딜티아젬(Diltiazem)은 칼슘채널차단제(CCB)의 일종으로, 비디하이드로피리딘 계열 약물입니다. 특히 심방세동(AF, Atrial Fibrillation) 환자에서 심실률 조절(rate control) 목적으로 많이 사용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AFib 환자에서 딜티아젬의 용법 및 투여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 딜티아젬의 기전
딜티아젬은 심장 전도계(AV node)의 칼슘 유입을 억제하여, 심방에서 빠르게 전달되는 전기 자극을 심실로 전달되지 않도록 막아 심박수를 감소시킵니다.
즉, AF 환자에서 심박수 조절(rate control)이 필요한 경우, 매우 효과적인 약물입니다.
💉 급성 AFib (심박수 조절 목적)
🏥 정맥(IV) 투여
| 단계 | 용량 및 방법 | 
|---|---|
| 초기 bolus | 0.25 mg/kg IV over 2분 (보통 15~20mg) | 
| 반응 없을 경우 | 0.35 mg/kg IV over 2분 (약 20~25mg) | 
| 유지 용량 (continuous infusion) | 5~15 mg/hr IV drip 조절 가능 | 
📌 효과는 3~5분 이내에 나타나며, 즉각적인 심박수 감소가 가능합니다.
💊 만성 AFib 또는 안정된 환자에서 경구 유지요법
| 제형 | 용법 | 
|---|---|
| 정제 (일반형) | 30 | 
| 서방형 (CD, ER, SR) | 120~360mg 1일 1회 또는 2회 분할 복용 개인별 반응에 따라 조절 | 
🕒 서방형은 복용 편의성이 높아 만성 관리에 유리합니다.
🚫 주의사항 및 금기
딜티아젬은 효과가 좋지만, 사용 시 주의할 점도 많습니다:
| 주의사항 | 설명 | 
|---|---|
| 심부전 | 좌심실 기능 저하(LVEF < 40%) 환자에서는 악화 위험 있음 | 
| 서맥 또는 AV block | 전도계 억제로 증상 악화 가능 | 
| 혈압 저하 | 기저 저혈압 환자 주의 | 
| 병용 금지 약물 | 베타차단제와 병용 시 심한 서맥, AV block 유발 가능 | 
| 간대사 약물 | CYP3A4 억제제이므로 다른 약물과 상호작용 가능성 존재 | 
📘 최신 가이드라인 요약 (AHA/ACC/HRS 2023)
- AFib의 1차 rate control 약물로 베타차단제 또는 비디하이드로피리딘계 CCB(딜티아젬, 베라파밀) 권장
- 급성 발현 및 hemodynamically stable 환자에 적절
- EF < 40%에서는 사용 금지 (심부전 악화 위험)
❓ 자주 묻는 질문 (Q&A)
Q1. 딜티아젬을 경구로만 써도 되나요?
급성 상황에서는 IV bolus가 더 빠른 효과를 나타내므로 병원 환경에서는 IV 사용이 우선됩니다. 안정 시에는 경구로 전환합니다.
Q2. 심박수가 100 이상이어야 써야 하나요?
보통 AF에서 resting HR > 110 bpm일 경우 rate control을 적극 고려합니다.
Q3. 베타차단제 대신 딜티아젬을 선택하는 경우는?
기관지천식, COPD 등에서 베타차단제 사용이 어렵거나 금기인 경우 딜티아젬이 대안이 될 수 있습니다.
Q4. AF 환자에게 혈압이 낮은데 써도 될까요?
기저 수축기혈압이 90mmHg 이하라면 딜티아젬은 저혈압을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Q5. 딜티아젬으로 rate control이 안 되면 어떻게 하나요?
다른 약물 추가(예: 디곡신)나 리듬 조절 전략(전기적 심율동전환, 항부정맥제 등)으로 전환 고려해야 합니다.
'의학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 Delirium Tremens의 진단과 치료, 어떻게 해야 할까요? (0) | 2025.05.03 | 
|---|---|
| Delirium Tremens란? 🍺 금주 후 찾아오는 위험한 뇌의 경고 (0) | 2025.05.03 | 
| Sinus Tachycardia의 원인 🫀 — 가장 흔한 순서대로 정리해드립니다! (0) | 2025.05.03 | 
| "도움 받아 거동 가능"의 의학적 표현은? (0) | 2025.05.03 | 
| 복강내 농양 치료 중 Meropenem 사용 시 Metronidazole도 필요할까? (0) | 2025.05.03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