: 1 mcg/kg over 10분
    • 유지: 0.2~0.7 mcg/kg/hr로 정맥 주입

덱스메데토미딘 사용 시 주의사항 ⚠️

주의사항 설명
서맥 및 저혈압 α2-작용으로 심박수, 혈압이 감소할 수 있어 모니터링 필수
호흡 억제 거의 없음 다른 진정제보다 호흡 억제가 적음 (하지만 관찰 필요)
간 기능 저하 시 용량 감량 간에서 대사되므로 간 기능 저하 시 용량 조절 필요
금단 증상 가능 장기간 사용 후 갑작스런 중단 시 불안, 고혈압 등 발생 가능

덱스메데토미딘 vs 프로포폴 비교표 📊

구분 덱스메데토미딘 프로포폴
호흡 억제 거의 없음 있음
심혈관 영향 서맥, 저혈압 (α2작용) 저혈압, 심박수 감소 (혈관확장)
진통 효과 약간 있음 (진통 보조) 없음
회복 속도 빠름 빠름
적응증 ICU 진정, 시술 진정, 수술 중 진정 전신 마취, 시술 진정

덱스메데토미딘 관련 Q&A ❓

Q1. 로딩 없이 유지 용량만 써도 되나요?
A1. 네! 저혈압, 서맥 위험이 있는 경우 로딩을 생략하고 유지 용량만으로 시작할 수 있습니다.

Q2. 호흡 억제가 정말 없나요?
A2. 프로포폴이나 벤조디아제핀과 비교해 훨씬 적지만, 과량 투여 시 억제 가능성이 있어 모니터링은 필요합니다.

Q3. 덱스메데토미딘을 얼마나 오래 사용할 수 있나요?
A3. 24~48시간 이내 사용을 권장하지만, 상황에 따라 수일 이상 사용도 가능하며, 서서히 감량하면서 중단합니다.

Q4. 간 기능이 나쁘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A4. 간 대사 약물이므로 간 기능 저하 시 유지 용량을 감량해야 합니다 (보통 50% 수준).

Q5. 진정 외에 진통 효과도 있나요?
A5. 직접적인 진통 효과는 약하지만, 마약성 진통제 필요량을 줄여주는 효과가 있습니다.

 


참고문헌:

  • UpToDate: Dexmedetomidine: Clinical use and dosing, 2024
  • Lexicomp Drug Monograph, 2024
  • Miller's Anesthesia, 9th ed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