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카민(Micafungin)은 진균 감염에 사용하는 에칸디나계(Echinocandin class) 항진균제입니다. 특히 칸디다(Candida) 및 아스페르길루스(Aspergillus) 감염에 효과가 있어 면역저하 환자에서 널리 사용됩니다. 내성과 독성을 줄이면서도 강력한 항진균 효과를 제공하는 마이카민은 전신 진균증 치료의 표준 치료제 중 하나로 자리 잡았습니다.
✅ 마이카민의 기본 정보
항목 | 내용 |
---|---|
계열 | Echinocandin |
작용 기전 | 1,3-β-D-glucan 합성 억제 → 진균 세포벽 파괴 |
주요 적응증 | 칸디다혈증, 침습성 칸디다증, 식도칸디다증, 아스페르길루스 감염 보조요법 |
투여 경로 | 정맥주사(IV) |
반감기 | 약 14~17시간 |
배설 경로 | 담즙/대변 (신장과 무관) |
장점 | 신독성 거의 없음, 약물 상호작용 적음 |
💉 적응증 및 용량
1. 식도 칸디다증
- 50 mg IV 1일 1회
- 최소 14일 이상 치료
2. 칸디다혈증/침습성 칸디다증
- 100 mg IV 1일 1회
- 중증 시 150 mg까지 가능
3. 조혈모세포이식 환자의 진균감염 예방
- 50 mg IV 1일 1회
- 골수 회복 시까지 유지
🧪 약동학 및 TDM 필요성
- 혈중 농도 모니터링(TDM)은 필요하지 않음
- 대부분의 환자에서 고정 용량으로 안정적 약효 유지
- 신기능이나 간기능 경증 장애 시 용량 조절 불필요
⚠️ 부작용 및 주의사항
유형 | 설명 |
---|---|
간효소 상승 | AST/ALT 경미한 증가 가능 |
히스타민 반응 | 드물게 발진, 발열, 저혈압 등 발생 |
과민반응 | 매우 드물게 아나필락시스 보고 |
주의 대상 환자
- 중증 간질환 환자: 간독성 가능성 ↑
- 임산부: 안전성 근거 부족 (C 등급)
- 소아: 용량 조절 필요, 별도 가이드라인 따름
🔄 마이카민 vs. 다른 항진균제 비교
항진균제 | 계열 | 장점 | 단점 |
---|---|---|---|
마이카민 | 에칸디나계 | 신독성 없음, 약물상호작용 적음 | 정맥투여만 가능 |
플루코나졸 | 트리아졸계 | 경구 가능, 저렴함 | 내성 증가, 간독성 가능 |
암포테리신 B | 폴리엔계 | 강력한 살진균 효과 | 심한 신독성, 전신 부작용 |
보리코나졸 | 트리아졸계 | 아스페르길루스에 효과 | 시야 이상, 약물 상호작용 ↑ |
🧠 마이카민 사용 팁
- 신부전 환자에게도 안전하게 사용 가능
- 혈중 농도 모니터링 불필요
- 중환자실, 조혈모세포 이식, 면역억제 환자에서 자주 사용
- 치료 반응이 부족하면 용량 증량 또는 약제 교체 고려
❓ 자주 묻는 질문 Q&A
Q1. 마이카민은 경구 제제가 없나요?
A1. 네, 마이카민은 오직 정맥주사(IV) 제제만 있습니다.
Q2. 신장 기능이 안 좋은 환자에게 사용 가능한가요?
A2. 가능합니다. 마이카민은 신장을 통해 배설되지 않아 용량 조절이 필요 없습니다.
Q3. 간수치가 올라가면 중단해야 하나요?
A3. 대부분 경미한 상승이며, 간수치가 지속적으로 상승하거나 임상 증상이 동반되면 평가 필요합니다.
Q4. 식도 칸디다증에는 언제까지 써야 하나요?
A4. 최소 14일 치료하며, 증상 호전 이후 7일 이상 유지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Q5. 마이카민을 예방 목적으로 쓸 수 있나요?
A5. 네, 조혈모세포이식 환자 등 면역저하 환자에게 예방적 사용이 승인되어 있습니다.
'의학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Nasal Cannula와 Simple Mask의 산소 공급량(L/min) 정리 (0) | 2025.05.13 |
---|---|
혈소판 수혈 기준, 언제 해야 할까? (0) | 2025.05.13 |
FFP(신선동결혈장) 수혈 기준과 적응증 정리 (1) | 2025.05.13 |
L-tube(위장관 튜브) Feeding 중 PPI, H2-blocker 중단해도 될까? (1) | 2025.05.13 |
Alcoholic DT 진단 기준과 치료 (0) | 2025.05.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