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라마돌(Tramadol)은 전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중등도 통증 치료제입니다. 수술 후 통증, 신경병성 통증, 만성 근골격계 통증 등 다양한 상황에서 처방되며, ‘마약성 진통제인가요?’, ‘중독 위험이 있나요?’ 등 많은 궁금증을 동반하는 약물이기도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트라마돌의 작용 기전, 특성, 장단점 등을 중심으로 "트라마돌은 어떤 진통제인가?"라는 질문에 명확하게 답해드리겠습니다. 💊🔍
트라마돌은 무슨 계열의 진통제인가요? 🧠
트라마돌은 비정형(Opioid-like) 진통제로 분류되며, 다음과 같은 이중 작용 기전을 가지고 있습니다:
- μ-오피오이드 수용체(μ-receptor) 작용
→ 통증 신호 차단: 약한 마약성 진통제처럼 작용 - 세로토닌 및 노르에피네프린 재흡수 억제(SNRI 작용)
→ 통증 조절 회로 조절: 신경병성 통증에 효과
즉, 오피오이드 + SNRI 효과를 동시에 가진 이중기전 진통제로, 단순 진통제와는 구별됩니다.
트라마돌은 마약인가요? ❓
- 대한민국: 향정신성의약품으로 분류 (마약류 관리대상 O, 마약은 아님)
- 미국 FDA: Schedule IV로 낮은 중독 가능성 인정
- 결론: 엄밀히 말하면 마약성 진통제는 아니지만, 남용 및 의존 가능성은 있음
🛑 따라서 장기복용, 용량 초과 시 습관성 위험이 있으므로 반드시 의사의 처방과 지시에 따라 사용해야 합니다.
트라마돌의 특징 요약표 📋
항목 | 내용 |
---|---|
작용 기전 | μ-오피오이드 + 세로토닌/노르에피네프린 재흡수 억제 |
진통 강도 | 중등도 (약한 마약성 진통제보다 강함, 모르핀보단 약함) |
용도 | 수술 후 통증, 디스크, 관절염, 신경병성 통증 |
투여 형태 | 정제, 서방정, 주사제 |
중독성 위험 | 있음 (과용, 병용 시 증가) |
금단 증상 | 급중단 시 두통, 불안, 발한 등 가능 |
대표 부작용 | 메스꺼움, 어지러움, 변비, 졸림, 간질 위험 등 |
트라마돌의 용량 및 사용법 💉
- 성인 일반 용량: 50
100mg을 46시간마다 - 최대 1일 용량: 400mg (고령자, 간·신부전 환자는 감량 필요)
서방형 제제(Tridol ER 등)는 1일 1~2회 복용으로 작용 시간 연장 가능
트라마돌의 장점과 단점 🌗
✅ 장점:
- 비마약성 진통제 중에서는 진통효과 우수
- 신경병성 통증에도 효과 있어 다목적 사용 가능
- 호흡억제 적음, 고령자 사용 시 비교적 안전
⚠️ 단점:
- 구역질, 어지러움 등 초기 부작용 흔함
- 세로토닌 증후군 위험: SSRI/SNRI와 병용 시 주의
- 간질 발작 위험: 과량 사용, 뇌전증 환자 주의
- 장기 복용 시 의존성 및 금단증상 가능성
Q&A: 자주 묻는 질문들 🙋
Q1. 트라마돌은 타이레놀 같은 약인가요?
A1. 아니요. 트라마돌은 비마약성 진통제 중 중간 단계로, 작용 기전이 완전히 다릅니다.
Q2. 임산부나 수유부도 복용 가능한가요?
A2. 위험 평가가 필요하며, 가능한 대체 약물을 우선 고려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Q3. 오랫동안 복용해도 괜찮은가요?
A3. 가능한 한 단기 복용이 원칙이며, 장기 사용 시 중독 및 금단 증상 주의가 필요합니다.
Q4. 두 가지 진통제랑 같이 써도 되나요?
A4. 아세트아미노펜(타이레놀)과 병용은 흔하지만, SSRI, SNRI와 병용 시 세로토닌 증후군 위험이 있습니다.
Q5. 트라마돌을 끊으면 금단 증상이 오나요?
A5. 고용량 또는 장기 복용 후 갑자기 중단하면 두통, 불안, 근육통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서서히 감량해야 안전합니다.
참고 문헌 📚
- UpToDate. “Pharmacology of Tramadol.” 2024.
- WHO. “Tramadol: Expert Committee on Drug Dependence.” 2019.
- 대한통증학회. “만성 통증의 약물치료 가이드라인.” 2021.
- FDA Prescribing Information: Tramadol HCl
'의학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저산소성 뇌손상인데 MRI는 정상? 가능한 이야기일까? (0) | 2025.06.02 |
---|---|
프로포폴의 반감기와 회복 시간: 시술 후 언제 깰까? (0) | 2025.06.01 |
중환자실 진정 약물: 덱스메데토미딘(Dexmedetomidine) (0) | 2025.06.01 |
프로포폴 지속 정주 용량: 프레소폴엠시티 2% (1000mg/50mL) 기준 (0) | 2025.06.01 |
EKG에서 LBBB(좌각 차단)의 의미와 필요한 조치는? (0) | 2025.06.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