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의학 지식

프로포폴 지속 정주 용량: 프레소폴엠시티 2% (1000mg/50mL) 기준

by 비비닥 2025. 6. 1.

프로포폴(Propofol)은 전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정맥 진정제이며, 빠른 작용과 짧은 반감기로 인해 진정, 마취 유도, 유지 등 다양한 상황에서 활용됩니다. 국내 제품 중 하나인 프레소폴엠시티 2% 주사 (1000mg/50mL)는 고농도 프로포폴 제형으로, 1mL당 20mg의 프로포폴을 함유하고 있습니다.

프로포폴은 용량이 늘수록 호흡억제와 혈압저하의 위험이 커지므로, 특히 기계환기 여부에 따라 권장 용량과 사용 전략이 달라져야 합니다. 본 글에서는 기계환기 여부에 따른 프로포폴 지속정주 용량을 실제 약물 제형 기준으로 정리해드립니다. 💉

프로포폴 지속 정주 용량: 프레소폴엠시티 2% (1000mg/50mL) 기준


💡 제품 정보: 프레소폴엠시티 2% 주 1000mg/50mL

항목 내용
제형 2% = 20mg/mL
총 용량 1000mg / 50mL
용도 진정, 마취 유도 및 유지
특징 고농도 제형 → 소량으로 진정 가능하지만 정확한 속도 조절 필요

1. 기계환기 중인 환자에서의 지속 정주 용량 😴🫁

기계환기(intubated) 환자는 자발 호흡 유지가 필요 없기 때문에 깊은 진정도 가능하며, 상대적으로 넉넉한 용량 사용이 허용됩니다.

✅ 일반적인 용량 범위:

  • 경한 진정: 5–25 mcg/kg/min
  • 중등도~깊은 진정 (ICU): 25–75 mcg/kg/min
  • 전신마취 유지: 100–200 mcg/kg/min

✅ 예시 계산 (70kg 성인 기준):

진정 깊이 용량 (mcg/kg/min) 실제 투여 속도 (mL/hr, 프레소폴 2%)
얕은 진정 10 2.1 mL/hr
중등도 30 6.3 mL/hr
깊은 진정 50 10.5 mL/hr
마취 유지 100 21 mL/hr

🔍 계산 공식:
투여속도 (mL/hr) = (용량 mcg/kg/min × 체중 kg) ÷ 20,000 × 60
(20,000은 20mg/mL × 1000mcg)


2. 기계환기 하지 않는 환자에서의 지속 정주 용량 ⚠️😮‍💨

기계환기를 하지 않는 환자에서는 자발 호흡 유지가 필수이기 때문에, 프로포폴 사용 시 호흡억제와 저혈압 위험이 크게 증가합니다. 따라서 매우 낮은 용량으로, 간헐적 혹은 단기적 진정에만 제한적으로 사용해야 합니다.

✅ 안전한 권장 범위:

  • 5–10 mcg/kg/min 이하
  • 간헐적 bolus 또는 짧은 절차용 진정(preprocedural sedation) 위주 사용

✅ 예시 계산 (70kg 성인 기준):

용량 (mcg/kg/min) 투여속도 (mL/hr, 프레소폴 2%)
5 1.05 mL/hr
10 2.1 mL/hr

중요 주의사항

  • 프로포폴은 호흡 억제 위험이 높아, 비삽관 환자에서는 장시간 지속 정주를 권장하지 않습니다.
  • 환자의 의식, 산소포화도, 호흡수, 혈압을 지속 모니터링해야 합니다.
  • 가능한 경우, 덱스메데토미딘이나 케타민 같은 호흡 억제 위험이 낮은 대체 약물 사용을 우선 고려합니다.

Q&A: 자주 묻는 질문들 🙋

Q1. 프레소폴엠시티 2%는 1%와 어떻게 다른가요?
A1. 2% 제형은 1mL에 20mg이 들어 있어 더 고농도이며, 같은 효과를 더 적은 부피로 투여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주입 속도 조절은 더 정밀해야 하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Q2. 기계환기 없이 프로포폴을 장시간 사용할 수 있나요?
A2. 안전하지 않습니다. 매우 낮은 용량으로 짧게만 사용하며, 모니터링이 가능한 환경에서만 투여해야 합니다.

Q3. 투여 중 환자가 무호흡이 되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A3. 즉시 투여를 중단하고 기도 확보 및 산소 공급, 필요 시 기계환기 등 응급 조치를 시행해야 합니다.

Q4. 프로포폴 투여 중 가장 주의해야 할 합병증은?
A4. 호흡 억제, 저혈압, Propofol Infusion Syndrome(PRIS) 등입니다. PRIS는 고용량·장시간 사용 시 발생합니다.

Q5. 덱스메데토미딘과 프로포폴을 병용해도 되나요?
A5. 경우에 따라 가능합니다. 특히 덱스메데토미딘으로 기본 진정을 유지하고, 단기적으로 프로포폴을 보조적으로 사용하는 전략이 사용됩니다.


참고 문헌 📚

  • UpToDate. “Sedation for procedures in adults in the intensive care unit.” (2024)
  • Devlin JW, et al.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for Pain, Agitation, Delirium, Immobility, and Sleep Disturbance in Adult ICU Patients (PADIS).” Crit Care Med, 2018.
  • 대한중환자의학회. “중환자 진정 및 진통 가이드라인.”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