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의학 지식

중탄산나트륨(Bivon) 투여 시 칼륨 농도는 어떻게 변할까?

by 비비닥 2025. 6. 1.

중탄산나트륨(Bivon)은 대사성 산증이나 고칼륨혈증이 동반된 응급 상황에서 자주 사용되는 약물입니다. 특히 혈액의 산성도를 빠르게 교정하면서 전해질의 분포에 영향을 주는 대표적인 약물 중 하나입니다. 이때 중요한 전해질이 바로 칼륨(K⁺)인데요, 중탄산나트륨이 체내에서 어떻게 칼륨 농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이해하는 것이 안전한 약물 사용에 핵심입니다. 🧪

중탄산나트륨(Bivon) 투여 시 칼륨 농도는 어떻게 변할까?


중탄산나트륨의 작용 기전과 칼륨과의 관계 🧬

중탄산나트륨은 혈중 H⁺(수소 이온)를 중화시켜 pH를 상승시키는 작용을 합니다. 이로 인해 세포 외액의 산도가 낮아지면, 체내 항상성을 유지하기 위한 생리적 보상 기전으로 칼륨이 세포 안으로 이동하게 됩니다. 즉, 산-염기 균형의 변화는 칼륨의 세포 내외 분포에도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이런 작용을 통해 중탄산나트륨은 급성 고칼륨혈증 치료 시 응급약물로 사용됩니다. 실제로 pH가 0.1 증가할 때마다 혈청 칼륨 농도는 약 0.4~0.6 mmol/L 감소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중탄산나트륨 투여 후 칼륨 농도 변화 예시 📉

중탄산나트륨이 투여되면 혈중 산도가 낮아지면서 칼륨은 세포 안으로 이동하게 됩니다. 아래는 체중 70kg 성인 기준, 중탄산나트륨 투여에 따른 예상 칼륨 감소량을 보여주는 표입니다.

중탄산나트륨 투여량 (mEq) 예상 pH 증가량 예상 칼륨 감소량 (mmol/L)*
40 mEq +0.05 ~ 0.08 -0.2 ~ -0.4
80 mEq +0.10 ~ 0.15 -0.4 ~ -0.6
160 mEq +0.20 이상 -0.6 ~ -1.0

*환자의 기저 상태 및 신기능, 산증의 종류에 따라 변동 가능

이처럼 단기적으로는 칼륨 농도가 감소하지만, 실제로 체내 칼륨이 제거되는 것은 아니며 세포 내로 이동한 것에 불과합니다. 따라서 중탄산나트륨은 고칼륨혈증의 '응급 완화'에는 효과가 있지만, 칼륨의 '근본적인 제거'를 위해서는 이뇨제나 투석 등의 병행 치료가 필요합니다. 💡


임상에서의 실제 경험 💬

예를 들어, 혈중 칼륨이 6.5mmol/L인 대사성 산증 환자에게 중탄산나트륨 80mEq을 정주한 후, 2시간 내 혈중 칼륨이 5.8mmol/L로 감소하는 경우를 자주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효과는 일시적이며, 시간이 지나 pH가 다시 정상화되거나 체내에서 대사성 산증이 재발하면 칼륨이 다시 세포 밖으로 이동하면서 재상승할 수 있습니다. ⏳

이 때문에 중탄산나트륨만으로는 칼륨 농도 조절이 어렵고, 반드시 칼륨 제거를 위한 병합 치료가 병행되어야 합니다. 또한, 급속한 pH 교정은 저칼슘혈증을 유발할 수 있어, 심전도 모니터링도 함께 진행해야 합니다.


언제, 어떻게 사용해야 할까? 🩺

중탄산나트륨은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고칼륨혈증 치료에 고려됩니다:

  • pH < 7.1인 대사성 산증 + 고칼륨혈증
  • 신부전으로 칼륨 제거가 어려운 환자
  • 칼륨 농도가 6.5mmol/L 이상이고 심전도 변화가 있는 경우

하지만 아래와 같은 상황에서는 주의가 필요합니다:

  • 호흡성 알칼리증 동반 시
  • 심부전, 과체액 상태
  • 신기능 저하로 나트륨 축적 우려가 있는 경우

Q&A: 자주 묻는 질문들 🙋

Q1. 중탄산나트륨만으로 고칼륨혈증을 해결할 수 있나요?
A1. 아니요. 일시적인 완화는 가능하지만, 체외로 칼륨을 제거하지 못하므로 반드시 병행 치료가 필요합니다.

Q2. 중탄산나트륨을 투여하면 왜 칼륨이 떨어지나요?
A2. pH 상승에 따른 칼륨의 세포 내 이동이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Q3. 칼륨이 정상인데 중탄산나트륨을 써도 되나요?
A3. 경우에 따라 투여할 수 있지만, 칼륨이 지나치게 낮아질 수 있으므로 모니터링이 중요합니다.

Q4. 칼륨 수치가 낮은데 중탄산나트륨을 써도 되나요?
A4. 저칼륨혈증이 있는 경우에는 오히려 위험할 수 있으므로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Q5. 칼륨이 다시 올라가는 경우는 왜 그런가요?
A5. 중탄산나트륨의 효과가 일시적이기 때문에, 근본 원인이 해결되지 않으면 칼륨은 다시 증가할 수 있습니다.


참고 문헌 📚

  • Palmer BF, Clegg DJ. “Hyperkalemia.” N Engl J Med, 2015.
  • Kraut JA, Madias NE. “Treatment of Acute Hyperkalemia.” Kidney Int, 2007.
  • KDIGO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for Acute Kidney Injury,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