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포폴(Propofol)은 빠르게 작용하고 빠르게 깨어나는 특성 덕분에 전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진정·마취 약물 중 하나입니다. 내시경, 수술 마취, 응급처치 등 다양한 시술에서 사용되며, 환자 입장에서는 “언제쯤 깰까요?”라는 질문이 가장 궁금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프로포폴의 반감기, 작용 지속시간, 그리고 시술 후 회복 시간에 대해 쉽고 명확하게 설명드리겠습니다. ⏱️💉
프로포폴의 작용 기전과 특징 🌐
- 작용 부위: GABA-A 수용체 → 중추신경계 억제 → 진정, 수면 유도
- 투여 경로: 정맥(IV) 주입
- 작용 시작: 30초 이내
- 작용 지속시간: 단회 투여 시 5~10분
- 용도: 전신마취 유도, 진정, 시술 중 수면유도, 중환자실 지속 진정 등
프로포폴의 반감기: 세 가지 개념이 있다! 🧠
프로포폴의 "반감기"는 하나만 있는 것이 아니라 세 가지로 나뉘어 이해해야 합니다:
종류 | 의미 | 시간 |
---|---|---|
분포 반감기 (Redistribution half-life) | 뇌에서 지방조직으로 분포되는 시간 | 약 2~4분 |
임상적 반감기 (Context-sensitive half-life) | 진정이 끝나고 깨어나는 데 걸리는 시간 | 약 3~10분 (단회 투여 기준) |
소실 반감기 (Terminal elimination half-life) | 체내에서 완전히 제거되는 데 걸리는 시간 | 4~7시간 (하지만 중요하지 않음) |
✅ 시술 후 환자가 깨어나는 데 중요한 건 임상적 반감기(clinical half-life)입니다.
시술 후 언제 깰까? ⏰
- 단회 투여: 보통 5~10분 이내에 눈을 뜨고 반응 가능
- 짧은 시술(10~20분): 대부분 10~15분 안에 명확한 의식 회복
- 지속 정주(30분 이상): 진정 시간에 따라 회복까지 30분~1시간 이상 소요될 수 있음
🟢 예시
- 대장내시경: 50mg 투여 → 7~10분 내 각성
- 위내시경: 40mg 투여 → 5~7분 내 회복 가능
깨어난 후 주의할 점 🚧
- 완전한 반사/판단력 회복은 30~60분 후
- 회복 직후는 졸림, 어지러움, 기억상실(anterograde amnesia)이 있을 수 있음
- 운전, 기계조작, 중요한 판단은 당일 금지
- 회복실에서 최소 30분 이상 관찰 필요 (기관마다 차이 있음)
Q&A: 자주 묻는 질문들 🙋
Q1. 프로포폴을 맞고 언제 깰 수 있나요?
A1. 보통 단회 투여 후 5~10분 안에 깨어납니다.
Q2. 기억이 안 나는 건 왜 그런가요?
A2. 프로포폴은 전향성 기억상실 효과가 있어, 투여 직후 기억을 잘 못하게 됩니다.
Q3. 간이나 신장 안 좋은 사람은 오래 가나요?
A3. 간대사 약물이지만, 단기 투여 시 대사 지연은 드뭅니다. 단, 지속 정주 시 주의 필요.
Q4. 프로포폴 수면은 일반 수면과 다르다던데요?
A4. 맞습니다. 이는 자연수면이 아닌 약물로 유도된 의식소실로, 깊은 NREM 수면과는 다릅니다.
Q5. 프로포폴은 정말 안전한가요?
A5. 짧은 시술에서 적정 용량을 사용할 경우 매우 안전하지만, 호흡억제와 저혈압 위험이 있으므로 반드시 전문가가 모니터링하며 투여해야 합니다.
참고 문헌 📚
- UpToDate. “General anesthetics: Clinical pharmacology and use.” (2024)
- Reves JG et al. “Pharmacology of Propofol.” Anesth Analg, 2005
- 대한민국 식약처 의약품 허가 정보: 프로포폴 제제
'의학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뇌의 평가, 어떻게 할까? 구조적 vs 기능적 관점에서 (0) | 2025.06.02 |
---|---|
저산소성 뇌손상인데 MRI는 정상? 가능한 이야기일까? (0) | 2025.06.02 |
트라마돌(Tramadol), 어떤 진통제일까? 마약인가요? (0) | 2025.06.01 |
중환자실 진정 약물: 덱스메데토미딘(Dexmedetomidine) (0) | 2025.06.01 |
프로포폴 지속 정주 용량: 프레소폴엠시티 2% (1000mg/50mL) 기준 (0) | 2025.06.01 |