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의학 지식

하지불안증후군(RLS) 치료 가이드: 약물과 생활습관 총정리

by 비비닥 2025. 4. 29.

하지불안증후군(Restless Legs Syndrome, RLS)은 다리를 가만히 두기 어려워 움직이고 싶은 충동이 생기는 질환입니다. 특히 밤에 증상이 심해져 수면을 방해하고, 삶의 질을 떨어뜨릴 수 있어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합니다. 흔히 철분 부족이나 도파민계 이상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원인에 맞는 치료가 중요합니다.

오늘은 하지불안증후군의 치료 방법약물치료생활습관 개선으로 나누어 자세히 알려드릴게요! 😊


하지불안증후군 치료 목표 🎯

  1. 증상 완화
  2. 수면 질 개선
  3. 삶의 질 향상

치료는 비약물적 방법을 우선 고려하며, 증상이 심하거나 지속적이면 약물치료를 병행합니다.


1. 비약물적 치료 🧘‍♀️

방법 설명
철분 보충 혈청 페리틴 < 75 ng/mL이면 철분 보충 권장
규칙적인 운동 스트레칭, 요가, 걷기 등 가벼운 운동 권장
카페인, 알코올 제한 저녁 시간 이후 피하기
수면 위생 개선 일정한 수면 시간 유지, 전자기기 사용 줄이기
따뜻한 목욕, 마사지 증상 완화에 도움

💡 Tip: 철분 부족은 하지불안증후군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이므로, 혈액검사를 통해 페리틴 수치 확인이 필요합니다.


2. 약물치료 💊

1) 도파민 작용제 (Dopamine agonists)

  • 프라미펙솔(Pramipexole): 0.125~0.75 mg (취침 2시간 전 복용)
  • 로피니롤(Ropinirole): 0.25~4mg, (취침 3시간 전 복용)
  • 도파민 작용제는 중증 RLS에서 1차 선택 약물입니다.
  • 하지만 장기 사용 시 증상 악화(augmentation) 위험이 있으므로, 저용량으로 시작해 천천히 증량합니다.

2) 가바 계열 약물 (GABA analogs)

  • 가바펜틴 엔카르비릴(Gabapentin enacarbil): 600 mg (취침 시 복용)
  • 프레가발린(Pregabalin): 75~300 mg
  • 수면 장애통증이 동반된 경우 특히 효과적입니다.
  • 도파민 작용제 사용이 어려운 경우 1차 약물로 선택할 수 있습니다.

3) 철분 보충

  • 경구 철분제: 하루 65~130 mg (철분 흡수 증진을 위해 비타민C 함께 복용 추천)
  • 정맥 철분제: 경구 철분제 효과 없을 경우 사용

4) 기타 약물

  • 클로나제팜(Clonazepam): 벤조디아제핀계 약물로 수면 보조 목적 (주의: 의존성 가능)
  • 오피오이드: 극심한 경우 제한적으로 사용 (ex. 트라마돌, 옥시코돈)

하지불안증후군 치료 흐름도 📝

  1. 페리틴 < 75 ng/mL철분 보충
  2. 증상이 지속되면 → 도파민 작용제 또는 가바 계열 약물 시작
  3. 도파민 작용제 사용 중 증상 악화(augmentation) 발생 시 → 가바 계열 약물로 전환
  4. 심한 경우오피오이드 고려

하지불안증후군 치료 관련 Q&A ❓

Q1. 철분 수치가 정상인데도 약을 먹어야 하나요?
A1. 네, 페리틴이 75 ng/mL 이상이어도 증상이 심하면 약물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Q2. 도파민 작용제를 오래 먹어도 괜찮나요?
A2. 장기 사용 시 증상 악화(augmentation) 가능성이 있어, 정기적인 평가와 용량 조절이 필요합니다.

Q3. 가바 계열 약물은 졸리거나 어지러울 수 있나요?
A3. 네, 졸림, 어지러움 등이 흔할 수 있어, 취침 전에 복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Q4. 오피오이드는 꼭 써야 하나요?
A4. 다른 약물이 효과 없을 때 마지막 선택지로 사용하며, 의존성, 부작용을 잘 모니터링해야 합니다.

Q5. 운동은 어떤 게 좋을까요?
A5. 걷기, 스트레칭, 요가처럼 무리가 가지 않는 가벼운 유산소 운동이 좋습니다.

 


참고문헌:

  • UpToDate: Restless legs syndrome: Treatment, 2024
  • 대한신경과학회 하지불안증후군 진료지침, 2023
  • American Academy of Sleep Medicine Guidelines,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