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선동결혈장(FFP, Fresh Frozen Plasma)은 혈액 응고 인자와 단백질을 포함한 혈장 성분으로, 응고 장애 교정을 목적으로 수혈됩니다. 그러나 무분별한 사용은 효과도 없고, 심각한 부작용(예: 폐손상, 체액 과다 등)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명확한 기준에 따라 사용해야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FFP 수혈이 필요한 상황과 기준을 임상 지침에 따라 체계적으로 정리하겠습니다.
✅ FFP란 무엇인가요?
- 전혈에서 혈장을 분리해 −18℃ 이하에서 동결한 혈액 성분
- 모든 응고 인자(I~XIII) 포함
- 수혈 시 해동 후 6시간 이내 사용해야 하며, ABO 타입 일치 필요
📌 FFP 수혈 적응증 (임상 상황별)
상황 | 수혈 적응증 기준 |
---|---|
다량출혈 또는 출혈 위험 시 수술 | PT/INR > 1.5, aPTT > 1.5배 초과 |
간부전으로 응고인자 결핍 시 | 출혈 또는 시술 예정 + INR 상승 |
DIC (파종성 혈관내 응고증) | 출혈 동반 시, FFP + 혈소판 병합 고려 |
대량 수혈(Massive transfusion) | 출혈 지속 시 1:1:1 수혈 전략 포함 (RBC:FFP:PLT) |
와파린 과다복용 + 출혈 | 즉시 FFP 수혈 가능 (Vit K 병용) |
항응고인자 결핍 (선천/후천) | 해당 인자가 포함된 농축제가 없을 때 대체 사용 |
혈장분리교환술 | 일부 자가면역질환에서 교체용으로 사용 (예: TTP) |
❌ FFP 수혈이 불필요한 경우
- 단순한 영양 부족 또는 저알부민
- 응고검사 수치만 이상, 출혈이나 시술 계획 없는 경우
- INR ≤ 1.5일 경우 대부분 임상적 의미 없음
- Volume expansion(체액 보충) 목적의 사용 → 금지!
💉 용량 기준
- 일반적으로 10–15 mL/kg (약 2~4팩) 권장
예: 70kg 성인 → 약 3~5팩 필요 - PT/aPTT 수치가 30~50% 이상 교정되려면 충분한 용량 필요
⚠️ FFP 수혈의 부작용
부작용 종류 | 설명 |
---|---|
TRALI (수혈관련 폐손상) | 가장 심각한 부작용, 급성 호흡부전 |
알레르기 반응 | 발진, 가려움 → 심하면 아나필락시스 |
체액 과다 | 폐부종, 고혈압 등 초래 가능 |
감염 위험 | 드물지만 HBV/HCV, HIV 전파 가능성 존재 |
🧠 실전 팁
- INR이 1.6~2.0이더라도, 출혈 없으면 수혈 필요성 낮음
- 수술 전 FFP 수혈은 시술 부위 출혈 위험에 따라 결정
- 와파린 중단 후 응급 시술 시, FFP + 비타민 K 병용
- 응고 수치 교정 여부는 수혈 1~2시간 후 재검사로 확인
❓ 자주 묻는 질문 Q&A
Q1. INR이 1.4인데 수술 전 FFP가 필요할까요?
A1. 대부분의 시술에서는 안전하며, FFP 수혈은 불필요합니다.
Q2. 비타민 K와 FFP는 같이 써야 하나요?
A2. 출혈이 있거나 응급 처치 시 함께 사용합니다. Vit K는 작용까지 수 시간이 걸립니다.
Q3. PT/aPTT가 비정상인데 출혈이 없으면 수혈 하나요?
A3. 출혈이나 시술 예정이 없다면 하지 않습니다.
Q4. 대량수혈에서는 언제부터 FFP가 필요하나요?
A4. 1:1:1 전략에 따라, 4단위 이상 적혈구 수혈 시 함께 투여 고려합니다.
Q5. FFP는 몇 시간 안에 써야 하나요?
A5. 해동 후 6시간 이내에 사용해야 하며, 방 온 보관은 금지됩니다.
'의학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혈소판 수혈 기준, 언제 해야 할까? (0) | 2025.05.13 |
---|---|
항진균제 마이카민(Micafungin) 완전 정리 (0) | 2025.05.13 |
L-tube(위장관 튜브) Feeding 중 PPI, H2-blocker 중단해도 될까? (1) | 2025.05.13 |
Alcoholic DT 진단 기준과 치료 (0) | 2025.05.07 |
신기능 이상일 때 복용하는 레날민, 어떤 약일까? (0) | 2025.05.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