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을 오래 마신 사람이 갑자기 금주를 하면, 몸과 뇌는 혼란스러운 반응을 보일 수 있습니다. 그 중 가장 심각한 형태가 바로 Delirium Tremens(디리리움 트레멘스) 입니다.
이는 단순한 금단증상을 넘어서,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급성 금단 섬망 상태로 간주되며, 응급 치료가 필요한 상황입니다.
🧠 Delirium Tremens란 무엇인가요?
Delirium Tremens(DT)는 만성 음주자가 갑자기 술을 끊은 후 48~96시간 사이에 발생할 수 있는 중증 알코올 금단 증후군의 말기 형태입니다.
‘떨리는 섬망’이라는 이름처럼, 심한 떨림, 혼란, 망상, 환각 등을 동반하며 의식 수준의 급격한 변화가 특징입니다.
일반적인 금단 증상은 가볍게 지나갈 수 있지만, DT는 사망률이 5~15%까지 보고될 만큼 치명적일 수 있습니다. [NEJM, 2023]
🚨 주요 증상
DT는 단순한 금단증상과는 달리 신경학적, 자율신경계, 정신 증상이 함께 나타납니다:
- 지남력 장애 (시간, 장소, 사람 인식 저하)
- 시각 환각 (벌레나 사람 등 비현실적인 장면)
- 망상 및 착란
- 심한 떨림 (tremor)
- 발한, 고열, 빈맥, 고혈압
- 불면, 과다 각성, 공포감
- 근육 경련 또는 발작
특히 고열과 환각, 자율신경 항진(맥박↑, 혈압↑)이 동반될 경우 DT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 진단 기준
정해진 진단 검사보다는 병력 청취와 임상 증상 관찰이 가장 중요합니다.
진단 요소 | 설명 |
---|---|
음주력 | 장기간의 과음, 최근 갑작스런 금주 |
발생 시점 | 금주 후 2~4일 이내 |
증상 | 섬망, 자율신경 항진, 환각 등 |
배제 진단 | 감염, 외상, 간성혼수 등 유사 증상 감별 필요 |
💉 치료 원칙
Delirium Tremens는 입원 치료가 원칙이며, 중증일 경우 중환자실(ICU) 입원이 필요합니다. 주요 치료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진정제(BZD) 투여
- 디아제팜, 로라제팜, 클로르디아제폭사이드 등
- 초기 고용량 필요할 수 있으며, 환자의 반응에 따라 적절히 조절
- 로라제팜은 간기능이 저하된 환자에게 선호됨
2. 수액 및 전해질 보충
- 탈수, 저칼륨혈증, 저마그네슘혈증 보정
- 티아민(비타민 B1) 투여는 필수! → 베르니케 뇌병증 예방
3. 항정신병약제(필요시)
- 환각, 과격한 행동 조절 목적 (예: 할로페리돌 소량)
4. 환자 환경 안정화
- 조용한 환경 제공
- 안전한 신체 고정 필요 시 제한적으로 사용
🧾 예후 및 추적 관리
치료 시 빠르게 호전되지만, 적절한 치료가 늦어지면 치명적인 합병증(심정지, 발작, 호흡부전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치료 후에도 금주 유지, 재활 치료, 심리상담 등 장기적인 관리가 필수입니다.
❓ 자주 묻는 질문 (Q&A)
Q1. Delirium Tremens는 모든 금주자에게 생기나요?
아니요. 주로 오랜 기간 많은 양의 술을 마신 사람에게서 발생합니다. 금주 경험이 많거나, 간 질환이 있는 경우 위험이 더 높습니다.
Q2. 단순한 금단 떨림과 DT는 어떻게 구분하나요?
DT는 의식 저하, 환각, 망상, 자율신경계 항진 등이 특징이며, 단순 떨림보다 훨씬 심각한 양상을 보입니다.
Q3. 티아민은 왜 꼭 줘야 하나요?
만성 음주자는 비타민 B1 결핍이 흔하고, 이를 방치할 경우 베르니케-코르사코프 증후군이라는 뇌손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Q4. 발작이 먼저 오면 DT일까요?
금주 후 6~48시간 사이의 발작은 알코올 금단 발작일 가능성이 높으며, 이후 DT로 발전할 수 있으므로 적극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Q5. 예방은 가능한가요?
네. 고위험 환자의 경우 입원 후 미리 벤조디아제핀 예방 투여 및 티아민 보충으로 DT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의학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설사에 사용되는 '노르믹스', 어떤 약일까요? (0) | 2025.05.04 |
---|---|
Delirium Tremens의 진단과 치료, 어떻게 해야 할까요? (0) | 2025.05.03 |
딜티아젬(Diltiazem) 용법 💊 — 심방세동(AF)에서 어떻게 사용할까? (0) | 2025.05.03 |
Sinus Tachycardia의 원인 🫀 — 가장 흔한 순서대로 정리해드립니다! (0) | 2025.05.03 |
"도움 받아 거동 가능"의 의학적 표현은? (0) | 2025.05.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