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 ‘식물인간 상태(Vegetative State, VS)’로 불리던 의학적 상태에 대해, 최근에는 Unresponsive Wakefulness Syndrome (UWS)이라는 용어가 더 자주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는 환자의 상태에 대한 낙인을 줄이고, 보다 중립적이며 의학적으로 정확한 표현을 사용하려는 의학계의 흐름을 반영한 것입니다. 🌿🧠
📌 UWS란 무엇인가요?
Unresponsive Wakefulness Syndrome (UWS)는 눈은 떠 있지만, 의식이 없고 외부 자극에 반응하지 못하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이 용어는 2002년 국제 뇌손상 연구회(Royal Hospital for Neuro-disability)에서 공식 제안되었으며, 기존 '식물인간 상태'에 대한 용어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도입되었습니다.
✅ UWS의 주요 특징
- 눈을 뜨고 있음 (각성 상태 존재)
- 의미 있는 언어나 행동 반응 없음
- 눈맞춤, 명령 수행 불가
- 환경 인식 증거 없음
- 비의도적 자발적 움직임 가능
- 수면-각성 주기 유지
- 뇌간 반사는 유지됨 (예: 기침, 삼킴 반사)
💡 요약하면: 깨어는 있으나 반응하지 않는다는 것이 핵심입니다.
🧠 왜 '식물인간 상태' 대신 UWS를 쓰나요?
구 용어: 식물인간(Vegetative State) | 새 용어: Unresponsive Wakefulness Syndrome |
---|---|
정서적, 사회적 낙인 있음 ("식물처럼 존재") | 중립적이고 생리학적 상태에 초점 |
환자 및 보호자에게 모욕적일 수 있음 | 더 객관적이고 설명적인 용어 |
일부 국가에서는 금기어로 인식됨 | 국제적으로 권장되는 용어 |
🔄 예전에는 VS(Vegetative State)라는 용어가 공식 진단명이었지만, UWS는 같은 상태를 더 적절하게 설명하는 새로운 명칭입니다.
🧬 원인 질환
- 심정지 후 저산소성 뇌손상 (Hypoxic-ischemic injury)
- 외상성 뇌손상 (Traumatic Brain Injury)
- 광범위한 뇌출혈 또는 뇌경색
- 감염성 뇌염, 뇌염증
- 대사성 뇌질환 (예: 간성 뇌증)
⏳ UWS의 예후
UWS의 회복 가능성은 상태의 원인과 지속 기간에 따라 다릅니다.
상태 지속 기간 | 회복 가능성 |
---|---|
1개월 미만 (급성) | 비교적 양호 |
1~3개월 이상 | 점점 낮아짐 |
6개월~1년 이상 | 회복 가능성 희박 |
⚠️ 비외상성 UWS는 3~6개월 이후 회복 가능성이 매우 낮고, 외상성 UWS는 최대 12개월까지 회복이 보고된 바 있습니다.
🔬 진단 방법
- 신경학적 진찰 (GCS, 눈 맞춤, 명령 반응 등)
- EEG (뇌파검사)
- fMRI 또는 PET (의식 가능성 평가 보조)
- 뇌간 반사 확인 (Pupillary reflex, corneal reflex 등)
❓ 자주 묻는 질문 (Q&A)
Q1. UWS는 식물인간 상태와 다른가요?
A1. 의학적으로는 동일한 상태이지만, 용어만 더 중립적으로 바뀐 것입니다.
Q2. 의식 회복 가능성은 어떻게 알 수 있나요?
A2. 뇌 손상의 원인과 시간 경과, 신경 영상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예측합니다.
Q3. 눈을 뜨고 있다는 것은 깨어 있다는 뜻인가요?
A3. 각성은 되어 있지만 의식이 없는 상태이므로, ‘깨어 있으나 의식 없음’이라고 표현합니다.
Q4. 최소 의식 상태(MCS)와 어떻게 구별하나요?
A4. MCS는 의미 있는 반응(예: 시선 추적, 명령 수행)이 일부라도 존재하는 반면, UWS는 전혀 없습니다.
Q5. 치료 방법은 무엇인가요?
A5. 특별한 의식 회복 치료는 없으며, 주로 보존적 치료(영양, 욕창 예방, 감염 예방 등)가 중심입니다.
참고 문헌:
- Royal Hospital for Neuro-disability, 2002
- Giacino JT et al. "Disorders of Consciousness." NEJM, 2022
- American Academy of Neurology Guidelines, 2018
- Laureys S. et al., Lancet Neurology, 2010
'중환자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환자실에서 칼륨 보충, 경구 복용도 가능할까? (0) | 2025.05.07 |
---|---|
하이드린(Hydroxyurea)이란? 적응증과 사용 시기 정리 (0) | 2025.05.07 |
눈은 뜨고 있지만 눈맞춤과 명령수행이 안 되는 상태의 의학용어 (0) | 2025.05.07 |
Pip-Tazo는 혐기성균을 커버할까? Metronidazole 병용이 필요 없는 이유 (0) | 2025.05.07 |
만성신부전에서 빈혈이 잘 일어나는 이유는? (1) | 2025.05.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