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의학 지식

중환자실 진정 약물: 덱스메데토미딘(Dexmedetomidine)

by 비비닥 2025. 6. 1.

중환자실(ICU)에서는 환자의 통증, 불안, 혼란(delirium) 등을 완화하기 위해 진정(sedation)이 필수적입니다. 그동안 벤조디아제핀 계열이나 프로포폴이 널리 사용되어 왔지만, 최근에는 더 안전하고 뇌기능 회복에 유리한 진정제로 덱스메데토미딘(Dexmedetomidine)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특히 환자의 의식 수준을 완전히 떨어뜨리지 않으면서 협조 가능한 진정(cooperative sedation)을 제공하는 점이 중환자 관리에서 큰 장점으로 작용합니다. 😌🧠

중환자실 진정 약물: 덱스메데토미딘(Dexmedetomidine)


덱스메데토미딘이란? 💊

덱스메데토미딘은 선택적 α2-아드레날린 수용체 작용제로, 중추신경계에 작용하여 진정과 진통 효과를 유도합니다. 벤조디아제핀이나 프로포폴과는 달리 GABA 수용체가 아닌 α2 수용체에 작용한다는 점에서 약리학적으로도 차별화됩니다.


주요 특징 🌟

항목 설명
작용 기전 α2-수용체 자극 → 노르에피네프린 분비 억제 → 진정 유도
투여 경로 정맥 주입 (bolus or continuous)
호흡 억제 거의 없음 👍
진통 효과 약간 있음 (보조적)
진정 정도 RAAS -2 ~ -3
금단 증상 거의 없음

🔍 자발호흡 유지 가능하면서도 진정 효과가 뛰어나며, 뇌기능 회복을 촉진하는 장점이 있습니다.


용량 및 투여 방법 💉

  • 유지 투여 (Continuous infusion):
    • 0.2–0.7 mcg/kg/hr (최대 1.5 mcg/kg/hr까지도 사용 가능)
    • 대부분 Loading dose 없이 바로 유지 투여 시작
  • Loading dose (선택적):
    • 1 mcg/kg over 10 minutes → 하지만 저혈압/서맥 우려로 대부분 생략함

💡 팁:

  • 고령, 저혈압, 심박수 저하 환자에서는 0.2 mcg/kg/hr 이하의 낮은 용량으로 시작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임상에서의 주요 활용 예시 🏥

  1. 기계환기 환자의 지속 진정
    • 덱스메데토미딘은 자발호흡 유지가 가능하여 weaning 과정에도 적합
    • 벤조디아제핀보다 입원 기간 단축, 섬망 감소 효과 있음
  2. 섬망 환자의 진정
    • 특히 밤에 섬망 악화가 심한 경우, 깊은 진정 없이도 안정화 가능
  3. 비삽관 환자에서의 경한 진정
    • NIV(비침습적 환기)나 고유량 산소 치료 중에도 사용 가능
    • 프로포폴보다 호흡 억제가 적어 비삽관 상태에서 안정적
  4. 수면 유도 및 불면 개선
    • 짧은 반감기와 수면 유사 작용 덕분에 야간 진정에 유용

부작용 및 주의사항 ⚠️

부작용 설명
서맥 가장 흔한 부작용 → 용량 감소 또는 중단 필요
저혈압 특히 loading 시 흔함
반동성 고혈압 갑작스런 중단 시 드물게 발생 가능
기면, 졸림 진정이 과하면 낮에도 졸림 지속

✅ 주기적인 혈압, 심박수 모니터링은 필수이며, 고위험군은 저용량 유지가 원칙입니다.


덱스메데토미딘 vs 다른 진정제 비교 📊

약물 진정 깊이 진통 효과 호흡 억제 섬망 위험 반감기
덱스메데토미딘 경~중등도 약간 있음 거의 없음 낮음 약 2시간
프로포폴 중~깊음 없음 있음 중간 매우 짧음
미다졸람 (벤조계) 깊음 없음 있음 높음 축적 ↑

Q&A: 자주 묻는 질문들 🙋

Q1. 덱스메데토미딘을 낮에 쓰면 졸리지 않나요?
A1. 졸림은 있지만, 자극에 반응할 수 있는 수준의 진정(RASS -1~-2)이라 협조 가능한 진정이 가능합니다.

Q2. 진통 효과만으로는 충분한가요?
A2. 진통 효과는 약하므로 필요 시 마약성 진통제와 병용해야 합니다.

Q3. 갑자기 끊어도 되나요?
A3. 장기 사용 후에는 점진적 감량이 안전합니다. 갑작스런 중단은 반동성 고혈압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Q4. 신부전, 간부전 환자에게도 사용할 수 있나요?
A4. 가능합니다. 대사 변화는 크지 않지만, 용량 감량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Q5. 프로포폴과 병용해도 되나요?
A5. 단기적으로 병용 가능하지만, 진정 깊이 조절에 주의해야 하며 호흡 억제 위험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참고 문헌 📚

  • Devlin JW, et al. “SCCM PADIS Guidelines.” Crit Care Med, 2018.
  • UpToDate. “Sedative agents in critically ill adults: Dexmedetomidine.” 2024.
  • Reade MC, Finfer S. “Sedation and delirium in the intensive care unit.” N Engl J Med,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