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상에서 환자의 기능적 상태나 이동 능력을 기술할 때, "혼자 걷지는 못하지만, 도움을 받으면 이동 가능하다"는 의미를 자주 사용합니다. 이를 명확하고 일관된 방식으로 표현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의학 용어 또는 표준화된 표현이 사용됩니다.

✅ 표준 의학 용어
▶ Ambulates with assistance
-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표현
- 직역: "도움 받으며 보행함"
- 간호기록, 재활 평가서, 입퇴원 소견서 등에서 사용
▶ Requires assistance for ambulation
- 보행 시 지속적인 도움 필요를 강조할 때 사용
▶ Partial dependence for mobility
- 이동 시 부분적으로 타인의 도움을 필요로 한다는 의미
- 장기요양등급, 재활 평가 문서 등에 자주 사용됨
▶ Needs minimal/moderate assistance for transfers or ambulation
- 일어나기/앉기/걷기 같은 동작에서 도움의 정도(경도/중등도 등)를 구체화
🏥 예시 문장
| 한국어 표현 | 의학적 영어 표현 |
|---|---|
| 보호자 부축하에 거동 가능 | Ambulates with caregiver assistance |
| 지팡이나 워커 필요 | Ambulates with assistive device |
| 부분 도움 필요 | Requires moderate assistance for ambulation |
| 침대에서 휠체어로 이동 시 도움 필요 | Requires assistance for transfer from bed to wheelchair |
❓ 자주 묻는 질문 (Q&A)
Q1. '보호자 동반 시 보행 가능'은 어떻게 쓰나요?
→ Ambulates with caregiver supervision or assistance
Q2. '보조기구 없이 보행 가능'은 어떻게 표현하나요?
→ Ambulates independently without assistive device
Q3. '완전 부동 상태'는 어떤 용어를 쓰나요?
→ Non-ambulatory 또는 Bedridden
'의학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딜티아젬(Diltiazem) 용법 💊 — 심방세동(AF)에서 어떻게 사용할까? (0) | 2025.05.03 |
|---|---|
| Sinus Tachycardia의 원인 🫀 — 가장 흔한 순서대로 정리해드립니다! (0) | 2025.05.03 |
| 복강내 농양 치료 중 Meropenem 사용 시 Metronidazole도 필요할까? (0) | 2025.05.03 |
| CO₂ Retention에 High-Flow Nasal Cannula (HFNC)는 도움이 될까? (1) | 2025.05.02 |
| PEEP Valve란? 🫁 적응증과 금기증까지 한눈에 정리! (0) | 2025.05.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